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를 시작하고 구글 검색에 잘 노출되지 않으니까. 답답하기만 하던 가운데, 구글이 설명하는 사항을 요약하여 머리에 집어넣고 지침에 따라 블로그를 써보려고 한다.
1. Google 검색 Essentials이란?
Google 검색에서 표시되고 좋은 실적을 내도록 하는 핵심 요소
2. Google의 권장사항 정책
- 유용하고 신뢰할 수 있는 사용자 중심 콘텐츠를 제작합니다.
- 사용자가 콘텐츠를 검색할 때 사용할 만한 단어를 사용하고, 이러한 단어를 페이지에서 눈에 잘 띄는 위치(예: 페이지의 제목과 주요 제목) 및 기타 설명이 있는 위치(예: 대체 텍스트, 링크 텍스트)에 배치한다.
- 여기서 대체 텍스트란? 이미지 내의 정보로
-
출처 : 대체텍스트 (brunch.co.kr), //brunch.co.kr/@tigrisdesign/18에서 참조함 - 링크를 크롤링 가능하도록 설정하여 Google에서 페이지에 있는 링크를 통해 사이트의 다른 페이지를 찾을 수 있도록 한다.
3. 링크를 크롤링 가능하도록 설정
웹사이트의 링크가 검색 엔진과 같은 크롤러(웹봇)에 의해 탐색되고 인덱싱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검색 엔진은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분석하고 검색 결과에 반영할 수 있다. 다음은 그 주요 방법이다:
로봇 배제 표준 파일 (robots.txt)
robots.txt 파일을 통해 크롤러가 접근할 수 있는 경로와 접근할 수 없는 경로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의 특정 디렉터리나 페이지를 크롤링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User-agent: *
Disallow: /private/
Allow: /
User-agent: *
Disallow: /private/
Allow: /
이 파일은 웹사이트의 루트 디렉터리에 위치하며, 검색 엔진 크롤러는 이 파일을 먼저 확인하고 지시에 따른다.
메타 태그
웹페이지의 <head> 섹션에 메타 태그를 추가하여 크롤링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메타 태그는 검색 엔진이 해당 페이지를 크롤링하는 것을 허용한다:
<meta name="robots" content="index, follow">
<meta name="robots" content="index, follow">
반대로, 크롤링을 원하지 않는 경우: <meta name="robots" content="noindex, nofollow">
<meta name="robots" content="noindex, nofollow">
사이트맵 (Sitemap)
사이트맵은 웹사이트의 구조를 검색 엔진에 알려주는 XML 파일. 이를 통해 크롤러가 웹사이트의 모든 페이지를 쉽게 발견하고 인덱싱할 수 있다. 사이트맵은 일반적으로 웹사이트의 루트 디렉터리에 위치하며, 검색 엔진에 제출할 수 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urlset xmlns="http://www.sitemaps.org/schemas/sitemap/0.9">
<url>
<loc>http://www.example.com/</loc>
<lastmod>2023-06-11</lastmod>
<changefreq>monthly</changefreq>
<priority>1.0</priority>
</url>
<!-- 다른 URL들 -->
</urlset>
<?xml version="1.0" encoding="UTF-8"?>
<urlset xmlns="http://www.sitemaps.org/schemas/sitemap/0.9">
<url>
<loc>http://www.example.com/</loc>
<lastmod>2023-06-11</lastmod>
<changefreq>monthly</changefreq>
<priority>1.0</priority>
</url>
<!-- 다른 URL들 -->
</urlset>
링크 구조
내부 링크 구조를 잘 설계하여 크롤러가 웹사이트의 모든 페이지를 쉽게 탐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중요한 페이지는 다른 페이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링크를 배치한다.
서버 설정
웹 서버의 설정을 통해 크롤러의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taccess 파일을 사용하여 특정 크롤러를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크롤러 친화적인 URL
URL 구조를 간단하고 크롤러가 이해하기 쉽게 만듭니다. 예를 들어, 동적 URL보다는 정적 URL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동적 URL: http://www.example.com/page?id=123
정적 URL: http://www.example.com/page/123
동적 URL: http://www.example.com/page?id=123
정적 URL: http://www.example.com/page/123
이와 같은 방법들을 통해 웹사이트를 크롤링 가능하도록 설정하면, 검색 엔진 크롤러가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더 잘 이해하고 인덱싱할 수 있게 되어 검색 결과에 더 잘 반영될 수 있다.
4. 기 타
- 사람들에게 사이트를 알립니다. 사이트에서 언급한 서비스 및 제품에 관해 나와 비슷한 생각을 가진 사용자와 소통할 수 있는 커뮤니티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한다.
- 이미지, 동영상, 구조화된 데이터, 자바스크립트 등의 다른 콘텐츠가 있는 경우 Google에서 페이지의 그러한 부분도 이해할 수 있도록 각각에 해당하는 권장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 사이트에 적합한 기능을 사용 설정하여 Google 검색에서 사이트가 표시되는 방식을 개선한다.
- 검색결과에 표시되지 않아야 하는 콘텐츠 또는 완전히 제외하려는 콘텐츠가 있는 경우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 콘텐츠가 Google 검색에 표시되는 방식을 제어한다.
5. 결 론
일단 내용은 이러하다 하는데...하도 어려워서 배워가면서 교정해야 하겠다.
'블로그육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고로 간단하게 티스토리에서 동영상(유튜브) 연동하여 넣기 (0) | 2024.06.25 |
---|---|
나의 티스토리는 왜 구글에서 유입이 없는 것인지? (0) | 2024.06.14 |
2024년 아주 쉬운 티스토리 블로그 개설 방법입니다. (2) | 2024.06.03 |
티스토리 목차 만들기 (0) | 2024.06.01 |
구글 애드센스(AdSense) 승인 후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 (0) | 2024.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