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글은 「가설구조물 종류에 따른 설치기준 및 점검 가이드」(2023, 국토부, 국토안전관리원) 문헌의 내용과 이미지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보형식 동바리(데크플레이트) 설치 및 점검 가이드
강제 갑판(데크플레이트) 설치 예 | ||
![]() |
2) 보형식 동바리(데크플레이트) 설치 기준
구분 | 내용 |
설치 및 가고정 | ● 설치 준비 ▷ 설치 전 강재 보 표면 청소를 실시하여 수분 및 유분을 제거해야 한다. ▷ 강재 기둥 주위, 보 접합부의 데크 받침재가 강구조 도면대로 장착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 데크 받침재는 판두께 최소 6 mm 이상이 필요하고 설치 전 데크플레이트에 변형이 있는 경우 미리 교정하여 보와의 접합이 용이 하도록 해야 한다. ● 설치와 가고정 ▷ 보 상부에 설계계획도면에 따라 먹메김을 실시하여 데크플레이트를 올바른 위치에 설치해야 한다. ▷ 기둥 주위 및 보 접합부는 데크 받침재에 올려 필요한 개소를 절단해야 한다. ▷ 용접은 아크 스폿 용접 또는 필릿용접으로 실시해야 한다. |
데크플레이트, 바닥 슬래브와 보의 접합 |
● 데크플레이트를 이용한 바닥 슬래브는 다음 표와 같이 3종류가 있으며, 각각 그 목적에 맞추어 접합의 종류를 선정한다.![]() |
● 위 표의 ②의 접합 형태는 바닥 슬래브의 품질 확보가 중요하고 박판의 경우 반드시 접합해야 한다. ● 데크복합슬래브에서는 데크플레이트와 콘크리트의 일체화를 위해 통상 스터드볼트 접합을 실시한다. ● 데크구조슬래브에서는 데크플레이트의 면내 전단력이 크지 않기 때문에 바닥 브레이싱을 설치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 스터드볼트를 이용하는 경우 스터드볼트 접합으로 데크플레이트를 고정할 수 없다. ● 데크플레이트를 강재보에 접합할 때에는 반드시 데크플레이트를 보에 밀착 시키고, 빈틈이 2 mm 이하가 되도록 밀착시킨다. ● 스터드볼트의 면내 전단력을 보에 전달하는 경우, 데크플레이트를 강재보에 밀착시켜 강풍이나 돌풍에 의해서 비산하지 않도록 하고, 콘크리트 타설시에 이동, 변형하지 않게 아크 스폿 용접 혹은 필릿용접 등으로 신속하게 데크플레이트를 보에 접합한다. ● 데크합성슬래브의 경우에는 스터드볼트 이외에 전용접과 드라이빙핀을 사용할 수 있다. ● 플랫 데크는 거푸집으로도 사용되므로 설치 후 바람에 의한 비산 방지나 콘크리트 타설 시의 빈틈 방지 등에 대한 신속한 안전성 확보가 중요하므로 데크플레이트와 보는 아크 스폿 용접 또는 필릿용접 등으로 접합한다. ● 용접사는 KCS 14 31 20(1.5)의 자격을 갖춘 자로 한다. ● 처짐 및 붕괴재해 예방을 위해 데크플레이트 지점간격이 3.6m 이내일 경우 아래의 데크플레이트의 걸침길이와 정착부위를 준수하여야 한다. ▷ 주근 방향으로 설치할 때 보에 걸치는 길이는 50mm이상 ▷ 폭 방향으로 설치할 때 보에 걸치는 치수는 50mm 이상(다만, 아크 용접을 할 경우에는 30mm 이상) ▷ 폭 조절용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경우는 50mm 이상 ● 보 경간이 넓은 경우 데크플레이트의 휨 현상 발생 및 집중하중에 의한 붕괴위험이 크므로 필요시 중앙부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지보재 등을 사용 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
|
동바리 | ● 동바리는 침하를 방지하고, 각 부가 이동하지 않도록 볼트나 클램프 등의 전용철물을 사용하여 고정하고 충분한 강도와 안전성을 갖도록 하며, 동바리의 상부 받이부와 하부 바닥부가 뒤집혀서 시공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파이프 서포트와 같이 단품으로 사용되는 동바리는 이어서 사용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시스템 동바리 또는 강재 동바리 등의 사용이 불가피한 경우 동바리는 2개 이하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 파이프 서포트와 같이 단품으로 사용되는 동바리의 높이가 3.5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양방향으로 설치하고, 연결부분에 변위가 일어나지 않도록 수평연결재의 끝 부분은 단단한 구조체에 연결되어야 한다. 다만, 수평연결재를 설치하지 않거나, 영구 구조체에 연결하는 것이 불 가능할 경우에는 동바리 전체길이를 좌굴길이로 계산하여야 한다. ● 경사면에 연직으로 설치되는 동바리는 경사면방향 분력으로 인하여 미끄러짐 및 전도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조치를 하여야 한다. |
참고자료 | ● 「KCS 14 31 70」데크플레이트 바닥슬래브 ● 「KOSHA-GUIDE C-65-2012」철골공사 무지보 거푸집동바리(데크플레이트 공법)안전보건작업 지침 ● 「KCS 21 50 05」거푸집 및 동바리 공사 일반사항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제332조의2(동바리 유형에 따른 조립시의 안전조치) |
3) 보형식 동바리(데크플레이트) 중점점검 확인사항
항목 | 점검사항 | 사진 및 점검예 |
데크플레이트 걸침거리 및 고정방법 |
● 데크플레이트가 보에 걸쳐지는 거리는 공사시방서 준수 여부 ● 못 및 용접 위치, 수량 등 적정 여부 |
▷보에 걸쳐지는 걸침길이 확보 및 고정상태 확인![]() |
데크플레이트 상부 철근상태 |
● 상부 배력근 배근 위치, 정착길이, 간격 및 결속상태 |
▷ 상부 배력근과 데크플레이트와 결속상태 확인 및 위치, 길이 및 간격 확인 ![]() |
데크보 접합상태 |
● 특기시방서에서 제시한 접합방법 준수 여부 | ▷ 신기술·신공법의 경우 특기시방서에 제시한 접합 방법으로 시공여부 확인 ![]() |
계측관리 | ● 기둥(1→1-1→1-2→1-3) →큰 보 (girder, 2→2-1→2-2→2-3) →작은보(beam, 3) →슬래브(4) 순으로 타설 순서 준수 여부 ● 타설경로 및 집중타설 여부 |
▷ 콘크리트 타설계획에 따른 타설방법, 경로 등 준수여부 확인 ![]() |
2024.08.18 - [건축기술] - 데크플레이트 공사 안내 (사진위주)
데크플레이트 공사 안내 (사진위주)
이 내용은 고용노동부·안전보건공단,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건설업 철골조립공사』, (2020). 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I. 데크플레이트의 개요슬래브 공사에서 바닥형틀 대용으로 콘
chooniarale.tistory.com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흙의 입도분포곡선 (0) | 2025.03.01 |
---|---|
지반 붕괴의 유형 ㅣ 모식도 (0) | 2025.02.28 |
공중비계 설치 및 점검 가이드ㅣ안전관리 (0) | 2025.02.28 |
가설교량 설치 및 점검 가이드ㅣ안전관리 (0) | 2025.02.28 |
MSS(Movable Scaffolding System)공법 설치 및 점검 가이드ㅣ 동력구동 가설구조물 (0)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