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출처: NCS학습모듈, " 강구조시공 용접접합",교육부(20??)
용접 실시하기
1) 용접봉의 재질과 규격 선정하기
구분 | 내용 |
강재 확인하기 | ● 국토교통부 제정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설계도면, 용접 절차서 등을 확인하여 용접하려는 강재를 확인 한다. |
용접봉 선정 고려하기 | ● 용접봉의 선정 기준은 모재의 재질, 제품의 모양, 용접 자세 등 사용 목적에 따라서 용접성(용접한 부분의 기계적 성질), 작업성(작업의 용이성), 경제성의 세 가지를 고려하여야 한다. ● 경제성이라고 하면 우선 값이 싼 용접봉으로만 생각하기 쉬우나 값보다는 용착 효율과 작업 능률 쪽이 더욱 중요하다. |
용접봉 선정하기 | ● 강재의 종류 및 강도와 용접 방법에 따른 용접봉의 사용 구분 및 규격과 재질은 공사담당원의 승인을 받은 용접 절차서에 준하며 사용 용접봉의 재질은 모재의 화학적 성분 및 기계적 성질(공칭 강도 및 인성)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
피복 아크 용접봉 사용 구분 | ![]() |
2) 예열이 요구되는 조건 파악하기
구분 | 내용 |
탄소 당량 확인하기 | ● 밀 시트에서 다음 식에 따라서 계산한 탄소 당량, Ceq가 0.44%를 초과 할 때 예열한다. |
● 탄소 당량 계산식 | |
![]() |
|
경도 확인하기 | ● 경도 시험에 있어서 예열하지 않고 최고 경도(Hv)가 370을 초과할 때 예열한다 |
온도 확인하기 | ● 모재의 표면 온도가 0 ℃ 이하일 때 예열한다. |
3) 용접 이음 방법 확인하기
구분 | 내용 |
맞댐(그루브) 용접하기 | ● 맞댐 용접이란 대략 동일 평면에 있는 두 부재를 맞대어서 용접하는 이음을 말하며, 용접 이음부가 충분한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용입 깊이와 덧살부, 비드 폭 등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 일반적으로 판 두께가 4mm 이상인 판재를 용접할 경우 접합하고자 하는 부분에 적당한 홈을 만들어 완전한 용입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 그리고 맞대기 용접에서 홈의 형상은 구조물의 형태나 재료의 두께, 사용 목적과 용접 방법에따라 홈의 형상을 선택하여야 된다. |
● 맞댐 용접부의 홈 형상 | |
![]() |
|
● 맞댐 용접 이음 홈의 각부 명칭 | |
![]() |
|
● 같은 용접부를 용접 이음의 도시법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 맞댐 용접 이음의 표시법 |
|
![]() |
|
모살(필릿) 용접하기 | ● 모살 용접은 T 이음부나 겹치기 이음부의 구석 부분을 용접하는 것으로서 T 이음의 경우는 홈을 가공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구석 부분을 그대로 용접하는 경우가 있다. |
● 형상에 따른 모살 용접 | |
![]() |
|
● 하중의 방향에 따른 모살 용접 | |
![]() |
|
● 모살 용접 이음의 표시법 | |
![]() |
4) 용접 자세
구분 | 내용 |
용접 자세 확인하기 | ● 용접 위치에 따라 용접의 종류를 분류하면 아래보기 자세, 수평 자세, 수직 자세, 위보기 자세 등이 있다. ● 용접의 품질은 용접 위치에 의해 좌우되며, 아래보기 자세의 경우에 가장 좋은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위보기 자세의 경우는 용접 품질이 가장 좋지 못하므로 불가피한 곳을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 |
|
모살 용접의 수직, 수평 자세 실습하기 | ● 수직 자세 용접 방법 실습하기 ▷ 작업 공구와 재료를 준비하고 안전 장비를 착용한다. ▷ 모재를 깨끗이 청소하고 와이어의 건조, 청결 상태를 확인한다. ▷ 중앙 부분에 다른 모재를 위치시키고 밀착시켜 그 사이에 틈이 없도록 가용접한다. ▷ 토치의 위빙이 잘 진행되도록 위치를 정한다. ▷ 전압 및 전류를 조정한다. ▷ 토치의 진행각은 용접 진행 방향에 90°를 유지하도록 한다. ▷ 토치를 양 모재 면에 45°로 위치시키고 아래에서 위쪽으로 비드 작업을 한다. ▷ 용접이 완료되면 제품 검사를 실시한다. ▷ 용접기의 전원을 off시키고 가스통의 밸브는 잠금한다. ▷ 사용 공구를 손질 및 정리한다. |
● 수평 자세 용접 방법 실습하기 ▷ 작업 공구와 재료를 준비하고 안전 장비를 착용한다. ▷ 모재를 깨끗이 청소하고 와이어의 건조, 청결 상태를 확인한다. ▷ 모재의 중앙 부분에 다른 모재를 위치시키고 밀착시켜 그 사이에 틈이 없도록 가용접을 한다. ▷ 전압 및 전류를 조정한다. ▷ 토치는 용접 진행 방향에 10~15°를 유지하도록 한다. ▷ 토치를 양 모재 면에 45°로 위치시키고 직선 비드를 형성 한다. ▷ 토치의 작업각 및 토치 끝이 향하는 방향등을 각 패스에 맞게 작업한다. ▷ 용접이 완료되면 제품 검사를 실시한다. ▷ 용접기의 전원을 off시키고 가스통의 밸브는 잠금한다. ▷ 사용 공구를 손질 및 정리한다. |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 열처리 실시 ㅣ 철골공사 실무 (0) | 2025.03.26 |
---|---|
용접 보호 장구 및 안전 장구 착용 ㅣ 철골공사 실무 (0) | 2025.03.25 |
철골 용접 방법 ㅣ 철골공사 실무 (0) | 2025.03.24 |
강재 용접 실시 방법 ㅣ 철골공사 실무 (0) | 2025.03.24 |
철골 용접방법 선정하기 ㅣ 철골공사 실무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