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글은 「가설구조물 종류에 따른 설치기준 및 점검 가이드」(2023, 국토부, 국토안전관리원) 문헌의 내용과 이미지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MSS(Movable Scaffolding System)설치 및 점검 가이드
1) MSS(Movable Scaffolding System) 설치도
MSS 설치 개념도 | ||
![]() |
2) MSS(Movable Scaffolding System) 공법 설치 기준
구분 | 내용 |
교각 브래킷 및 이동대차 | ● 교각 브래킷(pier bracket)은 교량 상부의 시공하중 및 콘크리트 타설하중에 대한 구조검토와 교각의 형상 및 주 거더의 개수에 따른 충분한 지지력과 안전성을 검토하여야 하며, 설치 높이에 대한 정밀한 측량 후에 시공하여야 한다. ● 교각에 개구부 또는 요철을 설치하여 교각 브래킷을 설치하는 경우 압축력이 작용하는 부위의 압괴에 대한 검토 및 전체 교각의 안전성을 검토한 후에 시공하여야 하며, 공사완료 후에는 개구부 및 요철 부위는 원상복구를 하여야 한다. ● 교각의 높이가 낮고 지반 조건이 적합한 경우 H형강 또는 트러스 부재의 동바리를 설치하여 브래킷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 때 동바리는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 교각 브래킷은 주 거더의 플랜지 하부에 설치된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전동식과 주 거더와 무관하게 별도로 해체되어 이동할 수 있다. ● 교각 브래킷에는 주 거더의 종ㆍ횡방향 위치를 조정하고 이송할 수 있는 적합한 용량의 유압잭을 필요한 개수만큼 설치하여야 한다. ● 브래킷을 크레인 등으로 인양하여 교각에 설치할 때에는 고강도 강봉 등의 인장재로 교각에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 지주형 교각 브래킷을 설치할 때에는 이동식 비계의 하중을 검토하여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 지주형 브래킷은 교각의 양쪽에 설치하고 교각을 감싸는 형태로 보강재 또는 고강도 강봉 등의 인장재로 교각에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 브래킷의 측면 작업발판과 연결통로는 제작장에서 제작·설치하여야 한다. ● 이동대차(riding wagon)는 인양하여 교각 브래킷 상부의 레일 위에 차륜이 놓이도록 설치하고 이동 대차가 불시에 이동하지 않도록 구름방지쐐기를 설치하는 등 안전조치를 하여야 한다. ● 이동식 비계의 본체 및 유압시스템의 전동기 외함에는 접지를 하여야 한다. ● 이동식 비계의 각 부재를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공중에서 연결할 때에는 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크레인으로 부재를 확실하게 매달고 있어야 한다. ● 이동식 비계가 선행 구간에 지지될 때 다이아프램이 없는 경우를 고려하여 응력집중이 일어나지 않도록 시스템의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
주거더 | ● 주 거더(main girder)는 교량의 경간, 횡단면의 변화, 선형의 변화 등에 대처할 수 있는 가변성이 큰 시스템이 바람직하며 안전성, 시공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 주 거더는 교량 상부의 수직하중에 대한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시공중에 풍하중 등의 횡방향 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 주 거더는 지상에서 전체 또는 일부를 조립하여 크레인 또는 롤러 등으로 교각 브래킷 위에 가설하거나, 동바리 위에서 조립하여 교각 브래킷 위에 가설 할 수 있다. ● 교축 직각 방향의 가로보는 주 거더와 일체화된 구조이거나, 강봉 등의 수직 현수재로 주 거더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 시공자는 주 거더의 변형을 검측하여야 하며 변형이 탄성회복되지 않을 경우 거푸집의 솟음 관리에 주 거더의 변형량을 포함하여야 한다. ● 시공자는 주 거더의 변형이 시공상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즉시 공사를 중지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여 보정한 후에 시공을 실시하여야 한다. ● 곡선구간에 설치되는 주 거더는 전진 이동 시 선형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 주 거더의 전진 이동 시 불균형 모멘트에 의한 전도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주 