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주택 수리, 수선공사의 강제창호 시공방법, 유의사항 등

by chooniarale 2024. 8. 13.
반응형

I. 일반사항

1) 강제창호는?

    내열성과 강도가 우수하여, 방화구획의 방화문, 세대현관문 등에 주로 적용되는 창호
재료의 특성상 중량으로 이를 지탱하는 힌지의 역할이 중요하며 적용부위에 따라 방화성능(갑종, 을종), 결로방지성능, 제연설비 자동개폐, 상시 개방형 등 다양한 기능과 접목

 

2) 강제창호 유형은?

∙ 내열과 강도가 우수하여, 방화구획의 방화문, 세대현관문 등에 주로 적용
∙ 현관문은 부분보수(부속철물 교체, 도장 등)를 먼저 검토하고, 파손 · 녹발생 등으로 기능상 문제가 있는 경우에 교체
∙ 공동주택 복도형 아파트(외기에 노출)의 세대현관문은 결로방지형 세대현관문 적용
∙ 공동주택 방화문은 내화성능을 만족하여야 함 (KS F 3109(문세트), 갑종 : 비차열 60분, 을종: 비차열 30분 성능기준 충족)
∙ 공동주택 실내에 면하는 대피공간 방화문일 경우 내화성(비차열 60분), 차열성 (차열 30분) 등 방화성능기준 충족
∙ 단독주택의 주물 현관문은 제품업체의 적용기준에 따라 적용

 

3) 주요부속자재

 

II. 시공 유의사항

∙ 기존 문틀 철거시 주변 구조체 균열 및 파손을 최소화토록 주의
∙ 단독주택 등 신규설치 시 문틀 고정을 위하여 고정벽체(각재, 조적 등) 우선 설치
∙ 단독주택 등 현관문 개구부가 과다한 경우 문틀 상부 및 좌우 확장한 형태의 주물도어 적용

∙ 문틀은 여닫는 충격에 견딜 수 있도록 상하부 및 좌우측 벽체에 앵커철물로 견고히 고정
∙ 문틀 주변의 틈은 10mm 내외로 시공, 문틀 고정 후 몰탈로 밀실하게 사춤

 

∙ 현관문은 상부에 도어클로저(자동닫힘), 하부에 도어스토퍼(충격방지) 설치
∙ 문틀 가스켓은 문틀 홈에 본드로 부착하여 밀착 시공

∙ 단독주택의 대문은 생활범위 상 전유부분으로 보고 거주자의 생활안전, 방범 및 생활동선에 해당하는 공유부분(담장, 대문 등)은 수선 가능
∙ 기존 대문의 상태가 양호한 경우 도장공사로 우선 적용하고, 기능상의 문제가 있는 경우에 교체. 단, 담장을 포함한 신규설치는 가급적 지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