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재해율
1) 재해율
근로자 100명당 발생하는 재해자 수의 비율
2) 연천인율
근로자 1,000명당 발생하는 재해자 수의 비율
ex) 연평균 근로자수가 200명이고 연간 2건의 재해가 발생했을 때, 연천인율 = 2/ 200×1,000 = 10건
3) 사망만인율
4) 빈도율 또는 도수율(Frequency rate of injury : FR) (건)
100만시간 작업 시 몇 건의 재해가 발생하는가 하는 재해발생빈도율을 나타내는 통계
ex) 연간 재해발생건수가 2건일 때, 빈도율 = 2/2400×1,000,000 ≒ 833.33건
5) 강도율(Severity rate of injury:SR)(일)
연평균 근로시간 1,000 시간당 발생되는 근로손실일수를 구하여 재해의 강도를 알아보는 통계
※ 근로손실일수 = 재해에 의한 휴업일수 × 300 / 365
ex.1) 작업장에서 연간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을 때, 강도율 =7,500/2,400×1,000 = 3,125일
ex.2) 작업장에서 14등급의 재해판정을 받은 연간 1명의 재해자가 발생했을 때, 강도율 = 50/2,400 ×1,000 ≒ 20.83일
II. 환산재해율
1) 환산도수율(F)과 환산강도율(S)
한 작업장에서 한 사람이 평생 근무를 할 때 재해로 인하여 어느 정도의 근로손실일수 및 몇 건의 재해를 당하는가를 알아보는 통계
① 환산도수율(건, 평생 근무 시 재해건수) = 도수율 ÷ 10 = 재해건수 /연근로시간수 ×일평생근로시간수
② 환산강도율(일), 평생 근무시 근로손실일 수 = 강도율 × 100 = 근로손실일수/연근로시간수 ×일평생근로시간수
※ 일평생 근로시간수 = 8시간/일 × 25일/월 × 12개월/년 × 40년 + 4,000시간 = 100,000 시간
2) 건설업의 환산재해율
III. 기타 재해관련 공식
1) 종합재해지수(FSI: Frequency Severity Indicator)
도수 및 강도치를 나타내며 어느 기업의 위험도를 비교할 때 사용
종합재해지수 = √(도수율×강도율)
2) 세이프 티 스코어(Safe T. Score)
과거와 현재의 안전성적을 비교분석하는 방법
세이프티스코어 = [도수율(현재) - 도수율(과거)]/ √ 도수율(과거) /근로총시간수(현재)×1,000,000
․ +2.00이상 : 과거보다 심하게 안전도가 나쁨
․ +2.00~-2.00 : 과거와 차이 없음
․ -2.00이하 : 과거보다 안전도가 좋아짐
3) 안전활동률
1000,0시간당 안전활동 건수 (안전활동의 결과를 정량적으로 표시하는 기준 )이다
안전활동 건수에 포함되어야 할 항목
* 실시한 안전개선 권고수
* 안전조치한 불안전 작업수
* 불안전한 행동 적발건수
* 불안전한 물리적 상태 지적건수
* 안전회의 건수
* 안전홍보 건수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 분석과 위험관리 (0) | 2024.08.16 |
---|---|
재해손실비용의 종류 및 계산방식 (하인리히 버즈 등) (2) | 2024.08.16 |
산업안전에서의 집단관리와 리더쉽 (0) | 2024.08.16 |
산업심리 중 인간행동성향 이론들 (0) | 2024.08.16 |
무재해운동에 대한 이론과 설명입니다. (0) | 2024.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