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블록공사 시공방법 안내입니다.

by chooniarale 2024. 8. 9.
반응형

이 글은 안전보건공단(2022).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건설업 조적ㆍ미장ㆍ견출 작업. 자료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I. 블록공사의 종류

    블록공사는 시멘트에 모래, 왕모래, 잔자갈 등을 섞어 진동 가압하여 성형한 블록과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건축물 내외 마감 및 구조 벽체를 만드는 공사로 블록 조적공사와 보강블록 조적공사가 있다. 방화적이고 공사비가 저렴하다는 특징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로 보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종류 내용
단순조적 블록조 보강철근 및 콘크리트를 사용하지 않고 개개의 블록을 모르타르로 붙여 쌓아 내력벽 또는 장막벽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가장 전통적인 블록조의 형태
철근콘크리트 블록조 블록의 빈 속을 철근과 콘크리트로 보강하여 철근콘크리트 라멘체와 같이 횡력에도 저항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단순조적조와 라멘체의 중간에 해당하는 구조
거푸집 블록조 거푸집 대신 껍데기 블록을 쌓고 그 안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한 것

 

II. 블록쌓기 일반사항

  • 살 두께가 두꺼운 면이 위로 가도록 쌓는다.
  • 하루 쌓기 높이는 1.2~1.5m(6~7켜) 이내를 표준으로 한다.
  • 줄눈은 막힌줄눈으로 하고, 줄눈 두께는 10㎜가 되게 한다.
  • 직교하는 벽은 통줄눈으로 하고 줄눈에 철근 또는 철망을 넣어 보강한다.
  • 블록 벽면에 부득이 줄홈을 파서 배관할 때는 그 자리에 사용한 블록의 빈 속까지 모두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채운다.
  • 콘크리트용 블록은 물축임을 하지 말아야 한다.(모르타르 접촉면에만 물을 축인다.)

블록쌓기
블록 모르타르 붙여쌓기

III. 철근콘크리트 보강블록공사 등

1) 철근콘크리트 보강블록공사

  • 단순조적 블록조와 같은 방법으로 블록공사를 하되 블록의 빈 속을 철근과 콘크리트로 보강하여 내력벽 또는 이에 준하는 장막벽을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 철근은 보통 원형철근을 이용하고, 결속선은 0.8㎜(BWG #21) 이상의 철선을 달구어 사용한다.
  • 보강블록조는 원칙적으로 통줄눈 쌓기로 한다.

철근콘크리트 보강블록공사
철근콘크리트 보강블록공사

2) ALC 블록공사

    시멘트+규사+생석회 등 무기질 원료를 고온고압의 증기로 양생시킨 경량기포 콘크 리트 블록(autoclaved lightweight aerated concreteblock)을 건축물 또는 공작물 등의 외벽, 칸막이벽 등으로 사용하는 공사를 말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