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콘크리트 타설과 보양 시공정리
구분 | 작업내용 | 세부 시공 방법 |
콘크리트 반입 | ① 레미콘 반입시 확인사항 | ● 배관피복용 레미콘 몰탈 반입은 별도의 차에 운반반입 ● 레미콘 송장확인(출발, 도착시간, 규격) |
② 레미콘 타설방법 사전 조율 | ● 타설순서 확인(코아벽체 타설후→기둥 보 슬라브) ● 타설은 완료시 까지 연속시공하고 이어붓기는 외기평균기온이 25℃ 이하는 2시간30분, 25℃ 이상은 2시간 이내 ● 수송관에서 배출시 재료분리가 생기지 않도록 파이프 끝에 연결호스를 연결하여 호스가 수평인 상태에서 옆으로 밀려나오도록 할것. ● 벽체 타설은 H/3씩 타설하고 급한시공으로 골재의 침전시간 부족에 의한 옹벽 + 슬라브부위의 수평균열 방지(슬라브 콘크리트 타설시 벽체부분은 반드시 다짐봉으로 다진후 수평고르기 시행) ● 벽체 타설시 레미콘을 슬라브에 받아 각삽으로 밀어넣게 할 것. ● 목망치 : 곰보대 다짐 철저, 바닥에서 30CM정도 채워질때까지 하부 다짐 후 즉시이동 |
|
콘크리트 타설 | ③ 콘크리트 부어넣기 | ● 기둥의 상부는 보 밑에서 일단 그치고 일정한 시간을 둔다. ● 기둥에 연결된 벽에서는 기둥을 통과하여 콘크리트를 옆으로 흘려보내서는 안된다 ● 부어넣기중 철근, 파이프, 기타 매설물등이 이동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
④ 콘크리트 이어붓기 | ● 콘크리트의 이음부분은 사전에 감리단과 협의하여 구획을 정한다. 이어 부을 위치는 구조물의 강도에 영향이 적고 이음길이도 짧게 되는 위치에, 또 시공상 무리가 없는 곳에 두어야 한다. ● 이어붓는 면의 콘크리트의 불량부분은 까내며, 레이턴스로 미끈한 부분은 와이어 브러쉬등으로 긁어 내고 물씻기를 한다. |
|
⑤ 콘크리트 다지기 | ● 콘크리트 다지기는 바이브레이터 및 손다짐을 병행한다. ● 바이브레이터는 40-50cm간격으로 다진다. 너무 과도하게 다져 블리딩과 레이턴스가 생기지 않도록 적절한 시간을 유지한다. |
|
⑥ 부위별 타설방법 | ● 계단의 이어치는 부분등 충진부위나 경사면의 타설시 : 계단하부 기존 콘크리트와 이음부위는 타설직전 청소 ● 형틀의 각종 땜방은 얇은 합판을 사용하고 형틀제거시 땜방자재 제거 ● 각종 형틀부위가 묻히지 않도록 콘크리트 마감높이를 정확히 유지하여 형틀 제거가 용이하게 할 것. ● 바닥드레인 주위의 역구배 방지 ● 다짐기의 가동대수는 타설량 및 타설속도에 준하여 산정하여야 하며 부어넣기 레미콘량은 펌프카 1대당 1㎥/1분 이상이므로 펌프카 1대당 최소 진동기 2대 이상을 항상 사용가능하도록 해두어야 한다. |
|
보양 및 사후관리 | ⑦ 양생 보양 | ● 물뿌리기 양생철저 ● 측벽, 코아외벽등 외부에 노출되는 벽체는 상부층 콘크리트 타설중 물청소를 계속 시행하여 하부층 오염을 사전에 방지 할 것. ● 거푸집 제거후 골조 확인시 변형이나 골재분리 부위는 최단시간내에 구조 판단하여 모체와 동일한 강도 및 색상이 되게 보완을 서두를 것. |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하 옹벽구간 거푸집 설치 안내 ㅣ 솔져폼 (0) | 2024.09.29 |
---|---|
콘크리트 타설전 확인사항 안내 (0) | 2024.09.29 |
어스앵커 인장·인발 시험 안내 (0) | 2024.09.28 |
제거식 어스앵커 시공 안내 ㅣ 도해위주 (0) | 2024.09.28 |
건설현장 가설울타리 및 출입문 시공 안내 (4) | 2024.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