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글은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쇄석채취업,토사채굴채취업"(2024, 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의 내용과 이미지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노천 발파작업 안전 안전관리
1) 천공ㆍ발파 작업 작업 개요
- 발파는 암석이나 단단한 물질을 분해하기 위해 화약의 폭발력으로 파쇄하는 작업이다.
- 파쇄에는 천공기로 암반에 구멍을 뚫고 그 구멍에 폭약과 뇌관을 넣고 폭파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 발파작업 시 화약 반입 및 보관 관리 미숙에 의한 폭발사고, 천공장비에 의한 충돌 및 끼임, 발파에 따른 암석의 날림에 의한 맞음사고 등 재해 발생 위험이 크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2) 천공ㆍ발파 작업 작업 주요 위험 요인
- 암반 천공작업 중 천공 드릴과 천공 장비 사이에 끼임 위험
- 천공 장비를 암반으로 이동시키던 중 불규칙한 노면에 의한 장비 전도 위험
- 천공구 장약 작업 중 암반의 굴착면 단부로 추락 위험
- 발파작업 시 방호 매트의 부실한 설치로 인한 암석 날림으로 추락 위험
- 발파작업 준비 시 폭약 관리 부실에 의한 폭발사고 위험
- 천공작업 중 암사면 상부로부터 부석 낙하 위험
- 파쇄된 암석 상차작업 중 후진하는 덤프트럭에 끼임 위험
- 굴착기로 발파 파쇄암 정리작업 중 회전하는 굴착기 붐대에 근로자 충돌 위험
- 발파 파쇄암을 덤프트럭에 상차하는 작업 중 불안전하게 적재된 암석 낙하 위험
- 화약고 주변에서 화기 사용 시 화재에 의한 화약고 폭발사고 위험
3) 노천 발파작업 안전대책 및 수칙
구분 | 내용 |
암반 천공 | • 천공기 기계장치 연결부의 견고한 체결 확인 • 천공기 리더의 유압장치 이상 유무 확인 • 작업 시작 전 작업장소 및 그 주변의 부석 균열 여부, 함수·용수 및 동결 상태 등 점검 • 천공기 전도 위험성에 대한 조치 마련 • 지반 붕괴, 토석 낙하 위험에 대비한 방호망 설치, 근로자 출입금지 등의 조치 마련 • 운반기계, 굴착기계 및 적재기계의 운행경로 등을 관계 근로자에게 주지시켰는지 확인 • 굴착작업을 하는 장소에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는 조명이 유지되는지 확인 • 천공작업 중 암사면 단부로 추락할 위험성이 있는지 파악 |
천공구 장약 및 화약고 관리 | • 마찰, 충격, 정전기 등의 폭발 위험이 없는 장전구 사용 확인 • 발파공 충진 재료로 점토, 모래 등 발화성과 인화성이 없는 재료를 사용하는지 확인 • 장약 완료 후 남은 화약류 즉시 반납했는지 확인 • 장약 현장에서 뇌관류를 안전한 박스나 배낭에 보관하는지 확인 • 벼락이 예상되는 경우, 장약 장전작업을 중지시키고 근로자를 대피시키는지 확인 • 피난 장소의 전면과 상부의 방호가 견고한지 점검 • 폭약과 뇌관은 2m 이상 떨어지게 보관하는지 확인 • 화약류 관리 보안책임자 입회하에 작업하는지 확인 |
암반 발파 | • 점화 후 장전된 화약류가 폭발하지 않았을 때, 전기뇌관의 경우 발파 모선을 점화기에서 떼어 놓았는지 확인 • 발파 장소에 암석 비산 방지조치(방호 매트 등) 실시 여부 확인 • 발파작업 시 화약류 관리보안책임자의 입회 여부 확인 • 전기뇌관 사용 시 화약류가 폭발하지 않은 경우, 발파 모선 단락 후 5분 이후에 장전 장소에 접근하도록 조치 • 전기뇌관이 아닌 경우 폭발이 되지 않을 때 15분이 지난 후에 장전 장소에 접근하도록 조치 • 발파작업에 따른 근로자 대피 연락체계(무전기, 사이렌, 깃발 등) 마련 확인 • 발파작업 시 안전한 거리까지 근로자 대피, 안전한 피난 장소 마련 여부 확인 • 전기뇌관의 경우 점화 전에 장전 장소로부터 30m 이상 떨어진 곳에서 전선의 저항 측정 및 도통 시험 결과의 기록 여부 확인 |
발파 파쇄석 반출 | • 굴착기를 이용한 파쇄암 상차 작업 시 주변 고압선 등 지장물에 위험을 미칠 가능성 점검 • 덤프트럭에 파쇄암을 적정량 적재하는지 파악 • 덤프트럭과 굴착기의 운행경로, 출입방법 등을 관계 근로자가 숙지하였는지 확인 • 파쇄암 반출작업 중 근로자 추락 위험장소의 방호조치 여부 확인 • 파쇄암 상차작업 장소 주변의 낙반 등 위험요소 파악 • 작업 전 덤프트럭, 굴착기 등의 운전자 자격증 유무 확인 • 근로자의 안전모 등 개인보호구 착용 여부 확인 • 굴착기, 덤프트럭 등의 후진 및 근로자 접근에 따른 위험요소 파악 |
4) 발파암 처리작업 시 안전대책
구 분 | 위험 요인 | 안전대책 |
인적 요인 | • 건설기계 등 운행경로, 출입방법 미숙지에 의한 부딪힘 • 안전모 등 보호구 미착용 상태에서 떨어짐 • 무자격자 건설기계 운전 중 부딪힘 |
• 건설기계 등 운행경로 지정 및 교육 • 안전모 등 보호구 착용 철저 • 운전 자격 유무 확인 및 유도자 배치 |
물적 요인 | • 건설기계 작업 주변 고압선 등에 접촉 • 암반ㆍ부석 등이 떨어져 깔림 위험 |
• 작업 전 고압선 지장물 등 사전조사, 안전조치, 신호수 배치 • 위험지역 출입금지 조치 및 제거 |
작업 방법 | • 암반을 덤프트럭에 과적하여 떨어짐 • 야간 조명 미확보로 인한 부딪힘 • 주변 경사면 단부 등으로 떨어짐 |
• 암 반출 시 과적 금지조치 실시 • 야간작업 시 충분한 조명 확보 • 주변 경사면 단부에 안전난간 및 위험표지 설치 |
기계 장비 | • 굴착기 후진 시 유도자 미배치로 부딪힘 • 굴착기 기계장치 연결부 탈락으로 재해 위험 |
• 건설기계 작업 중 유도자 배치 및 신호 • 굴착기 등 반입 시 사전점검 실시 |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작업 안전관리 (0) | 2025.02.16 |
---|---|
발파 및 굴착작업 안전관리 ㅣ 발파, 천공, 굴착 (0) | 2025.02.16 |
벌목작업 안전관리 안내 (0) | 2025.02.15 |
도급인의 산재 예방조치 안내 (0) | 2025.02.14 |
쇄석채취업 안전관리 안내 ㅣ 천공, 발파, 쇄석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