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소규모 건축에서 보의 설계 및 시공

by chooniarale 2025. 3. 6.
반응형
출처 : 소규모건축 콘크리트구조 KDS 42 20 00(2022년)

 

소규모 건축에서 보의 설계 및 시공

 

1) 보의 크기

  • 보의 최소폭은 300 mm 이상이어야 한다.
  • 슬래브 두께를 포함한 보의 최소깊이는 400 mm 이상, 경간의 1/16이상 중 큰 값으로 한다.
  • 보의 폭과 깊이로 정의되는 보 단면크기는 다음 표에서 제시한 단면크기 이상이어야 한다.
지붕형태 보 구분  분담폭(m) 단면크기: (mm) × 깊이(mm)
L 4.0 4.0 < L 5.0 5.0 < L 6.0 6.0 < L 7.0 7.0 < L 8.0
2층 및 평지붕의 보 단면크기 작은보 4.0 m 이하 300×450 300×500 300×550 350×600 400×600
큰보 4.0 m 이하 300×450 300×500 300×550 350×600 400×600
작은보를 지지하는 큰보 6.0 m 이하   350×550 350×550    
6.0 m 초과, 7.0 m 이하 350×600 400×600
7.0 m 초과, 8.0 m 이하 400×600 400×600
경사지붕의 보 단면크기 작은보 4.0 m 이하 300×400 300×450 300×500 300×550 300×550
큰보 4.0 m 이하 300×400 300×450 300×500 300×550 300×550
작은보를 지지하는 큰보 6.0 m 이하   300×500 300×500    
6.0 m 초과, 8.0 m 이하 350×550 350×550
) L: 경간 (m)
  • 하중 분담폭은 KDS 42 10 00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산정한다.
  • 작은보를 지지하는 콘크리트 벽체 상부에는 벽보를 설치하여야 하며, 벽보의 최소폭은 300mm 이상으로 하고 보 깊이는 인접보의 깊이와 같게 한다.

 

2) 2층 및 평지붕의 작은보의 설계

분담폭
(m)
지지조건 배근정보 철근의 개수 및 스터럽 간격
L  4.0 4.0 < L  5.0 5.0 < L  6.0 6.0 < L  7.0 7.0 < L  8.0
전구간 단부 중앙부 단부 중앙부 단부 중앙부 단부 중앙부
3.0m
이하
양단 불연속보 크기(mm) 300×450 300×500 300×550 350×600 400×600
상부근-1 D19 2 2 2 2 2 3 3 4 4
스터럽 D10 @150 @ 200 @ 200 @ 200 @ 200 @ 250 @ 250 @ 250 @ 250
하부근-2 D19 2 2 2 2 2 2 4 2 4
하부근-1 3 3 3 3 3 4 4 5 5
연속보 크기(mm) 300×450 300×500 300×550 350×600 400×600
상부근-1 D19 3 2 2 3 2 4 3 5 3
상부근-2 - 2 - 2 - 2 - 3 -
스터럽 D10 @150 @ 200 @ 200 @ 200 @ 200 @ 250 @ 250 @ 250 @ 250
하부근-2 D19 - - - - 2 - 2 - 2
하부근-1 3 2 3 2 2 4 4 5 5
3.0m
초과,
4.0m
이하
양단
불연속보
크기(mm) 300×450 300×500 300×550 350×600 400×600
상부근-1 D19 2 3 3 3 3 3 3 4 4
스터럽 D10 @15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하부근-2 D19 2 2 3 2 3 2 4 3 5
하부근-1 3 3 3 3 3 4 4 5 5
연속보 크기(mm) 300×450 300×500 300×550 350×600 400×600
상부근-1 D19 3 3 2 3 2 4 3 5 3
상부근-2 - 2 - 3 - 4 - 5 -
스터럽 D10 @15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하부근-2 D19 - - 2 - 2 - 2 - 3
하부근-1 3 2 2 3 3 4 4 5 5

 

3) 2층 및 평지붕의 작은보를 지지하지 않는 큰보의 설계

분담폭
(m)
배근
정보
철근의 개수 및 스터럽 간격
L 4.0 4.0 < L 5.0 5.0 < L 6.0 6.0 < L 7.0 7.0 < L 8.0
전구간 단부 중앙부 단부 중앙부 단부 중앙부 단부 중앙부
3.0m
이하
크기(mm) 300×450 300×500 300×550 350×600 400×600
상부근-1 D19 3 2 2 3 2 4 3 5 3
상부근-2 - 2 -  2  - 2 -  3 -
스터럽 D10 @
150
@ 200 @ 200 @ 200 @ 200 @ 250 @ 250 @ 250 @
250
하부근-2 D19 - - - - 2 - 2 - 2
하부근-1 3 2 3 2 2 4 4 5 5
3.0m
초과,
4.0m
이하
크기(mm) 300×450 300×500 300×550 350×600 400×600
상부근-1 D19 3 3 2 3 2 4 3 5 3
상부근-2 - 2 - 3 - 4 - 5 -
스터럽 D10 @
15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하부근-2 D19 - - 2 - 2 - 2 - 3
하부근-1 3 2 2 3 3 4 4 5 5


