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건설현장 추락재해 예방대책 안내

by chooniarale 2024. 8. 19.
반응형

이미지 출처 : https://www.facebook.com/photo/?fbid=831147805717428&set=pcb.831148119050730

지난해 건설산업재해 통계를 보면 떨어짐(추락) 사고가 다른 사고에 비하여도 매우 많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추락사고는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많아서 더욱 안전관리에 제1 순위로 중점을 두어야 합니다(정부에서도 2019년에 대대적으로 추락방지 대책을 시행하였습니다.).

다음의 글은 건설현장의 중대사고 중 최고의 중점 안전사고 예방 분야인  추락(떨어짐)에 대한 빈발사례를 정리사항으로 고용노동부(2021).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관리체계 가이드북". 을 참조하여 작성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추락(떨어짐) 재해예방 대책

 

1) 비계발판

사고 개요 사고 원인 재해예방 대책
외벽 미장작업을 맡은 A는 강관비계 작업발판 3단에서 2단으로 이동하던 중 높이 약 5.7m아래의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했다 ➊ 안전한 통로 미설치
➋ 관리감독자의 사전 안전점검 미실시
➌ 안전모, 안전대 등 개인보호구 미착용
➊ 시스템비계 설치 등을 통한 안전한 통로 확보
➋ 기본 안전수칙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 실시 ☞ 개인보호구 착용
➌ 작업 전 안전미팅 활동(TBM) 실시
➍ 작업 전 관리감독자의 사전 안전점검 실시
시스템비계란?

건물 외벽작업 등을 위해 사용하는 작업발판의 일종이다.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강관 비계와 달리 규격화되어 불량으로 설치될 가능성이 낮아 상대적으로 안전성이 높다.

2024.08.01 - [건축기술] - 시스템 비계 설치 기준

 

시스템 비계 설치 기준

시스템 비계 설치 기준KCS 21 60 10 : 2020,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구분설치기준 수직재 · 수직재와 수평재는 직교되게 설치하고 체결 후 흔들림이 없어야 함.· 수직재는 수직하중에 견

chooniarale.tistory.com

 

2) 달비계에서 추락

사고 개요 사고 원인 재해예방 대책
외벽 도장공사가 중 달비계 로프를 상수도관받침철물에 고정했다. 그러나 작업자 B가 달비계에 탑승하자마자 받침철물이 하중을 이기지 못해 탈락, 17m 아래로 추락하여 사망했다 ➊ 작업로프 지지강도 미점검(고정점 및 로프)
➋ 수직구명줄 미설치
➌ 안전모, 안전대 등 개인보호구 미사용
➍ 작업지휘자 부재
➊ 안전한 달비계 사용
➋ 기본 안전수칙에 대한 정기적인 교육 실시
➌ 작업 전 안전미팅 활동(TBM) 실시
➍ 작업 전 관리감독자가 기본 안전수칙 준수 여부 확인
고소로프 작업 시 기본 안전수칙

로프 고정 2개 이상의 지지점에 견고히 고정합니다.
로프 점검 고정점과 로프의 안전성을 점검합니다.
구명줄 설치 별도의 고정점과 연결된 구명줄을 설치합니다.
개인보호구 안전대와 구명줄을 연결하고, 안전모를 착용합니다.
달비계란?

건물 외부 마무리나 외벽 청소, 고층건물의 유리창 청소작업 등에 사용되는 그네의자의 일종으로, 건물 상부의 지지대에 로프를 고정하여 아래로 내린 발판 형태의 비계를 말한다. 다른 안전조치를 하지 않으면 작업자의 몸이 작업로프 하나에만 온전히 의지하게 된다.

2024.08.10 - [건축기술] - 달비계 안전관리 종합정보 (도해와 사진 위주)

 

달비계 안전관리 종합정보 (도해와 사진 위주)

이 글은 안전보건공단(2022).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건설업 조적ㆍ미장ㆍ견출 작업. 자료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달비계의 사고는 사망과 직결되므로 안전사항 전체 숙지 필요 I. 법 기

chooniaral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