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NCS학습모듈, " 강구조시공 도장",교육부(20??)
방청 도료(내화성)의 성능 조사
1) 방청 도료의 성능 기준
일반적으로 KS M 5311 2종 규격의 방청 페인트(공장 도장 2회, 두께는 70μ± 10)를 사용한다. 내화 페인트 적용 시 도료 제조사의 사양에 따라 하도의 방청 도료는 KS M 6030 1종으로 건조 도막 두께 0.05mm 이상을 확보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2) 방청 도료의 성능 기준
방청 도료의 내화성을 확보하려면 부위별 즉, 철골조의 기둥 또는 보의 내화 인정 구조기준에 맞고 또한 제조사의 제품 사양에 적합한 하도와 중도의 적절한 도막 두께를 확보하여야 하며, 이것은 제조 업체별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인정을 받은 도막의 두께로 시공해야 한다.
3) 시방기준의 내화 도료 두께 확인
내화 도료란 화재 발생 시 열에 의해 철골 부재의 붕괴를 지연시키면서 인명의 대피 및 소화 능력의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고열에 의해 내화 도료 표면이 발포하며 부풀어 오르면서 고기능성의 단열 성능을 발휘하게 하는 것이다.
내화 성능 구조는 1시간 또는 2시간으로 구분하며 적용 부위로는 철골 기둥 및 보로 되어있다. 내화 도료의 두께를 확인하기 위해 내화 성능 구조 및 시방서로 확인하는 것에 대해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의 사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내화 1시간일 때 - 사례 | |
내화 성능 구조 - 철골 구조의 기둥 및 보의 경우 |
● 철골 구조의 기둥 또는 보에서 내화 1시간 성능 구조는 다음과 같다. |
● 1시간 내화 성능 구조 사례 | |
![]() |
|
시공 사양 | ● 철골 구조의 기둥, 보에서 내화 1시간 성능 구조를 위한 시공 사양은 다음과 같다. |
● 1시간 내화 시방 사양 사례 | |
![]() |
2시간 내화 성능 구조 - 사례 | |
내화 성능 구조 | ● 철골조의 기둥의 경우 |
● 철골조의 기둥에서 내화 2시간 성능 구조는 다음과 같다. | |
● 2시간 내화 성능 구조 사례 - 기둥 | |
![]() |
|
● 철골조의 보의 경우 | |
● 철골조의 보에서 내화 2시간 성능 구조는 다음과 같다 | |
● 2시간 내화 성능 구조 사례 - 보 | |
![]() |
|
시공 사양 | ● 철골조의 기둥 또는 보에서 내화 2시간 성능 구조를 위한 시공 사양은 다음과 같다. |
● 2시간 내화 시방 사양 사례 | |
![]() |
4) 내화 인정서의 내화 도료 두께 확인
내화 도료의 두께를 확인하기 위해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인정을 받은 내화 구조 인정서로 도막의 두께를 확인하는 것에 대해 아래의 사례로 확인할 수 있다.
구분 | 내용 |
내화 구조 인정서 구성 내용 | ● 내화 구조 인정서는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구성하고 있다. |
● 발급 번호 ▷ 내화 구조 인정서 발급 번호를 말한다. ▷ 발급 번호는 제 @@ - @@ 호의 형식을 갖추고 있다. |
|
● 인정 번호 ▷ 한국건설기술연구원장이 인정한 내화 구조 인정 번호로 등재되어 있다. |
|
● 상품명 ▷ 내화 구조 인정을 받은 상품명을 기재한다. |
|
● 내화 구조 명 ▷ 내화 구조 인정 제품의 번호를 말하며 이때 기둥 또는 보의 적용 부위를 기재한다. |
|
● 사용 부위 ▷ 내화 구조 인정을 받아서 사용 가능 부위를 명기한다. ▷ 예를 들면 건축물의 철골 보 또는 기둥으로 표기한다. |
|
● 내화 구조 내용 내화 구조 인정을 받은 내용을 기재한다. ▷ 내화 성능 시간 : 내화 성능의 시간이 1시간인지 2시간인지를 명기한다. ▷ 피복 두께 : 내화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피복 두께를 mm의 단위로 기재한다. ▷ 구조별 두께 : 하도 및 상도의 사용 도료 및 이때의 두께를 명기한다. |
|
● 인정 업체 및 대표자 ▷ 내화 구조 인정을 받은 회사의 업체명 및 대표자를 기입한다. |
|
● 공장 소재지 ▷ 내화 구조 인정을 받은 공장의 소재지를 기입한다. ▷ 내화 도료는 시공할 때뿐만 아니라 제조 공장의 제조 및 환경 설비 등에 따라 성능이 바뀔 수 있기 때문에 공장 소재지를 기입한다. ▷ 만약 공장 소재지가 변경될 시에는 변경 신고를 하여야 하며 또한 제조 설비 등도 확인 받아야 된다. |
|
● 첨부 서류 ▷ 내화 구조 인정을 받은 세부 내용을 기입하며 첨부 서류로 관리한다. |
|
● 유효 기간 ▷ 내화 구조 인정을 받은 일자를 연 월 일로 기입한다. ▷ 내화 인정의 유효 기간은 2년으로 하고 기간이 지났는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
|
● 기타 사항 ▷ 변경 이력 사항 등을 기재한다. 예를 들면 최초 발급일 등을 기입하며 변경 이력을 확인할 수도 있다. |
|
내화 구조 인정서 확인 – 사례 | ● 내화 구조 인정서의 사례를 들어서 상기의 내용의 확인한다. ● 내화 구조 인정서 사례 |
![]() |
5) 내화 도료의 특성 비교에 의한 자재 선정
내화 도료는 수용성과 유성으로 크게 분류한다. 따라서 내화 도료의 선정은 시방서에 의해 정해지며 현장 여건을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자재로 선정되어야 한다. 내화 페인트의 특성을 아래의 표, 내화 페인트 특성 비교의 사례로 검토해 본다.
내화 페인트 특성 비교 - 사례 |
![]() |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업장 외기 온도 및 습도 조건별 내화도장 공사 ㅣ 철골공사 실무 (0) | 2025.04.07 |
---|---|
건물의 용도 및 규모별 내화 도장 공사 ㅣ 철골공사 실무 (0) | 2025.04.07 |
철골 방청 및 내화 페인트 시공 ㅣ 철골공사 실무 (0) | 2025.04.05 |
철골 조립 중 불순물 제거 ㅣ 철골공사 실무 (0) | 2025.04.05 |
강재 표면 처리 공법 선정 및 재료, 장비,도구 준비 ㅣ 철골공사 실무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