1) L: 경간 (m)

2) 연속보의 경간 길이가 다를 경우의 단면크기 및 배근 적용 방법




()

G1, G2의 단면크기는 G1이 제시하는 단면크기와 동일하게 적용한다.

 G1G1이 제시하는 배근정보를 따른다.

 G2G2가 제시하는 배근정보를 따른다. (다만, G1과 연속되는 G2 단부의 상부근은 G1 상부근 개수를 따른다.)

 

4) 2층 및 평지붕의 작은보를 지지하는 큰보의 설계

분담폭
(m)
배근
정보
철근의 개수 및 스터럽 간격
L 5.0 5.0 < L 6.0
단부 중앙부 단부 중앙부
5.0m
이하
크기(mm) 350×500 350×550
상부근-1 D19 4 3 4 3
상부근-2 2 - 2 -
스터럽 D10 @ 200 @ 200 @ 200 @ 200
하부근-2 D19 - 2 - 2
하부근-1 3 4 4 4
5.0m 초과,
6.0m
이하
크기(mm) 350×550 350×550
상부근-1 D19 4 3 4 3
상부근-2 2 - 4 -
스터럽 D10 @ 200 @ 200 @ 150 @ 150
하부근-2 D19 - 2 - 3
하부근-1 3 4 4 4
6.0m 초과,
7.0m
이하
크기(mm) 400×600 400×600
상부근-1 D19 5 3 5 4
상부근-2 2 - 3 -  
스터럽 D10 @ 150 @ 150 @ 150 @ 150
하부근-2 D19 - 2 - 3
하부근-1 4 5 5 5  
7.0m 초과,
8.0m
이하
크기(mm) 400×600 400×600
상부근-1 D19 5 3 5 4
상부근-2 3 - 5 -  
스터럽 D10 @ 150 @ 150 @ 100 @ 100
하부근-2 D19 - 2 - 5
하부근-1 4 5 5 5  




1) L: 경간 (m)
2) 작은보를 지지하지 않는 큰보와 인접할 경우 단면크기 및 배근 적용 방법




G1, G2의 단면크기는 G1이 제시하는 단면크기를 동일하게 적용한다.

G1G1이 제시하는 배근정보를 따른다.

G2G2가 제시하는 배근정보를 따른다. (다만, G1과 연속되는 G2 단부의 상부근은 G1 상부근 개수를 따른다.)

 

5) 경사지붕의 작은보의 설계

분담폭
(m)
지지
조건
배근
정보
철근의 개수 및 스터럽 간격
L 4.0 4.0 < L 5.0 5.0 < L 6.0 6.0 < L 7.0 7.0 < L 8.0
전구간 단부 중앙부 단부 중앙부 단부 중앙부 단부 중앙부
3.0m
이하
양단 불연속
크기(mm) 300×400 300×450 300×500 300×550 300×550
상부근-1 D19 2 2 2 2 2 2 2 3 3
스터럽 D10 @
150
@ 150 @ 15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하부근-2 D19 - - - 2 2 2 2 2 2
하부근-1 3 3 3 2 2 3 3 3 3
연속보 크기(mm) 300×400 300×450 300×500 300×550 300×550
상부근-1 D19 3 3 2 3 2 2 2 3 2
상부근-2 - - - - - 2 - 2 -
스터럽 D10 @
150
@ 150 @ 15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하부근-2 D19 - - - - - - - - 2
하부근-1 3 2 3 2 3 3 3 3 2
3.0m
초과,
4.0m
이하
양단
불연속
크기(mm) 300×400 300×450 300×500 300×550 300×550
상부근-1 D19 2 2 2 2 2 2 2 3 3
스터럽 D10 @
150
@ 150 @ 15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하부근-2 D19 2 - - 2 2 2 2 2 3
하부근-1 3 3 3 3 3 3 3 3 3
연속보 크기(mm) 300×400 300×450 300×500 300×550 300×550
상부근-1 D19 3 3 2 2 2 3 2 3 2
상부근-2 - - - 2 - 2 - 3 -
스터럽 D10 @
150
@ 150 @ 15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하부근-2 D19 - - - - - - 2 - 2
하부근-1 3 2 3 2 3 2 2 3 3









G1, G2의 단면크기는 G1이 제시하는 단면크기와 동일하게 적용한다.

