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소규모 건축물에서 기둥철근의 배치 기준

by chooniarale 2025. 3. 6.
반응형
출처 : 소규모건축 콘크리트구조 KDS 42 20 00(2022년)

 

소규모 건축물에서 기둥철근의 배치 기준

 

1) 기둥의 크기 및 최소 배근

  • 기둥의 형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단면을 사용할 수 있고 기둥의 주철근은 중심축에 대칭으로 고르게 배치하여야 한다.
  • 사각형단면 및 원형단면은 다음 기둥 배근표상에서의 기둥 누적부하면적에 해당되는 기둥배근을 사용한다.
기둥 횡보강 철근 상세
(a) 외부 기둥 (b) 내부 기둥

 

  • 1층 건물 기둥 단면의 최소크기는 정사각형단면은 350 mm 이상, 직사각형단면은 300 mm 이상, 원형단면은 400 mm 이상으로 한다. 기둥의 최소단면적은 122,500 mm² 이상으로 한다. 기둥의 최소 단면의 크기는 보 폭 이상으로 한다.
  •  2층 건물의 1층 및 2층 기둥 단면의 최소크기는 정사각형단면은 400 mm 이상, 직사각형단면은 300 mm 이상, 원형단면은 460 mm 이상으로 한다. 기둥의 최소단면적은 160,000 mm² 이상으로 한다.
  • 기둥단면을 위에서 규정된 최소단면적보다 크게 할 경우 기둥주근의 철근비를 단면적의 최소 1.0 %이상 확보한다.

 

2)  띠철근

  • D10 이상의 철근을 사용하여야 한다.
  • 띠철근 상단하부의 수직간격은 기둥단면의 최소치수의 1/2 이하로 하여야 한다.
  • 모든 모서리에 있는 종방향 철근과 하나 건너 위치하고 있는 종방향 철근들은 135° 이하로 구부린 띠철근의 모서리에 의해 횡지지 되어야 한다. 다만, 띠철근을 따라 횡지지된 인접한 축방향 철근의 순간격이 150 mm 이상 떨어진 경우에는 해당 종방향 철근들이 횡지지 되도록 띠철근을 배치하여야 한다.
  • 기초판 또는 기초 슬래브의 윗면과 슬래브 다음에 배치되는 기둥의 첫 번째 띠철근은 기둥과 기초 또는 슬래브의 접합면으로부터 규정된 띠철근간격의 1/2 이내에 있어야 한다.
  • 보 또는 캔틸레버보가 기둥의 4면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가장 낮은 보의 최하단 수평철근 75 mm 이내에서 띠철근을 끝낼 수 있다.
  • 띠철근은 모서리를 135°구부린 상세 이외에도 아래 그림과 같이 90°갈고리, 한면 이음상세, U-bar 상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띠철근의 정착갈고리가 한 곳에 집중되지 않도록 수직적으로 그 위치를 번갈아 배치하여야 한다.
기둥 띠철근 상세 예시

 

3) 기둥의 철근의 배치

(a) 정사각형 기둥 (1층 건물) (b) 직사각형 기둥 (1층 건물) (c) 원형 기둥 (1층 건물)
분류 기둥 형태 정사
각형 기둥
정사각형 기둥 기둥 형태 직사각형 기둥 직사각형
기둥
기둥 형태 원형 기둥 원형 기둥
기둥 누적부하면적
(m²)
36.0 m²
이하
36.0 m²
초과, 48.0 m²
이하
기둥 누적부하
면적
(m²)
36.0 m²
이하
36.0 m²
초과,
48.0 m²
이하
기둥 누적부하
면적
(m²)
36.0 m²
이하
36.0 m²
초과,
48.0 m²
이하
1 기둥
크기
(B) 350 350 기둥
크기

(B)
300 300 기둥
크기

(B)
- -
깊이(D) 350 350 깊이
(D)
500 500 깊이
(D)
400 400
주근 개수(n) 8-D16 8-D19 주근 개수
(n)
8-D16 8-D19 주근 개수
(n)
8-D16 8-D19
띠철근 단부 D10@150 D10@150 띠철근 단부 D10@150 D10@150 띠철근 단부 D10@150 D10@150
중앙부 D10@300 D10@300 중앙부 D10@300 D10@300 중앙부 D10@300 D10@300

 

(d) 정사각형 기둥 (2층건물)

분류 기둥 형태 정사각형 기둥 정사각형 기둥 분류 기둥 형태 정사각형 기둥 정사각형 기둥
1 기둥 누적부하
면적
(m²)
72.0m²이하 72.0m²초과
~ 96.0m²이하
1 기둥 누적부하
면적
(m²)
72.0m²이하 72.0m²초과
~ 96.0m²이하
기둥
크기

