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철골공사 품질 관리 기준 수립 및 품질 관리 계획서작성 ㅣ 철골공사 실무

by chooniarale 2025. 3. 14.
반응형
출처: NCS학습모듈, " 강구조시공 공사준비",교육부(20??)

 

철골공사 품질 관리 기준 수립 및 품질 관리 계획서작성

 

1) 품질 관리 기준 수립

         강구조물의 공장 제작 단계에서 제작 과정을 위한 품질 관리가 설계도서에 적합하게 계획되었는지 검토하고 품질 관리 기준을 수립한다. 품질 관리 기준은 표준화되어야 하며, 생산성의 향상과 품질의 개선을 추진하기 위해 표준화, 단순화, 전문화를 목표로 수립한다.

구분 내용
공장 제작 시스템의 고려 제작 의뢰된 공장에서 생산을 위한 품질 관리 시스템의 적합성 유무를 판단하고,

품질보증을 확인할 수 있음을 고려하고,

철강 구조물 제작 공장의 인증(건설기술진흥법 제58조)에 따른 제작 공장을 선정한다.
표준화 작업을 위한 검토 설계도서에서 공작도로 작성될 때 설계 도면과 시방서에 사용된 표준 규격을 확인하고

국가 표준, 법적 표준, 구조 학회 등의 표준을 검토하고 기준에 반영한다.
제작의뢰 및 상호간 계약서의 적용 설계 계약서, 제작 의뢰서등에 사용된 품질 사항을 확인하고 상호 일치되도록 적용한다.

계약과 관련된 문서에는 세부 사항을 기록하여 문제 발생 시 기준이 되도록 한다.

 

2) 품질 관리 계획서 작성

       강구조 공사의 품질은 도면과 시방서에서 규정된 내용에 따라 KS의 일반 공통 사항, 가설공사, 강구조 공사를 표준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공사에 특수한 사항은 특기 시방으로 규정한다. 표준 시방서에서 승인을 받는 제작 요령서, 시공 계획서는 품질 확보의 수단이다. 규정에 따라 도면의 제작부터 공장 제작이 완료될 때까지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

구분 내용
강구조 도면 및 시방서의 관리 부재 별 재질 강재의 종류, 부재의 형태(기둥, 보, 보 부재, 브레이스) 등 SM490, SS400, TMC, 내 Lamella tearing, 충격 흡수 고려한다.
공장 제작 시 부적절한사항 유무 검토 용접부에 적합하게 적용 되는 용접 방법으로 지정하고 확인 한다. 강구조 제작 과정에서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보강 재의 부착사항도 검토한다.
 공장 제작 접합부의 적합성 검토 작업이 불가능한 용접 부분의 접합 표기와, 부적합한 용접의 방법, 부적합한 고력 볼트의 접합 (용접 접합으로 변경 검토)사항을 검토한다.
 설치 작업 시 접합부의 적합성 검토 고력 볼트의 체결과 접합(체결 기기 사용 가능 여부 검토필요) 및 볼트의 접합, 용접의 접합 중 적합한 타탕성을 검토한다.
강구조 제작공장의 선정 및 관리 시스템, 가공 기기의 현황 관리 품질 관리, 생산 현장의 작업자의 작업 정확도 관리한다.

부재 가공 기계의 현황 및 관리 현황 점검한다.

 강구조 관리 기술자의 전문적 지식 수준의 파악한다.

생산 능력의 검토 (작업장의 면적, 기능인 수, 기기의 기능과 성능)한다.
공작도의 검토 및 승인 관리 설계 도면의 접합부분의 상세, 용접부분의 상태 표기 확인한다.

부재별 재질 및 형상의 확인한다.

제작 및 설치 작업에 필요한 내용의 세부적인 표기 확인한다.

특히 볼트 및 현장 용접부의 상세 표기를 확인한다.

부재의 명칭, 설치 방향 및 위치의 표기를 확인한다.

공작도의 전체적인 표기의 통일성 및 적합성을 확인한다.
원자재의 점검 관리  공사별, 재질별, 형상별 부재 적재를 확인한다.

 재질별 색상별로 구분하여 식별 표기를 확인한다.

 철판 성적서(mill sheet)와 원자재를 비교 검토하여 확인한다.

 부재 적치 상태 (받침 목, 안전, 변형)를 점검한다.
용접사 기량 확인 및 승인 관리  품질 관리 시스템에서 용접사 이력 관리 상황을 점검한다.

 이력 관리에 의한 용접사 자격을 승인한다.

 이력 관리 불충분 시 시험편에 의한 검사 후 결과에 따라 용접사 자격을 승인한다.

 승인된 용접사가 용접 부위의 품질이 극히 부적합 할 경우 자격을 취소를 검토한다.
제작 요령서의 검토 관리  제작 과정에 따라 검사 항목 , 정도, 형태 및 검사자의 범위를 검토한다.

 품질 관리 요령서, 용접 절차서, 도장 요령서 및 포장, 운송 계획서를 검토한다.

 공사 관리 조직도를 검토한다.
제작 중 품질 관리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적절 한 사항 점검  절단면 부분

 용접 전의 취부 및 준비 상태

용접 후의 비드 표면 상태

볼트 구멍의 가공, 현장 용접 및 접합면 처리 상태
제작 과정에서 품질관리 및 제작 관리자의 업무성실도의 실질적 관리필요

 

3) 품질관리를 위한 검사 및 시험 (+사례)

검사 및 시험 항목

검사 유형 주요 검사 항목
적용 기준  KS

 건축 공사 표준 시방서

 jis (japan industrial standard)

 AWS d1.1
재질 확인 원자재 공장 입고시 원자재 끝단의 재질 마크

 Mill sheet 상의 재질 확인
마킹 검사  원자재 변형 검사

 절단 여유 및 용접 수축 고려 마킹 검사
절단, 홀 가공 검사  절단면의 직각도

 구멍의 직경 및 피치 검사(Punching 작업은 불가)
조립 취부 검사  길이 및 높이 치수 검사

 각 부재의 치수 및 가접 상태

 직각도
용접 검사  용접봉, 용접 자세 검사

 예열 및 층간 온도 검사

 용접부 결함 검사

 비파괴 검사
완제품 검사  치수 검사

 부재 부착 검사
최종 검사  부재mark 검사

 치수 검사

 부재 부착 검사

 

검사 및 시험 사례

철판 재질 확인 H보 부재 재질 확인 용접 각장 게이지 버니어 켈리퍼스 P/T 검사재료 U/T 검사기

 

비파괴 검사 조건

용접 형태 적용 검사 및 빈도 비고
완전 용입부 UT : 100% 맞대기 이음
t 이음
모서리 이음
BH 용입부 육안 검사, MT : 20%  
Fillet 용접부 육안 검사 100%  

 

4) 품질 관리 시험 항목

* 범례
H : Holding point(필수 확인점),
W : Witness point(입회점),
R : Review point(검토점),
M : Monitering point(관찰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