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일반사항
1) 합성수지제창호란?
단열성 및 밀폐성이 우수하고 인테리어필름 등 표면마감재로 다양한 미관 구현이 용이하여 세대발코니, 분합문 등 외기와 면하는 창호에 주로 적용하며, 열변형 방지 위한 프로파일의 단면형상과 처짐방지 위한 창호고정 앵커철물 및 보강심 위치 등이 주요 검토사항으로 관리 필요
2) 적용유형은?
∙ 기존 이중창 적용부위는 이중창 적용, 공동주택 발코니는 발코니 단창 또는 이중창 적용
∙ 창(문)은 일괄 교체함을 원칙(창짝만 교체할 경우 추후 기능상 하자 발생 가능)
∙ 창틀 해체가 불가능한 경우 기존 창틀 내부에 창호 설치 가능
3) 비철거식 창호교체 시공과정
∙ 창호는 사용상의 기능(개폐, 파손 등) 및 성능(단열, 누수 등)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교체(무분별한 교체 지양)
∙ 실내 채광 및 환기나 통행이 필요한 경우 추가 설치 가능. 단, 벽체 개구부 시공시 구조체 영향 등 감안하여 시행
II. 시공순서
1) 사전검토(창호 시공 현장의 기본 조건 파악)
① 지역별 건축물 부위의 열관류율 기준(단열성) (건축물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참고)
② 지역별 기본 풍속(내풍압성)
③ 해당 현장 요구 조건(기밀성, 수밀성)
④ 건축물 높이 고려
⑤ 결로방지성능
☑ 철거 유의사항
소음 및 분진발생을 최대한 억제한다. 먼지발생 억제를 위하여 사전에 물을 충분히 뿌려준다. 현장의 폐자재는 반출계획을 철저히 하여 단기간내 반출하도록 한다. 철거 작업자는 반드시 안전화 및 안전모를 착용한다. 타일이나 콘크리트, 벽돌 조각들이 심하게 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인다. 발코니 창호 교체시에는 낙석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막 설치를 권장한다. 사다리차를 이용시 낙하물로 인한 통행자의 안전사고에 유의한다.
2) 개구부 실측
① 창호 설치 위치 확인 및 개구부 실제 사이즈, 수직과 수평 확인
② 골조 상태 및 두께 확인, 창호 주변 마감 상세 확인
∙ 개구부 여유 폭은 상부, 좌 · 우 10㎜ 이내로 계획
∙ 층고, 개구부 여유 폭, 방바닥미장 묻힘깊이, 타일 마감 등을 고려하여 보 춤 검토
∙ 지역별 단열재두께+석고보드+내민길이를 감안하여 골조 내측으로 창틀 내밈 길이 결정
![]() |
☞ 창틀의 위치는 내부 마감두께(단열+도배) 및 외부 실링마감 등 감안하여 내측 도배마감(석고보드+10mm이상)이 가능토록 위치 ☞ 외부창호는 누수방지 및 실링공사를 가능토록 구조체와 충분히 겹치도록 위치 |
③ 창호 반입과 보관 공간 및 창호 시공 전, 후 공정 협의
④ 철물 사양 및 길이 검토, 고정 부자재 선택
⑤ 외부발코니 창 설치시 난간대 안쪽 방충창 설치 공간 확보 여부 확인
3) 창호 반입
① 자재 하차 및 이동시 2인 이상 운반. 파손 및 스크래치, 끌림으로 인한 손상 주의
② 자재 가공 상태 검수
③ 창호 적재 및 보관시 전도, 오염, 직사광선 노출 예방
④ 세대 양중 전 창짝의 개폐방향 및 배수구 개공 위치 등 확인
⑤ 세대 양중시 파손, 찍힘, 스크래치, 추락 주의
물흘림 구멍 |
![]() |
![]() |
4) 창틀 시공
① 고정 철물 사양 및 고정 간격 검토(창틀의 수직, 수평 확인)
② 하부에는 창틀 설치 전 고임재 이용 처짐현상 방지
③ 창틀 균형을 잡기 위하여 창틀 상부 끝단 삼각고임목 임시고정
∙ 창틀 고정 시 아래 기준을 참고하되, 개구부 구조체 형태에 따라 보완
![]() |
![]() |
∙ 앵커철물 고정 시 보강심 위치에 정확히 고정하여야 문틀휨 · 변형 방지가능
∙ 창틀 부위 도배마감 시 창호의 개폐충격으로 인한 도배탈락, 창틀 울림현상 방지를 위해 충격 방지용 철물 또는 브라켓 추가시공 등 검토
∙ 매립앵커 구멍은 합성수지캡으로 마감(미관향상)
∙ 자재승인 시 창틀 단면 내부에 구조용 보강재 여부 필히 확인
∙ 창틀고정 앵커는 플라스틱 직결앵커 또는 동등이상의 성능을 가진 고정 나사못으로 체결
