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인간-기계체계(시스템)의 정의 및 유형
1) 인간-기계 체계(Man—Machine system)의 정의
인간, 기계, 환경으로 구성된 시스템으로 인간의 기계에 대한 통제정도에 따라 수동시스템(Manual system), 반자동시스템(Machine system), 자동시스템(Automatic system)으로 분류된다.
2) 인간-기계시스템의 유형
유형 | 설명 | 사례 |
수동시스템 | 작업자(인간)의 신체적인 힘을 이용하여 기계를 사용한다. | 장인과 공구연필을 사용하는 학생, 가위로 옷감을 재단하는 재단사, 삽질하는 작 업자, 톱질하는 목수등 |
반자동시스템(기계시스템) | 작업자가 조정장치를 사용하여 기계를 통제하며, 동력은 기계가 제공한다. | 자동차운전, 전동공구 등 |
자동시스템 | 기계가 감지, 정보처리, 의사결정 등 모든 임무를 수행하고 작업자는 모니터링, 프로그래밍, 정비 등을 수행한다. | 산업용 로봇, 자동제어 화학공장(DCS 분 산제어시스템) 등 |
3) 인간-기계시스템의 기본기능
① 감지기능
② 정보보관기능
③ 정보처리 및 의사결정 기능
④ 행동기능(조작, 운반, 변경, 개조, 음성, 신호, 기록)
4) 인간-기계시스템의 특성
구분 | 인간(작업자) | 기계 |
장점 | * 시각, 청각, 촉각, 후각, 미각등의 작은 자극도 감지한다. * 각각의 변화하는 자극패턴을 인지한다. * 예기치 못한 자극을 탐지한다. * 기억에서 적절한 정보를 생각해 낸다. * 여러 경험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 귀납적으로 추리한다, * 원리를 응용한다. * 새로운 해결책을 도출한다. * 다른 방식에도 순응한다. |
* 초음파 등 인간이 감지할 수 없는 영역도 감지한다. * 드물게 일어나는 현상을 감지한다. * 신속하게 대량의 정보를 기억한다. * 신속하게 정확한 정보를 출력한다. * 입력신호에 신속하고 일관되게 반응한다. * 연역적으로 추리한다. * 지속적으로 반복동작을 한다 * 명령대로 작동한다. * 동시에 여러 작업이 가능하다. * 물리량을 측정(정량적)한다. |
단점 | * 한정된 범위 내에서만 감지한다. * 주관적인 평가를 한다. * 드물게 일어나는 현상은 감지 불가능하다 * 계산에 한계가 있다. * 신속하게 고도의 신뢰도를 가지고 대량의 정보처리가 불가능하다. * 정확히 일정한 힘으로 작업불가능하다. * 반복작업을 지속적으로 할 수 없다. * 자극에 신속하게 일관된 반응을 할 수 없다. * 장시간연속해서 작업을 할 수 없다. |
* 미리 정해진작업만 가능하다. * 학습을 하거나 작업을 바꿀 수 없다. * 추리를 하거나 주관적인 평가를 할 수 없다. * 즉석에서 적응할 수 없다 * 기계에 적합하게 부호화된 정보만 처리할 수있 다 |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공학에서의 양립성 (Compatibility) 설계 및 수공구 설계 원칙 (0) | 2024.08.17 |
---|---|
인간공학에서 동작경제의 원칙 (0) | 2024.08.17 |
시스템 위험분석 기법 설명 (0) | 2024.08.17 |
휴먼에러(Human Error)의 형태적 특성 (0) | 2024.08.17 |
인간실수의 분류 (휴먼에러, Human Error) (0) | 2024.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