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만약 이 책의 내용대로 주식시장의 대폭락을 예상할 수 있다면 3배수 ETF에 투자하여 부자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아서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현시점을 재 조명 해본다.
1. 정의
- 대폭락: 30~40% 급락
- 기술적 조정: 전고점 대비 8~15% 하락
2. 대폭락 징후 (감지 조건)
- 1)종합주가지수 전고점대비 2.5~3배 이상 상승, 2)GDP하락, 3)기준금리인상압박 최고조
- 위의 1),2),3) 동시발생
- 전쟁, 오일쇼크, 코로나 등
3. 전략1 (대폭락 전략)
1) 3배수 ETF 장기투자를 시작한다.
2) 대폭락을 대략적으로 예상한다.
3) 예상 시정부터 6~12개월 이전에 3배수 ETF를 전량 매도: 현금화
4) 대폭락이 발생하면 저점부근(3배수 ETF가 전고점대비 70~80%까지 하락)에서 3배수 ETF를 재매수하여 7~10년 후에 다시 오는 대폭락 때까지 장기보유한다.
4. 전략2 (기술적조정 전략)
1) 매년 4월 말에 3배수 ETF를 매도한다.
2) 5~8월 사이에 종합주가지수가 전고점대비 8~15% 하락하면, 3배수 ETF는 25~45% 하락한다. 5~8월 사이에 최소 한번 정도는 이런 조정이 발생한다. 이 기회를 기다려서 저점에서 3배수 ETF를 전량 분할 재매수하여 다음 해 4월 말까지 보유한다.
5. 실현성 검토
- "그리 어려운 일이나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라고 이 책에서는 말하고 있다.
- 이 책을 읽다 보니 몇 가지 중요한 전제조건이 대폭락을 대략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인데 이론에 의하면 대폭락 시기는 10~7년이라고 했으므로 최근 대폭락을 2019년 코로나로 본다면 2027~2030년에 한차례 큰 대폭락이 예상된다.
- 2024년 중 연준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하지 않는다면 긴축 5단계 정도에 와있는 상태인 것 같다.
-
책의 내용중 연준관련 패턴 - 그리고 현재는 2024년 5월~8월 사이이므로 3배수 ETF를 매수하여 내년 4월까지 들고 갈 타이밍이라는 판단도 선다.
- 이 책에는 더 추가적인 전략이 있는데, 내용이 전문가가 아니면 실현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반응형
'경제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 웨더 포트폴리오(All Weather Portfolio) 전략을 소개합니다. (0) | 2024.06.20 |
---|---|
채권투자에 대한 기본적 사항 정리입니다. (0) | 2024.06.04 |
일본 엔화로 미국주식(ETF) 투자하기 (0) | 2024.05.28 |
미국 자산들간 상관관계 입니다 (0) | 2024.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