(B)
400 400 기둥
크기

(B)
400 400
깊이
(D)
400 400 깊이
(D)
400 400
주근 개수
(n)
12-D16 12-D19 주근 개수
(n)
12-D16 12-D19
띠철근 단부
(l0)
D10@150 D10@150 띠철근 단부
(l0)
D10@150 D10@150
중앙부 D10@300 D10@300 중앙부 D10@300 D10@300
2 기둥 누적부하
면적
(m²)
36.0m²이하 36.0m²초과
~ 48.0m²이하
2 기둥 누적부하
면적
(m²)
36.0m²이하 36.0m²초과
~ 48.0m²이하
기둥
크기

(B)
400 400 기둥
크기

(B)
400 400
깊이
(D)
400 400 깊이
(D)
400 400
주근 개수
(n)
8-D16 8-D19 주근 개수
(n)
8-D16 8-D19
띠철근 단부
(l0)
D10@150 D10@150 띠철근 단부
(l0)
D10@150 D10@150
중앙부 D10@300 D10@300 중앙부 D10@300 D10@300
(e) 직사각형 기둥 (2층 건물)




분류 기둥 형태 직사각형 기둥 직사각형 기둥 분류 기둥 형태 직사각형 기둥 직사각형 기둥
1 기둥 누적부하
면적
(m²)
72.0m²이하 72.0m²초과
~ 96.0m²이하
2 기둥 누적부하
면적
(m²)
36.0m²이하 36.0m²초과
~ 48.0m²이하
기둥
크기

(B)
300 350 300 350 기둥
크기

(B)
300 350 300 350
깊이
(D)
550 500 550 500 깊이
(D)
550 500 550 500
주근 개수
(n)
12-D16 12-D19 주근 개수
(n)
8-D16 8-D19
띠철근 단부
(l0)
D10@150 D10@150 띠철근 단부
(l0)
D10@150 D10@150
중앙부 D10@300 D10@300 중앙부 D10@300 D10@300

 

(f) 원형 기둥 (2층 건물)

분류 기둥 형태 원형 기둥 원형 기둥 분류 기둥 형태 원형 기둥 원형 기둥
1 기둥 누적부하면적
(m²)
72.0 m²
이하
72.0 m²
초과,
96.0 m²
이하
2 기둥 누적부하면적
(m²)
36.0 m²
이하
36.0 m²
초과, 48.0m²
이하
기둥
크기

(B)
- - 기둥
크기

(B)
- -
깊이
(D)
460 460 깊이
(D)
460 460
주근 개수
(n)
12-D16 12-D19 주근 개수
(n)
8-D16 8-D19
띠철근 단부
(l0)
D10@150 D10@150 띠철근 단부
(l0)
D10@150 D10@150
중앙부 D10@300 D10@300 중앙부 D10@300 D10@300

 

4) 기둥 겹침이음 상세

  • 주근 겹침 이음상세로는 그림과 같이 하부 철근을 절곡하는 이음, 상부철근을 절곡하는 이음, 절곡없이 겹침이음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 기초와 1층 기둥 사이의 주근 겹침 이음상세는 다음 그림을 따른다.

 

 

5) -기둥 접합부

  • 보와 코너(corner)기둥, 보와 외부기둥이 만나는 접합부는 다음 그림과 같은 횡방향 철근에 의해 보강되어야 한다.
접합부 보강상세
(a) 보와 코너기둥 접합부 (b) 보와 외부기둥 접합부
(a1) 기둥 폭 > 보 폭 (a2) 기둥 폭 = 보 폭 (b1) 기둥 폭 > 보 폭 (b2) 기둥 폭 = 보 폭




  • 접합부 내의 횡보강 상세로서 아래 그림과 같이 90° 갈고리상세와 U-bar 상세를 사용할 수 있다. 시공 편의를 위한 대안상세인 U-bar 상세는 보 폭이 기둥 폭과 같거나 큰 경우 사용할 수 있으며, U-bar는 기둥으로부터 철근 직경의 25배 이상의 정착길이를 확보하여야 한다. 횡보광 철근의 수직간격은 보와 만나는 기둥의 폭 hc에 대해 평면의 코너 접합부는 0.3hc, 기둥의 3면이 보에 연결되어 있는 외부 접합부는 0.5hc 이하이어야 한다. 기둥의 4면이 보에 연결되어 있는 내부 접합부는 접합부 보강이 필요 없다.

 

  • 외부접합부에서 보 주근의 배치방향으로 기둥 크기가 500 mm 이상이 아닌 경우, 보 주근의 최대 직경은 D19로 제한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