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실시설계 (Detailed Design)의 실무 안내

by chooniarale 2024. 9. 12.
반응형

 

실시설계란 무엇인가?

    실시설계란 기본설계를 바탕으로 실제 공사에 필요한 상세한 설계도서를 작성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는 건축물이나 시설물이 성공적으로 설치되고 운영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단계입니다. 실시설계는 단순히 설계를 완성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예산, 일정, 안전 등의 요소를 철저히 검토하고 최종적으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준비하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1) 관련법 내용

실시설계와 관련하여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는 건축물의 설계도서 작성기준을 정해놓고 있으며, 여기서는 실시설계의 정의와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규정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해당 기준은 각종 건설 프로젝트에서 시행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제공하며, 필요한 서류 및 프로세스를 명확히 하고 있습니다 1.

또한, CODIL의 자료에서는 실시설계의 세부 내용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서는 기본설계를 기반으로 하여 건설업자가 시공에 필요한 다양한 문서들을 작성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2.

 

2) 실시설계의 내용

  • 설계개요 및 법령 등 제기준 검토
  • 기본설계 결과의 검토
  • 구조물 형식결정 및 설계
  • 구조물별 적용 공법결정 및 설계
  • 시설물의 기능별 배치 결정
  • 공사비 및 공사기간 산정
  • 토취장, 골재원 등의 조사확인(현지조사 및 토석정보시스템 등 이용) 샘플링, 품질시험 및 자재공급계획
  • 측량·지반·지장물·수리·수문·지질·기상·기후·용지조사
  • 기본공정표 및 상세공정표의 작성
  • 시방서, 물량내역서, 단가규정, 구조 및 수리계산서 작성
  • 기타 발주기관이 계약서 및 과업내용서에서 정하는 사항
  • 시공상세도 작성비용을 “엔지니어링 대가기준”에 의거 내역서에 산정하여 포함
  • 공사시방서에 “시공상세도 작성지침”에 의거 시공상세도 작성목록을 제시
  • 공사단계별 위험요소에 대한 안전관리 방안 결정 및 설계
  • 유지관리 계획 및 운영방안의 수립

 

3) 작성기간

실시설계의 작성기간은 프로젝트의 규모와 복잡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소규모 프로젝트는 몇 주 내에 완료될 수 있지만, 대규모 공사는 수개월 이상 소요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는 여러 번의 리뷰와 수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해야 합니다.

 

4) 주의점

실시설계를 진행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법규 준수 : 모든 설계가 관련 법규 및 안전 기준을 따르도록 해야 합니다.
  • 커뮤니케이션 : 설계팀과 시공팀 간 원활한 의사소통이 필수적입니다.
  • 변경 관리 : 초기 계획에서 변경 사항이 발생할 경우 즉각적으로 반영하고 조정해야 합니다.

 

5) 최근추세

최근 실시설계를 수행하는 데 있어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BIM 기술을 활용하면 3D 모델링과 데이터 관리를 통해 보다 정확한 설계를 도울 수 있으며, 문제 발생 시 사전 예방 차원에서 대응할 수 있게 됩니다. 설계시 시설물의 안전성 검토 강화는 물론 더불어 친환경적인 요소가 강조됨에 따라 지속 가능한 설계를 고려하는 경향도 강해지고 있습니다.

 

5) 실무경험

 각 프로젝트마다 요구되는 사항이 달라 아무리 경험 많은 엔지니어라 하더라도 항상 새로운 배움과 도전을 안겨주었습니다특히 팀워크가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서로 다른 전문가들이 모여 신뢰를 바탕으로 일했기에 어려운 상황에서도 좋은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었습니다.

 

6) 실무적용 요령

실제 현장에서 실시설계를 적용할 때 다음과 같은 요령을 추천드립니다:

  • 초기 계획 단계에서부터 모든 이해관계자들과 긴밀하게 협력하십시오.
  • 변동 사항 발생 시 신속하게 업데이트하여 모든 팀원이 일관된 정보를 가지고 움직일 수 있도록 하십시오.
  • 시간 관리를 철저히 하여 마감 기한을 준수하도록 하십시오.
  • 각 단계별로 명확한 프로세스를 구축하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7) 문제점 및 개선점

마지막으로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로 예산 초과 문제가 자주 발생합니다. 예상보다 많은 자금이 투입되는 경우가 많아 사전에 충분한 검토를 해야 합니다.

둘째로는 커뮤니케이션 부족입니다. 팀원들이나 이해관계자 간 정보 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셋째로 최근 친환경 정책이나 변화된 규제에 적시에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도 보입니다. 이런 문제들은 사전에 대비책을 마련하여 최소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실시설계는 단순히 문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접근 방식을 요구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미리 인식하고 해결책을 마련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 자료

[1] 국가법령정보센터 - 건축물의 설계도서 작성기준 (https://www.law.go.kr/LSW/admRulInfoP.do?admRulSeq=2000000013479)

[2] 건설기술정보시스템 CODIL - 기본설계 등에 관한 세부시행기준 (https://www.codil.or.kr/filebank/moct2014//201408/MOCT1387_2.PDF?nserialno=1387)

[3] 국토교통부 - 기본설계등에관한세부시행기준개정 행정규칙(훈령·예규 (https://www.molit.go.kr/USR/I0204/m_45/dtl.jsp?gubun=4&search=&search_dept_id=&search_dept_nm=&old_search_dept_nm=&psize=10&search_regdate_s=&search_regdate_e=&srch_usr_nm=&srch_usr_num=&srch_usr_year=&srch_usr_titl=&srch_usr_ctnt=&lcmspage=411&idx=8970)

[4] 건설기술정보시스템 CODIL - 실시설계 보고서 (건축분야) (https://www.codil.or.kr/filebank/original/RK/OTKCRK200600/OTKCRK200600.pdf)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