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이동식 크레인을 이용한 양중작업시 안전 주의사항

by chooniarale 2024. 8. 3.
반응형

본 글은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건설업 조경·미관 구조물 작업"(2023, 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의 내용과 이미지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이동식 크레인을 이용한 양중작업

    이동식 크레인은 원동기를 내장하고 불특정 장소에 스스로 이동이 가능한 크레인이다.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상하 및 좌우(수평 또는 선회를 말한다)로 운반하는 설비로, 건설기계관리법의 기중기 또는 자동차관리법의 화물·특수자동차의 작업부를 탑재하여 화물 운반 등에 사용하는 기계 또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이동식 크레인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양중하는 장비로 붐, 선회부, 차대, 아웃트리거로 구성된 차량계 하역장비이다. 이동식 크레인의 구동장치는 권상장치, 기복장치, 선회장치, 아웃트리거 장치가 있으며, 유압으로 작동이 이루어진다.

무게중심과 전도점
무게중심과 전도점

 

    이동식 크레인은 제원표를 활용하여 정격하중 값과 작업능력을 확인하여 적정한 장비를 선정하여 사용한다. 이동식 크레인은 작업 방향 및 아웃트리거 사용조건에 따라 정격하중이 다르므로 반드시 제작회사, 크레인 모델별 로드선도(작업반경과 양중능력표)를 확인하고 작업 하여야 한다.

    정격하중은 크레인 후방에서의 범위를 기준으로 하며 주의 구간에서는 정격하중 값보다 10~30% 낮춰서 작업하고, 붐 중심선이 아웃트리거보다 위쪽에 있는 경우 작업금지 구간으로 적용하여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