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지하구조물의 부상방지 설계기준 안내

by chooniarale 2024. 10. 1.
반응형

지하구조물의 부상방지 설계기준

1) 요약

구 분 지하수위기준 부상방지 설계기준
일반지구 ① 설계수위
: G.L -1.5m(준공후)
●공사 중(골조공사 완료단계) 및 준공 후 모두 안전 하도록 설계
② 현장관리수위
: S.L -1.8m(공사중)
부상우려지구 및
경사지
별도산정
(기초설계자료에 가정조건 별도명시)
● 별도산정(지하수위,지형여건 등 고려)된 수위를 기준으로 일반지구에 준하여 설계
부상억제방법
● 부상방지앵커, 집수정 또는 유공관 설치, 영구배수 공법, 인발말뚝 상세적용 등

 

2) 부상방지설계 개념

시공과정 중 구조물 터파기에 따른 수위상승 시 수압이 구조물 자중을 초과하지 않도록 적용지구별로 부상방지 앵커, 지하수위 강하를 위한 집수정 또는 유공관 설치 등을 설계에 반영하여 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

지구 구분 내용
일반 지구 ● 지하상수위가 설계가정수위보다 낮고
● 향후 수위가 가정수위보다 상승될 우려가 없는 지구
부상우려지구 및 경사지 ● 지하상수위가 설계가정수위보다 높은 지구 또는
● 지하상수위와 별도로 강우시 인근 하천수위의 영향, 지표수의 배수경로상에 위치하거나 저지대로 침수우려가 예상되는 지구

 

2) 부상방지앵커 설계 시 고려사항

  • 앵커는 전 면적에 걸쳐 균등히 분포되도록 배치
  • 부상방지 앵커가 설치되는 지중 보의 경우에는 앵커 설치공간(100mm이상)을 고려하여 철근 배근
  • 앵커 지지력은 500kN/개~1,000kN/개를 기본으로 기둥배치 등을 감안, 효율적으로 배치되도록 앵커 형식을 선정하여 배치(필요한 경우는 보강)

 

3) 영구배수공법 설계 시 고려사항

  • 바닥면적 1,000㎡당 유입량이 120㎥/일 이하인 경우 적용
  • 지하수위가 높고, 대규모 굴착에 따른 지하수압이 과다한 경우, 기초하부가 풍화토 이상 투수계수가 작은 불투수층인 경우 유리하며, 경사지 또는 자연배수가 가능한 토층에 적용
  • 영구배수공법의 적용시 토질 및 기초기술사 등 관련 전문가가 사전검토하고, 감독원과 협의 후 적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