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내용은 콘크리트 구조물 균열관리 매뉴얼(2016, 대전지방국토관리청)문서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I. 주로 발생하는 균열의 형태와 모양
1) 건조수축 균열
2) 수화열 응력에 의한 균열
3) 외부온도 응력에 의한 균열
4) 과 하중에 의한 균열
5) 지진· 과 하중에 의한 균열
6) 부등침하에 의한 균열
II. 기타 균열의 원인
1)콜드조인트
2) 철근부족(좌), 콘크리트 충전불량(우)
3) 콘크리트 침강·침하·블리딩
4) 철근피복 부족
5) 화재(좌), 알칼리골재반응(우)
6) 동바리조기철거, 과하중, 철근 처짐
7) 거푸집부풀음(좌), 동바리처짐(우)
8) 초기건조에 의한 균열(소성균열)
9) 이상응결에 의한 균열
10) 혼화재에 의한 균열
11) 거북등, 망상균열
비교적 간단하게 균열의 형태에 따라서 원인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를 올려 보았습니다. 다음에 더욱 좋은 자료가 있으면 다시 글을 올릴 예정입니다.
지난 글도 "균열"에 대한 것이 있사오니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4.07.23 - [건축기술] - 공식적인 균열조사 요령입니다.
공식적인 균열조사 요령입니다.
본내용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실시 세부지침(안전점검·진단 편) (국토교통부 및 국토안전관리원, 2023)문서를 근거로 쉽게 편집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균열조사 요령 1) 일반균열의 발
chooniarale.tistory.com
2024.07.04 - [건축기술] - 콘크리트 균열 총 정리 자료입니다.
콘크리트 균열 총 정리 자료입니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국내에서 통상 인정되는 허용균열폭은 콘크리트 최소 피복 두께 40㎜ 기준 습윤 환경에서 0.3㎜, 건조 환경에서 0.4㎜이다(한국콘크리트학회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국토교통
chooniarale.tistory.com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먼 에러의 분류 (학술적 측면에서의 분류) (0) | 2024.08.01 |
---|---|
인간 기계 인터페이스(Man Machine System), 정보처리 과정과 휴먼에러의 관계입니다. (0) | 2024.08.01 |
건설사고 신고 방법(CSI)등 안내입니다. (0) | 2024.07.31 |
건진법 안전관리 수준평가 안내입니다. (0) | 2024.07.31 |
화재감시자 종합안내 (기준, 배치, 임무 등) 입니다. (0) | 2024.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