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근거 : KS F 2421 : 2016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함유량 시험 방법 (공기실 압력방법)
1) 시험용 기구
구분 | 설명 |
①공기량측정기 용기의 지름은 높이의 0.75~1.25배로 하고 용적은 주수법은 5L, 무주수법은 7L정도 이상인 것으로 한다. 또한 100kpa의 압력에서 공기 및 물이 새지 않는 구조이며, 압력계는 공기량의 백분율을 8%까지 눈금표시하고 초기 압력을 명시한 것으로 한다. |
![]() |
② 기타 : 다짐봉, 자, 나무망치 등 |
2) 시료 준비
시료는 KS F 2401(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료채취방법)에 따라 채취하거나 또는 KS F 2425(시험실에서 콘크리트 시료를 만드는 방법)에 따라 만든다.
3) 시험 방법 (무주수법)
골재수정계수(G)의 측정 : 공기량을 구하려고 하는 용량 (Vc)의 콘크리트 시료 안에 있는 잔골재 및 굵은 골재의 질량을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한다.
4) 콘크리트 공기량의 측정
내용 | 사진 | |
시료를 용기의 1/3까지 넣고 바닥에 닿지 않도록 다짐봉으로 25회 균등하게 다진다. 다짐구멍이 없어지고 표면에 큰 거품이 보이지 않도록 용기 옆면을 10~15회 나무망치로 두드린다. |
![]() |
![]() |
시료를 용기의 2/3까지 넣고 1/3지점까지 다짐봉으로 25회 균등하게 다진다. 다짐 구멍이 없어지고 표면에 큰 거품이 보이지 않도록용기 옆면을 10~15회 나무망치로 두드린다. |
![]() |
![]() |
시료를 조금 흘러 넘칠 정도로 넣고 2/3지점까지 다짐봉으로 25회 균등하게 다진다. 다짐구멍이 없어지고 표면에 큰 거품이 보이지 않도록 용기 옆면을 10~15회 나무망치로 두드린다. |
![]() |
![]() |
여분의 시료를 깎아서 평탄하게 한다. | ![]() |
![]() |
덮개를 용기에 부착하고 모든 밸브를 닫고 공기 핸드 펌프로 공기실의 압력을 초기압력보다 약간 크게 한다. 약 5초 후 조절밸브를 서서히 열고 압력계의 바늘을 안정 시키기 위하여 압력계를 가볍게 두드리고 지침을 초기압력의 눈금에 일치 시킨다. |
![]() |
![]() |
약 5초 지난 후 작동밸브를 충분히 열고 용기의 측면을 나무망치로 두드린다. | ![]() |
![]() |
다시 작동밸브를 충분히 열고 지침이 안정되면 압력계의 눈금을 읽는다.(겉보기공기량, A1) | ![]() |
end |
4) 결과의 계산
콘크리트의 공기량(A)은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한다.
공식 | 주기 |
![]() |
![]() (단, 골재수정계수가 0.1% 미만인 경우는 생략하여도 좋다.) |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량기포 콘크리트(플로우,기포율,비중 등)시험 안내 (0) | 2024.08.24 |
---|---|
콘크리트 염화물함유량 시험방법 (0) | 2024.08.24 |
콘크리트 압축강도 시험방법 안내 (0) | 2024.08.24 |
콘크리트의 강도시험용 공시체 제작방법 안내 (사진 위주) (0) | 2024.08.24 |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료채취방법 : KS F 2401 : 2017 (0) | 2024.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