∙ 고정앵커의 개공위치는 반드시 창틀의 보강재를 관통하여 고정
∙ 발코니창은 비확장(단열재 미설치벽)은 플라스틱 직격앵커로 고정, 확장 (단열재 설치벽)은 T형 철물 등으로 고정
④ 창틀과 철물 고정시 나사 3개소 이상 보강재 결착 고정
∙ 철물규격은 1.8T 이상으로 창호 마감치수를 고려하여 제작
∙ 문틀과 골조면 각 1개소 이상 고정(평철은 2개소 이상 고정)
∙ 창틀의 내부측 내민길이 조정 시 마감재 치수 계산 및 벽체 평활도 감안한 여유치수 확보(창틀의 내민길이는 지역별 단열재 두께+석고보드 치수+ 여유치수(α))
∙ 창틀 하부의 T형 고정철물 길이가 골조면에서 실내로 120㎜ 이상 돌출 시 창틀중앙 벤트부위에 하부지지대 사용(창폭 W=3,000 이하 : 2개소, W= 3,000 초과 : 3개소)
∙ 발코니 외부창호 하부 앵커는 형재 내부에서 고정하고, 고정부위는 캡 시공 후 액상실링 마감
∙ 창틀 하부 유입우수 및 결로수 배출을 위한 물흘림구멍 확인(통풍방지를 위해 엇갈림 시공 확인)
⑤ 타정핀 고정 후 칼블럭 또는 스터드앵커 고정 관리(스터드 앵커 너트 조임 상태 관리)
☑ 샌드위치판넬 벽체에는 벽체 내/외부로 과도하게 돌출되지 않도록 적정 규격의 창호 적용 |
![]() |
☑ 고층의 경우 스카이고소차로 자재 인양 및 시공하되, 하부 안전관리자 배치하여 안전사고 예방 조치 |
![]() |
5) 사춤 및 코킹
① 창틀 하부 몰탈, 창틀 측면과 상부는 우레탄폼을 사춤(과다 충진 및 사춤 미흡 주의)
∙ 창틀 및 발코니 외부창호 하부는 창호 무게로 인한 처짐현상 방지 위해 시멘트모르터 시공
∙ 외기에 면하는 창(확장형 세대 창호, 발코니 외부창호 등)은 처짐방지 및 누수차단 등의 목적으로 방수모르터 사춤
∙ 외부실링 작업 시 누수의 원인(고임목, 먼지, 이물질, 우레탄 마감 정리 미흡 등)은 반드시 제거
∙ 발코니 외부창 및 확장형 발코니 외부창은 누수방지 위해 고정철물 부위에 실링 실시
∙ 우레탄폼 사춤 시 우레탄폼의 폭을 20~30㎜ 정도로 내 · 외부에서 2회 시공
② 실리콘 코킹 부착면 확보(실리콘 사양 준수하고 창틀 배수구 확보 주의)
③ 부착력 향상을 위해 프라이머 도포
④ 창틀 외측 배수구가 막히지 않도록 시공 관리
∙ 창틀 외부는 누수방지를 위해 충분한 두께로 실링 마감
∙ 창틀 내측 단부에 공간과다 및 선형불량한 경우 몰딩(문선)으로 마감 기능, 단, 실외측은 틈새과다 등 마감이 불가능한 경우에 한하여 몰딩 적용
6) 창 · 문짝 시공
∙ 크리센트 작동 및 잠금 상태, 개폐 시 여밈대 부위 교차 시 소음 발생 여부 확인
∙ 내 · 외부 손잡이(2조) 설치유무 확인
∙ 창의 개폐충격 완화하기 위한 창틀레일 상 · 하부 합성수지재 스토퍼 설치유무 확인
∙ 모헤어를 창짝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창틀의 폭 중앙 상하부에 기밀재(풍지판) 부착
∙ 분합문 하부틀 처짐에 대비한 짝의 크기 조정(걸침길이 : 상부 12㎜ 이상, 하부 8㎜ 이상)
7) 창호 철물
∙ 장애인 등 수급자 특성을 고려하여 개폐가 용이토록 손잡이 추가설치 또는 손잡이 및 크리센트 위치 낮춤 조치
∙ 창호가 외기에 면하는 경우 창호유형에 따라 방충망 유형 선택 설치(미서기 방충망, 여닫이 방충망, 롤방충망) 설치
∙ 방충망 틀의 상,하,좌,우 4면 모두 모헤어 부착여부 확인(모헤어가 끝단까지 밀실하게 설치되지 않을 경우 모헤어 기능 저하)
∙ 외벽창호에 환풍기, 배관 등 설치할 경우 창호와 보조창호(픽스창)으로 구획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 수선공사의 유리공사 안내 (0) | 2024.08.13 |
---|---|
주택 수리, 수선공사의 강제창호 시공방법, 유의사항 등 (0) | 2024.08.13 |
주택수선공사 목재창호 시공 가이드 (0) | 2024.08.13 |
주택수선, 수리 공사에서 창호의 선택 및 일반적인 이해 (0) | 2024.08.13 |
주택수선공사에서 장판시공 안내입니다. (0) | 2024.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