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혼화재료의 종류와 선정방법
구분 | 내용 |
혼화재료 | 콘크리트의 결합재로서 시멘트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혼화재(mineral admixture) 와 콘크리트의 성능개선을 위하여 배합시 첨가되는 화학첨가물인 혼화제로 구분됨. |
혼화재 vs 혼화제 | 일반적으로 혼화재는 배합설계시 그 배합량이 반영되며, 혼화제는 무시됨. |
혼화재료의 선정 | 사용목적에 맞추어 발주자, 생산자와 협의하여 선정 |
1) 혼화재료의 사용목적
콘크리트 배합에 있어서 시멘트, 물, 골재 기타 필요에 따라서 혼화재료로 아직 굳지않은 콘크리트나 굳은 콘크리트의 성질을 개선, CO2 발생량 저감에 기여(품질개선, 시공성개선, 수화열 저감 내구성개선 목적)
구분 | 내용 |
혼화재 |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혼화재는 결합재로서 시멘트를 대체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사용량이 비교적 많고 자체의 용적이 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 산입됨. 혼화재의 규정은 다음과 같음. |
① 혼화재로 사용할 플라이애시는 KS L 5405(플라이애시)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② 혼화재로 사용할 콘크리트용 팽창제는 KS F 2562(콘크리트용팽창제)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③ 혼화재로 사용할 고로슬래그 미분말은 KS F 2563(콘크리트용고로슬래그 미분말)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④ 혼화재로 사용할 실리카퓸은 KS F 2567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⑤ 상기 이외의 혼화재로서는 규산질 미분말 및 고강도용 혼화재 등을 사용할 때는 이들 혼화재에 대해서는 아직 품질의 규격이 없고 또 사용방법도 다양하므로 미리 충분히 조사, 시험을 하여 품질을 확인하고 사용방법도 검토하여 제조한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영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
|
혼화제 | 콘크리트 경화 전후의 성능을 개선할 목적으로 배합시 혼입되는 화학첨가물로서, 일반적으로 그 사용량이 비교적 적고 자체의 용적이 배합설계상 무시됨.(AE제, 감수제, 유동화제, 급결재 등) |
※ 최근에는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특별한 조건이 없는 경우는 각각의 레디믹스트 콘크리트공장에서 실적있는 혼화제를 이용하고, 시공조건에 따라서 특별한 혼화재료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는 사전에 충분히 검토하여 사용
2) 혼화재료의 분류(예시)
구분 | 혼화재료의 종류 | 사용목적 |
혼화제 | AE제, 감수제, 감수촉진제 | • 계면활성작용에 의해 워커빌리티, 동결융해에 대한 내구성등을 개선 |
지연제, 촉진제, 급결제 | • 응결, 경화시간을 조절 | |
방수제 | • 방수효과를 증대 | |
기포제, 발포제 | • 거품의 작용에 따라 충전성의 개선, 중량을 경감 | |
혼화재 | 플라이애쉬, 미분말 | • 포졸란 작용이 있는 재료 |
석고, CSA | • 경화과정에 있어서 팽창을 일으킴 • 착색을 시킬때 사용 |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막이 벽과 지하구체 외벽의 최소 간격 안내 (0) | 2024.10.03 |
---|---|
콘크리트 백화현상의 원인 및 방지대책 (0) | 2024.10.02 |
주택법에 따른 사업계획 승인대상 안내 (0) | 2024.10.02 |
구조상 위험한 균열과 균열의 보수 방법 안내 (0) | 2024.10.02 |
지하구조물의 부상방지 설계기준 안내 (0) | 2024.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