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강재의 치수와 종류 확인 ㅣ 철골공사 실무

by chooniarale 2025. 3. 15.
반응형
출처: NCS학습모듈, " 강구조시공 부재제작",교육부(20??)

 

강재의 치수와 종류 확인

 

1) 재료의 재질 식별분류

       재료의 식별분류는 관리 목적, 사용 목적, 재질 특성에 따라 분류하며, 적량, 적정한 질의재료를 필요한 곳에 적기에 조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질 식별분류의 기대효과 및 분류표 작성 시 표기할 내용은 아래를 참조한다.

재질 식별분류의 효과 및 표기내용

 

2) 품질 보증 확인서 (mill test certificate, mill sheet)

   
품질 보증 확인서 철강재의 검사 증명서로서 다음 사항이 기록되어 있다.
 제품의 규격 및 치수 (폭, 길이, 두께, 수량, 중량 등)

 제품의 제조 사항 (제조사, 제품 번호, 증명서 발급일)

 제품의 기계적 성능 (인장 강도, 항복 강도, 연신율)

 제품의 화학적 성분 (C, Si, Mn, P, S 등의 함유량)

 시험 종류와 기준

 주문자 및 운송 정보 등
품질 보증 확인서(mill sheet) 예
 
품질 보증 확인서 활용 강재의 제품 특성 확인

 제원, 성분 등이 사용 목적과 부합 여부 확인

품질 관리 데이터로 활용

강재의 품질 보증

 

3) 입고 자재 검사하기

       자재 발주 후 입고된 자재에 대하여 자재 검사를 실시하며 검사 방법은 아래와 같다.

구분 내용
Mill Sheet 대조 발주 의뢰한 자재 사양과 입고 자재의 Mill Sheet를 대조 확인한다.

설계도면 상 재질, 규격 및 각종 치수와 입고 자재의 Mill Sheet 일치여부
기계적 성능이 KS 규격과 비교하여 허용 범위 내에 있는 지 여부
외관 검사  치수 검사: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자재의 폭, 길이, 두께 등을 확인한다.

 외관 검사: 자재 표면상의 결함 유무를 확인한다.

 

4) 재질 식별 분류하기

       부재 제작 시 부여하는 식별 분류와 별개로 원자재 입고 시에도 현장별, 재질별 식별 분류를 하여 효율적인 자재 관리가 되도록 한다. 부재를 제작하는 공장에는 여러 현장의 부재를 동시에 제작하는 경우가 많고 같은 형상의 강재라 할지라도 규격에 따라 사용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절단 등의 가공에 앞서 분류하여야 한다.

재질 식별 분류 흐름도
재질 식별 분류 흐름도

  • 식별 분류는 필요한 자재를 적시, 적소에 배치하기 위함으로 이를 위해 식별 분류표를 작성하여 자재 관리를 효과적으로 한다.
  • 현장, 재질, 규격 등 분류 기준에 맞춰 작성된 식별 분류표에 표기 및 수정이 가능 하도록 코팅을 하여 식별 분류판으로 만든다.
  • 적치된 자재 앞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세워 둔다.
  • 식별분류 된 자재의 입∙출고 관리 대장을 작성하여 자재 관리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