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로 평판재하시험 : KS F 2310
1) 시험목적
도로의 노상, 노반 지지력 계수를 구하기 위함.
2) 시험기구
① 재하판 ② 잭 ③ 다이얼게이지 ④ 지지용 빔 ⑤ 재하장치 ⑥ 스톱워치 |
![]() |
3) 시험방법
시험방법 | 사진 |
지반을 수평하게 고르고, 필요하면 얇게 모래를 포설한다. 이 위에 시험에 사용되는 지름의 재하판을 설치하지만, 보다 작은 지름의 재하판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이것들도 중심을 맞추어 순서대로 쌓아 올린다. 재하판 위에 잭을 놓고 지지력 장치와 조합하여 소요 반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그 때 지지력 장치의 지지점은 재하판의 바깥쪽 끝에서 1m 이상 떨어져 배치하여야 한다. 재하판의 정확한 침하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변위계를 부착한다 |
![]() |
재하판을 안정시키기 위하여 미리 하중강도 35kN/㎡(0.35kgf/㎠) 상당의 하중을 가하고 나서, 하중을 0으로 제거하여 변위계의 눈금을 읽고 침하의 원점으로 한다. | ![]() |
하중 강도가 35kN/㎡(0.35kgf/㎠)씩 되도록 하중을 단계적으로 증가해 나가고, 하중을 올릴 때마다 그 하중에 의한 침하의 진행이 멈추는것을 기다려 하중계와 변위계의 눈금을 읽는다.(1분간의 침하량이 그 하중 강도에 의한 그 단계에서의 침하량이 1% 이하가 되면, 침하의 진행이 정지된 것으로 본다. | ![]() |
침하량이 15mm에 달하거나 하중 강도가 현장에서 예상할 수 있는 가장 큰 접지 압력의 크기 또는 지반의 항복점을 넘으면 시험을 멈춘다. | ![]() |
4) 기록 및 정리
① 시험결과는 아래 표와 같이(작성 예) 기록하고, 하중 강도와 침하량의 관계를 구한다.
재하판의 지름 : 30cm 측정연월일 :
재하판의 면적 : 706.5㎠ 시 험 번 호 :
시간 min ̄s |
하 중 | 침 하 | 침하량 (mm) |
||||
하중계의 눈금 |
전하중 (kN) |
하중강도 (kN/㎡) |
변위계의 눈금(mm) | ||||
왼쪽 | 오른쪽 | 평균 | |||||
0-0 5-05 10-03 14-58 18-42 22-30 26-02 29-15 31-45 35-10 38-30 |
0 13 26 40 53 66 79 93 106 119 132 |
0 2.5 5.0 7.4 9.9 12.4 14.8 17.3 19.8 22.3 24.7 |
0 35 70 105 140 175 210 245 280 315 350 |
0.05 0.30 0.60 0.85 1.19 1.48 1.77 2.04 2.36 2.68 3.05 |
0.07 0.28 0.52 0.80 1.09 1.32 1.61 1.84 2.16 2.46 2.7 |
0.06 0.29 0.56 0.83 1.14 1.40 1.69 1.94 2.26 2.57 2.91 |
0 0.23 0.50 0.77 1.08 1.34 1.63 1.88 2.20 2.51 2.85 |
② 하중강도 - 침하량 곡선을 그린다.
③ 지지력 계수는 하중 강도-침하량 곡선에서 일정 침하량일 때의 하중 강도를 구하고, 다음 식에 따라 산출한다.
※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철도,활주로)에 대하여는 1.25mm, 아스팔트 포장에서는 2.5mm 침하량일 때 지지력 계수를 구한다.
※ 재하판의 표준지름은 30cm이며, 기타 지름의 재하판을 사용하였을 때는 다음 식에 따라 표준의 K값에 대한 환산이 이루어진다.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루프롤링 시험 안내 (0) | 2024.08.25 |
---|---|
프로파일미터에 의한 포장의 평탄성 시험방법 안내 (0) | 2024.08.25 |
급속함수량 시험 방법안내 (0) | 2024.08.25 |
조립자(굵은 골재) 함수비 보정방법 (0) | 2024.08.25 |
모래치환법에 의한 흙의 밀도시험방법 안내 (0) | 2024.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