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휴먼 에러의 원인과 예방대책"(20??,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문헌을 참조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휴먼 에러의 분류
휴먼 에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분류될 수 있다.
- 첫째, 에러를 일으키는 것이 무엇이냐? 하는 원인으로부터의분류(behavior-orient-ed),
- 둘째, 에러의 발생결과가 무엇이냐? 하는 결과로부터의분류(task-oriented),
- 셋째, 에러가 발생하는 시스템 개발단계(설계, 생산,시험, 가동 등)로부터의 분류가 있다.
1) Swain과 Guttman의 분류
Swain과 Guttman은 개별적인 행동결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① 생략 에러(omission error): 필요한 작업 내지 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에러
② 실행 에러(commission error): 작업 내지 단계는 수행하였으나 잘못한 에러
③ 과잉행동 에러(extraneous act error): 해서는 안 될 불필요한 작업 행동을 수행한 에러
④ 순서 에러(sequential error): 작업수행의 순서를 잘못한 에러
⑤ 시간 에러(timing error): 주어진 시간 내에 동작을 수행하지 못 하거나 너무 빠르게 혹은 너무 느리게 수행하였을 때 생긴 에러
2) A Chapanis의 분류
심리학자 A Chapanis는 에러 분류를 연락에러, 작업공간에러, 지시에러, 시간에러, 예측에러, 연속응답에러로 나누어 관리자나 작업자의 실수를 심리학적 측면에서 분류하였다. 이러한 에러는 인간 행동과정에서 발생한다. 사람이 자극에 따라 반응하고 인식하는 인지과정이 올바르게 처리되고 안전한 행동이 되기 위해서는 정보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들거나 전달과정의 정보를 정확하게 탐색하여,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기초지식이 충분히 저장되어야 활용될 수 있다.
3) J. M. Christensen과 R. G. Mills의 분류
J. M. Christensen과 R. G. Mills는 인간의 요소적 기능에 대한 정보를 지각적 과정에서 올바르게 탐색하고 이해하여 시설 행위사항을 분별하고 중간과정에서 정보처리하여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을 한 후 감독, 지시, 응답, 전달, 조언 등으로 상호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져 단순, 복잡, 연속적인 행동화 과정으로 이행된다고 하였는데, 근로자들의 에러는 심리학적, 생리학적, 의학적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연구되고, 대뇌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위의 에러를 다각적으로 파악하여야 이에 따른 대책도 효율적으로 세울 수 있다.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장에서의 휴먼 에러 일반유형 (0) | 2024.08.01 |
---|---|
휴먼 에러 예방 일반 원칙(Wiener) (0) | 2024.08.01 |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Man Machine System), 정보처리 과정과 휴먼에러의 관계입니다. (0) | 2024.08.01 |
콘크리트 균열의 형태, 모양으로 원인 추정 및 판단 자료 (그림 위주) (0) | 2024.07.31 |
건설사고 신고 방법(CSI)등 안내입니다. (0) | 2024.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