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잔골재 및 사질토의 모래 당량 시험
근거 시험규정 : KS F 2340
1) 시험 목적
● 4.75 mm체를 통과하는 사질토 중에서 점토, 세립자, 먼지 등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알기 위한 시험으로 공시체에 있는 점토분과 세립자의 상대수치를 지정
● 최소 모래 당량 값으로 점토분, 투수량의 한계 판단
2) 시험 순서
3) 시험 내용
구분 | 내용 | |
시험 방법 | ① 4.75 mm체 통과 시료 (85 ± 5) ㎖ 준비 | ● 시험 손실을 막기 위해 습윤 시료로 준비 |
② (110 ± 5) ℃에서 건조(항량) | ||
③ 시료를 용액에 10분간 침수 | ● 3.8 ℓ의 염화칼슘 용액병에 사이펀을 설치하여 1 m의 작업대에 거치 ● 작업대 아래 메스실린더에 (102 ± 3) mm가 되도록 사이펀으로 염화칼슘용액 주입 ● (85 ± 5) ㎖의 시료를 작업대 아래 메스실린더에 넣고 밑면을 가볍게 두드려 기포를 제거하고 난 후 (10 ± 1)분간 정치해둔다 |
|
④ 기계진동 - (45 ± 1)초간 진동 or 수동진동 - 30초간 90회로 흔듬 진동 후 세입자를 용액으로 씻어 올 |
● 자동:(45 ± 1)초간 진동(진탕작업) 수동:10분후 실린더의 마개를 막고 수평거리 (230 ± 25) mm 사이를 30초간 90회 실린더를 흔든다(진탕 작업) ● 시료가 담긴 실린더에 관주관을 밑바닥까지 넣어 회전시키면서 굵은 모래입자 사이의 세립자를 모래 입자위로 떠오르게 한다 ● 관주관은 물 흐름을 막지 않고 올리는데 메스실린더 내 전체 용액선은 380 mm 유지 |
|
⑤ 20분간 침강 후 점토 눈금 읽음 | ● 침강시간은 20분 후 잔류 점토의 눈금 읽음 ● 점토선이 명확하지 않을 시 10분씩 2회 연장하여 읽음 ● 그래도 선이 명확하지 않을 경우 재시험 |
|
⑥ 추각을 내려 모래 눈금 읽음 | ● 실린더에 추각을 내려 모래의 눈금을 읽음 | |
시험 기준 | ● 동상 방지층: 20 % 이상, 보조기층: 25 % 이상 | |
시험 장비 | ● 플라스틱 메스실린더, 고무집게, 관주관, 중량판 및 사이펀, 측정용기 [용량 (85 ± 5) ㎖, 지름 57 mm], 4.75 mm체, 깔때기, 병(4 ℓ짜리 2개), 시료혼합팬, 스톱워치, 모래 당량 교반기, 무수염화칼슘 454 g, UPS 글리세린 2050 g(1640 ㎖), 포름알데히드(용적률 40 % 용액) 47 g(45 ㎖) | |
참고 사항 | ● 모래 당량(%) = (모래의 읽음/점토의 읽음)× 100 ● 모래 당량: 사질토와 잔골재의 전체 용적에 대한 미세물질 (유해점토, 먼지 등)을 제외한 부분의 용적 비 |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재의 안정성 시험 안내 (0) | 2024.09.09 |
---|---|
골재의 단위용적질량 및 실적률 시험 안내 (1) | 2024.09.08 |
마샬 안정도 및 흐름값 시험 안내 (0) | 2024.09.08 |
노상토 지지력비(CBR) 시험 방법 안내 (0) | 2024.09.08 |
흙의 씻기 시험(No.200체 통과량) 안내 (0) | 2024.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