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철근의 피복두께 기준입니다.

by chooniarale 2024. 8. 14.
반응형
근거: KSD 14 20 50(2022년 1월 개정)  http://www.kcsc.re.kr

 

I. 철근의 피복

철근 표면과 이것을 덮는 콘크리트 표면까지의 최단 거리를 말하며, 각 부위의 피복두께는 내구성, 내화성, 구조내력상 안전성 및 시공오차를 고려하여 설계시점에서 정한다.

Co2, 습기, 산성가스의 영향으로 콘크리트의 표면에서부터 점차적으로 중성화가 진행되는데 피복이 작으면 철근에 중성화가 도달하는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그렇게 되면 철근의 녹이 발생, 팽창, 피복의 부착성을 저하하고, 백화 현상이 동반되면서 구조물의 노화를 촉진시킨다. 

II. 철근의 피복두께 기준

구분 철근의 크기 최소피복두께
수중에서 치는 콘크리트 기초 모든철근 100mm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를 친 후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콘크리트 기초 모든철근 75mm
흙에 접하거나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콘크리트 . D19 이상의 철근 50mm
. D16 이하의 철근,  지름 16mm 이하의 철선 40mm
옥외의 공기나 흙에 직접 접하지 않는 콘크리트 . 슬래브, 벽체, 장선 D35 초과 40mm
D35 이하 20mm
. , 기둥 띠철근, 스트럽, 나선철근 40mm
. , 절판부재   20mm

※ 주기 : "옥외의 공기에 직접 노출되는" 이란 온도변화와 습도변화에 직접 노출되는 경우를 말함.

 

※ 벽체의 경우 수평철근을 수직철근보다 바깥 측에 배근함

※ 토압을 받는 지하외벽은 수직철근과 수평철근의 배근량을 비교하여 배근량이 많은 쪽을 바깥 측에 배근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