거더의 전진 이동은 후방 교각 브래킷의 해체, 가로보의 현수재 해체 및 거푸집의 탈형을 확인한 후에 이동한다. ● 주 거더를 설치하기 위하여 전ㆍ후방 교각 사이에 가 벤트(bent)를 설치할 때는 가 벤트에 작용하는 주 거더 하중과 지반 지지력을 검토하여 안전한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 주 거더 분절을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공중에서 연결할 때에는 작업대(cage)를 설치하여 추락재해 예방조치를 하여야 한다. ● 교대 후방의 지상에서 주 거더 전체길이를 조립하여 이동ㆍ설치할 때에는 노즈 등 모든 부재를 조립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용 레일의 길이를 충분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 주 거더를 조립할 때는 이동용 레일 위에 롤러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서 주거더를 조립하도록 하고, 이동에 장애가 되지 않는 다른 부재도 함께 설치하도록 한다. ● 주 거더 조립 중에 롤러가 불시에 이동하지 않도록 각 롤러 앞·뒤에 구름방지 조치를 하여야 한다. |
거푸집 | ● 거푸집은 반복사용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과 정밀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 거푸집은 교량의 평면선형 및 종단선형에 맞추어 적당한 크기로 정밀하게 제작하여야 하며 설치 및 해체 시 주 거더 및 각 부재의 변형 및 손상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 거푸집은 주 거더에 견고히 부착되어 콘크리트 타설 및 이동 시 일체화되어야 한다. ● 내부 거푸집은 바닥 슬래브의 높이조정, 정착구 설치 등의 처리에 세심한 주의를 하여야 하며, 콘크리트 타설 순서에 따른 거푸집 설치 순서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 외부 거푸집 조립 시에는 지상에서 측면 거푸집의 작업발판 단부에 표준안전난간을 설치한 후 인양하여 조립하여야 한다. ● 거푸집 이음부는 선형이 일치하여야 하며, 처짐 및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 거푸집에 부착된 먼지와 녹 등의 불순물은 와이어 브러쉬 등으로 깨끗이 청소하고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박리제를 도포하여야 한다. ●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솟음과 변형을 감안하여 제작되어야 하고, 시공자는 단면 및 솟음의 변화를 확인하여야 한다. |
참고자료 | ● 「KCS 24 20 20」MSS공법 |
3) MSS(Movable Scaffolding System) 중점점검 확인사항
항목 | 점검사항 | 사진 및 점검예 |
공통사항 | ● 구조검토서 및 시공상세도의 적정성 여부, 설치도면과 설치상태 일치여부 확인 ● 사용자재의 손상 및 결함 유무 확인 |
▷시공상세도에 따른 설치상태 및 사용자재의 결함 유무 확인![]() |
교각 브라켓 및 이동대차 |
● 지주형 브라켓 설치시 보강재 또는 고강도 강봉 설치상태 확인 ● 레일의 손상 및 고정상태 등 확인 ● 브라켓 및 이동대차 설치시 수평레벨 적정유무 확인 |
▷ 브라켓 설치상태 및 사용자재의 손상여부 확인![]() |
유압 및 각종 장치 |
● 각종 유압시스템 및 브레이크장치 등의 이상유무 및 작동상태 확인 |
▷ 유압, 이동대차 등 각종 장치 이상유무 확인![]() |
접합부 설치상태 |
● 볼트접합 등 연결 및 이음부 접합상태 이상유무 확인 |
▷ 접합부 볼트체결 등 접합상태 확인![]() |
안전시설 | ● 추락재해 방지시설 설치상태 (안전난간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3조, 제42조 참고 ● 수직보호망 및 낙하물방지망의 설치상태 확인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조 참고 |
▷ 추락 및 낙하 위험구간에 대한 방호조치 실시![]() |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중비계 설치 및 점검 가이드ㅣ안전관리 (0) | 2025.02.28 |
---|---|
가설교량 설치 및 점검 가이드ㅣ안전관리 (0) | 2025.02.28 |
PSM(Precast Segmental Method)공법 설치 및 점검 가이드ㅣ 동력구동 가설구조물 (0) | 2025.02.28 |
ILM(Incremental Launching Method)공법 설치 및 점검 가이드ㅣ 동력구동 가설구조물 (0) | 2025.02.28 |
FCM(Free Cantilever Method)공법 설치 및 점검 가이드ㅣ 동력구동 가설구조물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