 G1G1이 제시하는 배근정보를 따른다.

 G2G2가 제시하는 배근정보를 따른다. (다만, G1과 연속되는 G2 단부의 상부근은 G1 상부근 개수를 따른다.)

 

6) 경사지붕의 작은보를 지지하지 않는 큰보의 설계

분담폭
(m)
배근
정보
철근의 개수 및 스터럽 간격
L 4.0 4.0 < L 5.0 5.0 < L 6.0 6.0 < L 7.0 7.0 < L 8.0
전구간 단부 중앙부 단부 중앙부 단부 중앙부 단부 중앙부
3.0m
이하
크기(mm) 300×400 300×450 300×500 300×550 300×550
상부근-1 D19 3 3 2 3 2 2 2 3 2
상부근-2 - - - - - 2 - 2 -
스터럽 D10 @
150
@ 150 @ 15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하부근-2 D19 -  - - - - - - - 2
하부근-1 3 2 3 2 3 3 3 3 2
3.0m 초과,
4.0m
이하
크기(mm) 300×400 300×450 300×500 300×550 300×550
상부근-1 D19 3 3 2 2 2 3 2 3 2
상부근-2  - - - 2 - 2 - 3 -
스터럽 D10 @
150
@ 150 @ 150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하부근-2 D19  - - - - - - 2 - 2
하부근-1 3 2 3 2 3 2 2 3 3



1) L: 경간 (m)


2) 연속보의 경간 길이가 다를 경우의 단면크기 및 배근 적용 방법


()

 G1, G2의 단면크기는 G1이 제시하는 단면크기와 동일하게 적용한다.

 G1G1이 제시하는 배근정보를 따른다.

G2G2가 제시하는 배근정보를 따른다. (다만, G1과 연속되는 G2 단부의 상부근은 G1 상부근 개수를 따른다.)

 

7) 경사지붕의 작은보를 지지하는 큰보의 설계

분담폭
(m)
배근
정보
철근의 개수 및 스터럽 간격
L 5.0 5.0 < L 6.0
단부 중앙부 단부 중앙부
5.0m
이하
크기(mm) 300×500 300×500
상부근-1 D19 3 3 3 3
상부근-2 2 -  2 -
스터럽 D10 @ 150 @ 150 @ 200 @ 200
하부근-2 D19 - -  - 2
하부근-1 3 3 3 3
5.0m 초과,
6.0m
이하
크기(mm) 300×500 300×500
상부근-1 D19 3 3 3 3
상부근-2 2  - 3 -
스터럽 D10 D10 @ 200 @ 200 @ 200 @ 200
하부근-2 D19 - 2 - 3
하부근-1 3 3 3 3
6.0m 초과,
7.0m
이하
크기(mm) 350×550 350×550
상부근-1 D19 4 3 4 3
상부근-2 2 - 2 -
스터럽 D10 @ 200 @ 200 @ 200 @ 200
하부근-2 D19 - 2 - 2
하부근-1 3 4 3 4
7.0m 초과,
8.0m
이하
크기(mm) 350×550 350×550
상부근-1 D19 4 3 4 3
상부근-2 2 - 3 -
스터럽 D10 @ 200 @ 200 @ 200 @ 200
하부근-2 D19 - 2 - 3
하부근-1 3 4 3 4







1) L: 경간 (m)
2) 작은보를 지지하지 않는 큰보와 인접할 경우 단면크기 및 배근 적용 방법





 G1, G2의 단면크기는 G1이 제시하는 단면크기를 동일하게 적용한다.

 G1G1이 제시하는 배근정보를 따른다.

 G2G2가 제시하는 배근정보를 따른다. (다만, G1과 연속되는 G2 단부의 상부근은 G1 상부근 개수를 따른다.)

 

8) 캔틸레버보의 배근

  • 캔틸레버보의 배근은 전길이에 걸쳐 내부로 연속된 보의 단부배근과 동일하게 한다.

 

9) D16, D22 철근 사용시 철근 변경 개수

  •  배근도에서 제시한 주철근 직경(D19) 이외의 철근을 사용할 경우는 다음표와 같이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철근
직경
철근 직경별 철근개수 ()
보폭: 300 mm 보폭: 350 mm 보폭: 400 mm
D19 2 3 2 3 4 2 3 4 5
D16 3 5 3 5 6 3 5 6 7
D22 2 3 2 3 3 2 3 3 4
) 외부 접합부 후크 정착길이가 만족되지 않는 경우 D22 사용할 수 없다. (4.3.5(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