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글은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쇄석채취업,토사채굴채취업"(2024, 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의 내용과 이미지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벌목작업 안전
1) 유해ㆍ위험요인
- 벌목작업 시 벌목한 나무에 벌목 근로자가 맞음 위험
- 벌목작업 시 위험구역 내에 타 근로자가 접근하여 벌도목에 맞음 위험
- 벌목작업 시 기계톱 등에 베임 위험 수구각 따기를 실시하지 않아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넘어가 다칠 위험 ( ※ 벌목으로 인한 사망사고 원인 중 대부분 차지)
- 산림 현장, 벌목 현장 이동 중 걸려 넘어짐 위험
2) 재해 예방대책
구분 | 내용 |
출입통제 | ● 벌목 지역 내 벌목 관련 근로자, 감독자, 허가받은 자를 제외하고 출입하지 못하도록 통제한다. |
벌목 시 안전한 작업방법 및 순서 준수 | ● 벌도목을 선정한다. ● 벌도 방향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확인한다. ▷ 손상을 입은 나무인지 ▷ 벨 나무나 인접 나무에서 떨어져 위험할 수 있는 죽거나 부러진 가지가 있는지 ▷ 나무가 기울어져 있는지 ▷ 어느 방향으로 쓰러질지 ▷ 상단에 걸려 있는 다른 나뭇가지나 덩굴 등이 있는지 ● 미리 대피장소를 정하고 퇴로는 나무 뒤편의 양 방향을 약 45°로 하여 방해가 되는 수풀, 뿌리, 덩굴, 잡목 및 가지들을 제거한다(위험한 나무인 경우 여러 대피 경로 필요). ● 벌목 대상 나무를 중심으로 나무높이의 2배 이상 안전거리 유지 및 타 근로자 접근 금지 ![]() ● 작업장 출입지역 및 위험이 예상되는 도로, 반출로 등에 위험표지판 설치 ● 벌도 위치는 가능한한 낮게 함 ● 수구(방향베기, undercut)는 나무의 가슴높이 지름이 20㎝ 이상일 경우 깊이를 뿌리부분 지름의 1/4~1/3 이하로 하며, 수구 상하면의 각도는 30° 이상(30°~45°)으로 함 ▷ 방향베기가 1/3 이상일 경우 의도한 방향으로 통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완전히 반대 방향으로 넘어갈 수도 있으며 따라베기 작업 시 쐐기 등을 넣을 공간이 부족함 ▷ 방향베기가 1/4보다 작을 경우 길게 쪼개지기(barber chairing) 쉽고 방향 통제가 어려움 ● 추구(back cut)는 수구 밑면보다 절단수목 지름의 1/10 정도 높은 위치에 만듦 ● 경첩부는 직경의 10%, 최소 2cm 이상 필요함. 순간적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반드시 경첩부를 두어야 함 ![]() |
방향베기 | ● 방향베기(수구) 작업 시 반드시 노치 상단과 노치 하단이 만나고 깔끔하게 마무리되어야 의도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넘길 수 있다 |
![]() |
|
마무리절단 | ● 마무리절단은 반드시 노치 힌지부보다 항상 위에서 절단한다. ● 노치 힌지부보다 위로 절단 시 높이는 다음과 같다. ![]() |
절단후 넘기기 | ● 마무리절단 후 안전하게 넘기기 ● 마무리절단 후 경첩부를 남겨놓은 상태에서 안전하게 아래의 방법 중 하나를 이용하여 넘기는 것이 안전하다. ● 일부 국내 현장에서 도구(쐐기 등) 미구비, 미소지 상태로 벌도목이 넘어갈 때까지 마무리절단 작업을 하는 관계로, 대피 시간 부족의 이유로 벌도목에 맞는 재해가 자주 발생한다. |
![]() ![]() |
|
3) 나무가 쓰러지거나 넘어지기 시작할 때 대피하는 방법
- 나무가 쓰러지기 시작할 때 기계톱을 내려놓고 안전을 위해 재빨리 대피장소로 대피(기계톱을 들고 대피할 경우 시간 지체 및 행동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안전이 기계톱 보호보다 우선)
- 쓰러지는 방향의 반대 방향 나무 뒤 좌우 약 45°로 대피하고 큰 나무일수록 더 멀리 떨어져 대피
- 대피 시 벌도목 상단에 걸려 있을 수 있는 나뭇가지 등이 떨어지는지, 엉켜 있는 덩굴 등에 의하여 방향이 바뀌는지의 여부 등 벌도목이 넘어가는 것을 확인하며 대피
- 벌도목이 넘어간 뒤에 완전히 벌도목이 멈춘 것을 확인한 후 벌목 지점으로 돌아옴
4) 벌목작업은 작업책임자 필요작업
다음의 벌목작업은 작업책임자를 선임하고 그 지시에 따라 작업하는 것을 권장
▷ 가슴높이 직경이 70cm 이상인 입목의 벌목
▷ 가슴높이 직경이 20cm 이상으로 중심이 현저하게 기울어진 입목의 벌목
▷ 비계 등의 받침대 위에서 특수한 방법에 의한 벌목
▷ 안전대를 착용하여야 하는 벌목
▷ 벌목 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을 정도로 뒤틀렸거나 속이 빈 나무의 벌목
▷ 중심이 심하게 절단 방향의 반대로 되어 있는 절단 수목의 벌목
▷ 강풍, 강설 등에 의하여 넘어진 목재와 부러진 목재의 조재
5) 수구각 따기 방법(방향베기)
6) 핵심사항
수구각은 생명각! (벌목 중 사망 사고 대다수의 원인이 수구각 따기 미준수)
- 수구각 따기는 벌목작업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 대다수의 사망 사고가 수구각을 따지 않아 의도한 방향으로 넘어가지 않고 걸리거나, 쪼개지거나, 경사지에서 상부가 그대로 떨어져 발생하고 있다.
- 따라서 벌목하려는 나무의 가슴높이 지름이 10㎝ 이상인 나무는 방향베기를 반드시 실시하고 가슴높이 지름이 20㎝ 이상인 나무는 방향베기 시 반드시 수구각 따기를 올바른 방법으로 실시한다.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파 및 굴착작업 안전관리 ㅣ 발파, 천공, 굴착 (0) | 2025.02.16 |
---|---|
노천 발파작업 안전 안전관리 안내 (0) | 2025.02.16 |
도급인의 산재 예방조치 안내 (0) | 2025.02.14 |
쇄석채취업 안전관리 안내 ㅣ 천공, 발파, 쇄석 (0) | 2025.02.14 |
토사채굴·채취업 안전관리 안내 ㅣ 바닷모래채취업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