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철근의 피복두께 안내

by chooniarale 2024. 10. 18.
반응형

철근의 피복두께

1) 기준 : KDS 14 20 50

KDS 14 20 50 콘크리트구조 철근상세 설계기준(22.01) (1).hwp
0.11MB

 

 

2) 철근 최소 피복두께

노출 조건1) 부재종류 최소 피복두께(mm)
최소 피복두께(mm) 현장치기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Non-PSC PSC
A

흙에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슬래브, 벽체, 장선2) D35 초과 : 40 D35 이하 : 20 20 D35를 초과하는 철근 및 지름 40 mm를 초과하는 긴장재 : 30 D35 이하의 철근 및 지름 40 mm 이하인 긴장재 : 20 지름 16 mm 이하의 철선 : 15
보, 기둥 40 주철근 : 40
띠철근, 스터럽, 나선철근 : 30
주철근 : db (15 이상, 40 미만) 띠철근, 스터럽, 나선철근 : 10
쉘, 절판부재 20 D19 이상의 철근 : db D16 이하의 철근, 지름 16 mm 이하의 철선 : 10 긴장재 : 20 D19 이상의 철근 : max(15, 0.5 db ) D16 이하의 철근, 지름 16 mm 이하의 철선 : 10
B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
벽체, 슬래브, 장선구조2) D19 이상의 철근 : 50 D16 이하의 철근, 지름 16 mm 이하의 철선 : 40 30 벽체의 경우 D35를 초과하는 철근 및 지름 4 0 mm를 초과하는 긴장재 : 40 D35 이하의 철근, 지름 40 mm 이하인 긴장재, 지름 16 mm 이하의 철선 : 20 ※ 슬래브, 장선구조는 기타 부재 기준 적용
기타 부재 상동 40 D35를 초과하는 철근 및 지름 40 mm를 초과하는 긴장재: 50 D19 이상, D35 이하의 철근 및 지름 16mm를 초과하고 지름 40mm 이하인 긴장재 : 40 D16 이하의 철근, 지름 16mm 이하의 철선 및 지름 16mm 이하인 긴장재 : 30
C

 영구히 흙에 묻힘
  75 75 -
D

수중
  100 - -
E 5)

해수
벽체, 슬래브 50 40
벽체, 슬래브 외 모든 부재 노출등급 ES1, ES2 : 60 노출등급 ES3 : 70 노출등급 ES4 : 80 50
① 상세한노출조건은 아래와 같다.

A : 옥외의 공기나 흙에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B :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
C :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
D : 수중에서 치는 콘크리트
E: 해수 또는 해수 물보라, 제빙화학제 등 염화물에 노출되어 철근 또는 긴장재의 부식이 우려되는 환경(ES 범주)

② 장선 구조(長線構造, Joist) : 한 방향 또는 두 방향으로 일정 간격이 되게 배치한 보가 그 위의 슬래브와 일체가 되도록 시공하는 구조

③ 다발철근의 피복두께는 50mm와 다발철근의 등가지름 중 작은 값 이상이라야 한다. (다만,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경우는 피복두께를 75mm 이상, 수중에서 콘크리트를 친 경우는 100mm 이상)

④ 확대머리 전단 스터드의 피복 두께는 확대머리 전단 스터드가 설치되는 부재의 철근에 요구되는 피복 두께 이상

⑤ 긴장재의 부식이 우려되는 환경(ES 범주)에서는 KDS 14 20 60(4.1.2(3))에 정의된 부분균열등급 또는 완전균열등급의 프리스트레스트콘크리트 부재는 최소 피복 두께를 4.3.2와 4.3.3에서 규정된 최소 피복 두께의 50% 이상 증가시켜야 한 다. 다만, 프리스트레스된 인장영역이 지속하중을 받을 때 압축응력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