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 공통사항
1) 사전작업 주의 사항
- 기초판 조립 시 버림콘크리트의 시공이 부실 할 경우, 기초 철근에 흙이 묻어 부착력이 저하되거나 정확한 기둥 먹매김 표시를 할 수 없고 수평에도 문제가 생긴다.
- 버림콘크리트는 50mm 확보한다.
- 버림콘크리트 F.L이 맞지 않을 경우, S.L을 맞추는데 어려움이 생긴다.
2) 간격재(Spacer) 높이
- 기초공사에서 간격재는 철근의 수평 및 안착을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 간격재는 규격품을 사용한다. 현장에서 돌이나 벽돌등을 사용하면 안된다.
- 간격재의 높이은 버림 콘크리트 위일 경우 60mm
※ 파일머리가 기초속으로 들어가는 이유는, 지진시 파일의 휨파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II. 독립기초 배근 단면
1) 배근 단면
정착길이가 확보된 경우 | 정착길이가 확보되지 않은 경우 |
![]() |
![]() |
2) 띠철근 (Tie Hoop) 배근
- 띠철근의 주된 목적은 기둥 주근의 좌굴을 방지하고 하중지지를 견고히 하는 것이다.
- 기초는 매우 압축력에 강한 부위므로 띠철근의 간격등을 엄밀하게 규정할 필요성은 없으나, 밑창 띠철근 시공은 주근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므로 중요하다.
띠철근 보강 전 | 띠철근 보강 후 |
![]() |
![]() |
3) 기초 우마 철근의 배근
- 기초두께 T=1,000mm 이하는 HD16,
- 기초두께 T=1,000 mm 초과는 HD19를 사용하며 간격은 @1,000~@1,500으로 함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둥의 이음 및 기둥 층간 치수변화 시 철근배근 수정방법 입니다. (0) | 2024.08.14 |
---|---|
기둥 철근 배근의 방법입니다. (0) | 2024.08.14 |
철근의 겹침이음 기준입니다. (0) | 2024.08.14 |
철근의 피복두께 기준입니다. (0) | 2024.08.14 |
철근공사에서의 도면의 이해 (도면기호 등) (0) | 2024.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