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함수비 보정방법
1) 개요
- 이 글은 함수비 보정방법은 품질시험센터에서 자체적으로 연구 시험한 결과로“2007년도 한국지반공학회”발표 논문인 "함수비가 굵은골재에 미치는 영향"을 근거로하여 작성되었다
2) 적용
- 이 함수비 보정방법은 재료의 포설 후 다짐 전에 실시하는 함수비를 측정함에 있어 20mm체를 기준으로 하여 적용하고, 노반,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입도조정기층 등 굵은 골재가 포함된 모든 재료에 대해 적용한다.
- 노체, 노상의 경우는 조립자 보정방법의 적용기준인 20mm체를 잔류량이 5% 미만의 경우는 함수비 보정을 실시하지 아니하고, 또한 굵은 골재의 함수비 시험이 곤란한 경우는 굵은 골재 함수비를 2%를 적용할 수 있다.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입도조정기층 등도 굵은 골재 함수비를 2%를 적용할 수 있으나, 동 공종은 가능하면 실내시험을 통해 결정한 값을 사용한다. - 재료의 포설 후 다짐 전 OMC± 2%의 함수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즉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체계적인 절차를 정한 것이나, 동 시험방법에 따라 정한 함수비가 오차가 없다고 할 수는 없다. 따라서 건설공사에서 이 함수비 보정방법보다
합리적인 관리방안이 있을 경우에는 그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3) 20mm체를 기준으로한 함수비 보정방법
① 건설공사 현장에서 임의로 채취하여 실내시험을 통해 굵은 골재 함수비를 결정할 때는 현장에서 직접 시험할 때와 같은 환경 조건을 위하여 체분석을 실시하고, 20mm체 잔류량 함수비 측정시 굵은 골재에 붙은 잔분을 강제로 제거하지 않고
실시한다.
② 실내에서 굵은 골재 함수비 결정할 경우 가수를 2%단위로 실시하는 것은 다짐시험에서 규정한 것을 준용한 것으로 토사와 물이 잘 혼합되게 하기 위함 이다. 그리고 보조기층, 입도조정기층의 OMC는 거의 6~7%사이이고, 굵은 골재의
함수비는 최대 3%를 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보고 되고 있다.
③ 이 함수비 보정방법은 재료의 포설 후 다짐 전에 실시하는 함수비 시험과 현장 밀도시험(모래치환법에 의한 밀도시험)에서 구멍속의 함수비를 측정할 경우에 사용한다.
④ 20mm체에 남는 굵은 골재 함수비를 실내시험에서 결정
- 건설공사현장에서 임의의 시료를 채취한다.
- 채취한 시료를 항온건조로에 건조시킨다.
- 실내다짐시험에서 결정한 OMC의 ±3% 범위로 하여 건조시료에 함수비를 2%단위로 가수를 한다.
- 각 2% 단위로 가수시킨 후 20mm체로 체분석 한다. 그리고 20mm체에 남는 재료에 대해 항온건조로를 이용하여 함수비 측정
- 2% 단위로 반복적으로 20mm체에 남는 굵은 골재 함수비를 결정한다.(한예로 OMC가 6%의 경우 3%, 5%, 7%, 9%를 가수하여 반복 시험으로20mm체에 남는 굵은 골재 함수비 측정)
- 결정된 20mm체에 남는 굵은 골재의 함수비중 OMC에서 근접한 두개의 20mm체에 남는 굵은 골재 함수비를 평균하여 적용한다.
⑤ 20mm체 기준으로 굵은골재와 잔골재를 결합시킨 함수비보정
- ④ 에서 결정한 20mm체 남는 굵은골재 함수비는 MCC에 대입
- Pf, Pc는 현장에서 함수비를 측정하기 위해 채취한 샘플의 체분석에 의해 결정되는 값
- MCf,는 20mm체를 통과한 시료중 5mm체를 통과한 잔골재로 급속함수량 시험기를 이용하여 함수비 측정한 값
- 결정한 값을 아래의 공식에 대입하여 보정된 함수비로 포설 후 다짐 전 함수비를 관리한다.
공식 | 주기 |
![]() |
![]() |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로 평판재하시험 방법 안내 (0) | 2024.08.25 |
---|---|
급속함수량 시험 방법안내 (0) | 2024.08.25 |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시험방법 안내 (0) | 2024.08.25 |
조립자 보정방법 안내 (0) | 2024.08.24 |
흙의 다짐시험 (KS F 2312) 방법 안내 (0) | 2024.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