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한중콘크리트 적산온도 안내

by chooniarale 2025. 1. 13.
반응형

적산온도

 

1) 적산온도란?

적산온도는 "콘크리트 양생기간 동안의 온도의 누적치"를 말한다.

 

2) 적산온도의 계산

적산온도식
적산온도식

M :  적산온도 [˚D·D(일), 또는 ˚C·D]
θ  :  Δt 시간 중의 콘크리트 평균 양생 온도
A :  상수로서 일반적으로 10℃
Δt : 시간(일)

 

3) 적산온도와 압축강도비의 관계

  • 일정한 적산온도를 계산하면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의 몇% 정도가 발현되었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 콘크리트 온도이력으로부터 얻어진 적산온도(M1)와 실험실 공시체의 적산온도(M2)가 같으면 동일한 압축강도를 발휘한다는 개념으로 거푸집 해체시기 및 초기 양생기간을 적산온도를 이용하여 추정하는 개념이다.
구조물의 온도이력 M1 공시체의 온도이력 M2 적산온도를 통한 압축강도비 추정

 

4) 적산온도값의 활용

  •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
  • 콘크리트 호칭강도의 배합 결정
  • 물-결합재비(W/B)의 보정계수로 활용
  • 초기양생기간의 산정
  • 한중콘크리트 압축강도시험 재령일 산정
  • 거푸집의 존치기간 산정

 

5)  압축강도시험의 재령

호칭강도와 물-결합재비를 적산온도 방식에 의하여 정한 경우, 사용한 콘크리트의 품질관리 또는 품질 검사를 위한 압축강도시험의 재령은 아래식으 정하여야 한다. 다만, 시험체의 양생은 (20 ± 2) 인 수중양생으로 한다.

재령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