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근거 : KS F 2405 : 2010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방법
1) 시험용 기구
구분 | 설명 |
① 압축 시험기 | 압축 시험기는 KS B 5533의 표1(시험기의 등급)에 규정하는 1등급 이상의 것으로 한다. 또한 시험시의 최대하중이 칭량의 1/5에서 칭량까지의 범위에서 사용한다. 동일 시험기에서 칭량을 가할 수 있는 경우는 각각의 칭량을 별개의 칭량으로 간주한다. |
② 상하의 가압판 | 상하의 가압판의 크기는 공시체의 지름 이상으로 하고, 두께는 25mm이상으로 한다. 가압판의 압축면은 연마 가공으로 하고, 그 평편도는 100mm당 0.02mm이내이며, 그 쇼어 경도는 70HS이상으로 한다. *주) 여기에서 말하는 평편도는 편평한 부분의 가장 높은 곳과 가장 낮은 곳을 지나는 두 개의 평면을 고려하여 이 평면 사이의 거리로 나타낸다. |
③ 구면 시트 | 위 가압판은 구면 시트를 가진 것으로 한다. 구면 시트는 가압판 표면 위에 그 중심을 가지며, 가압판의 회전각을 3°이상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한다. |
2) 시료 준비
① 공시체의 수는 3개 이상이어야 한다.
② 시험을 하는 공시체의 재령은 7일, 28일, 90일 또는 그중 하나로 한다.
③ 콘크리트의 강도는 공시체의 건조 상태나 온도에 따라 상당히 변화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양생을 끝낸 직후의 상태에서 시험을 하여야 한다.
3) 시험 방법
내용 | 사진 |
① 공시체의 치수를 측정한다. 지름은 공시체 높이의 중앙에서 서로 직교하는 2방향에 대하여 0.1mm까지 측정하고, 높이는 1mm까지 측정한다. 공시체의 지름( d)은 0.1㎜까지 측정하며, 다음 식으로 산출한다. KS Q 5002에 따라 끝맺음한다. d = (d1+d2)/2 여기에서 d1, d2 직교하는 2방향의 지름(mm)임 |
![]() |
②시험기에 위치시킨다. 공시체의 상하 끝면 및 상하의 가압판의 압축면을 청소한다. 공시체를 공시체 지름의 1%이내의 오차에서 그 중심축이 가압판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놓는다. 시험기의 가압판과 공시체의 끝면은 직접 밀착시키고, 그 사이에 쿠션재를 넣어서는 안된다. 다만, 언본드 캐핑에 의한경우는 제외한다. |
![]() ![]() |
③ 공시체에 하중을 가한다. 공시체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똑같은 속도로 하중을 가한다. 하중을 가하는 속도는 압축 응력도의 증가율이 매초 0.6 ± 0.4MPa(=N/㎟)가 되도록 한다. |
![]() |
④ 공시체 파괴시의 하중 (P)을 측정한다. 공시체가 급격한 변형을 시작한 후에는 하중을 가하는 속도의 조정을 중지하고, 하중을 계속 가한다. 공시체가 파괴될 때까지 시험기가 나타내는 최대하중을 유효 숫자 3자리까지 읽는다. |
![]() |
4) 결과의 계산
공시체의 압축강도는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하여 유효숫자 3자리로 한다.
공식 | 주기 |
![]() |
![]() |
5) 품질관리기준
① 7일 강도용 : 1개조(3개)평균값이 적정강도 [(F28-0.336)/1.51]이상이고, 공시체 각각은 적정강도의 85% 이상일 것
② 28일 강도용 : 1개조(3개)평균값이 설계기준강도의 85% 이상이고, 3개조 9개의 평균값은 설계기준강도의 100% 이상일 것
③ 거푸집 존치기간 판단용 : 구조체 부위별로 1개조(3개)평균값이 적정강도 이상이고, 공시체 각각은 적정강도의 85% 이상일 것
④ 강도시험에 불합격하였을 경우 조치
- 강도시험 결과가 규정강도보다 낮은 콘크리트로 나타나는 경우 KS F 2422에 적합한 방법으로 3개의 시험코어를 채취하여 강도시험을 하며, 이때 코어의 채취위치는 구조적으로 위험이 없는 부위로 한다. 3개의 코어의 평균 강도가 설계기준강도의 85%이상이며, 모든 코어가 설계기준강도의 75%보다 크면 구조적으로 적정한 것으로 판정한다.
6) 압축강도 시험결과 산출사례
지름 100㎜인 콘크리트 공시체의 28일 압축강도 시험결과 측정계기판으로부터 ①208,544N ②206,388N ③213,640N의 최대 파괴하중 값을 얻었을 경우, 압축강도 계산 예
- 작업 1 : 측정계기판의 최대 파괴하중 값에 대하여 유효수자 3자리 읽음 | 208,544→209,000 N, 206,388→206,000 N, 213,640→214,000 N |
- 작업 2 : 개별 압축강도 값 계산(최대 파괴하중/공시체 단면적 X 보정계수) | 209,000 / 7854.0 x 0.97 = 25.8123 206,000 / 7854.0 x 0.97 = 25.4418 214,000 / 7854.0 x 0.97 = 26.4298 |
- 작업 3 : 압축강도 값의 유효수자 3자리 맺음 및 조별 평균 계산 | 개별 압축강도 : ①25.8 ②25.4 ③26.4[N/mm2] 평균 압축강도 : (25.8 + 25.4 + 26.4) / 3 = 25.9[N/mm2] |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크리트 염화물함유량 시험방법 (0) | 2024.08.24 |
---|---|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함유량 시험방법 (0) | 2024.08.24 |
콘크리트의 강도시험용 공시체 제작방법 안내 (사진 위주) (0) | 2024.08.24 |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료채취방법 : KS F 2401 : 2017 (0) | 2024.08.24 |
압축강도시험용 공시체의 시료 채취방법 예시 (0) | 2024.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