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철골공사 설계도 및 내역서 검토사항 ㅣ 철골공사 실무

by chooniarale 2025. 3. 9.
반응형
출처: NCS학습모듈, " 강구조시공 공사준비",교육부(20??), p.7~13

 

철골공사 설계도 및 내역서 검토사항

 

1) 설계도면의 내용 파악 

        강구조 시공 준비를 위해, 설계도서에서 표현하는 각종 기호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파악하고, 공사 계획과 부합하는 설계도서의 적정성을 검토할 수 있다. 검토사항은 강구조물의 배치도, 평면도, 입면도, 단면도, 상세도에 대하여 각 도면의 기능별특징을 구분하여,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시방서를 통해 재료의 종류, 가공 위치 및 가공방법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설계도서를 통합적으로 검토하여 강구조의 최종적인 실물 형상을 이해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공사의 수행을 위하여, 지형과 주변 시설물과의 배치 상황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확인사항 내용
평면도
확인 사항
아래 구조 평면도에 표현된 부재의 목록과 각 부재의 접합 형태를 통하여, 각 부재의 규격과 제작 과정과 세우기 및 접합 형식 등의 시공 과정 등을 알 수 있으며, 구조물의 전체적인 형태와 각 부재의 위치 등도 알 수 있다.
시공 상세도면
확인 사항
시공 상세도면의 재질, 접합 방법 등의 내용을 확인하여 공장 제작 및 현장 조립에 활용한다.

 주심도, 각 절별 층별 평면도, 입면도, 주단면도, 부재 접합부 상세도

 강구조의 재질, 작업 기준점(working point), level 등

처짐 보정(camber), 절단, 구멍, 개선 및 베벨 각도, 루트 간격, 스캘럽, 볼트 개수 및 규격, 볼트 구멍 간격 및 연단 거리 등

 용접 시공 기준 및 설치 정도 기준

 절별 및 부재별 번호, 크기, 중량, 수량 등

용접 표시는 KS B 0052에 따라야 하며, 각 용접 부분의 크기와 길이, 용접의 형식을 표기한다.

고장력 볼트, 앵커 볼트, 케미컬 앵커, 스터드 볼트, 너트 및 와셔의 형태와 부품의 배치 및 규격 등 길이, 수량

앵커 볼트 배치도, 강제 프레임 및 앵커 볼트 상세도

마감 도장 또는 방청 처리 부위 및 시공 여부를 표시

 공장에서 조립되는 부위와 현장 조립 부위를 구분 표시
시방서
내용 파악
 부재별 재질 : 강의 종류, 부재의 형태를 확인한다.

 column, girder & 보 부재, brace 등 SM490, SS400, TMCP 내 lamella tearing



공장 제작 시 부적절 사항의 유무를 검토

 용접부에 부합 되는 용접 방법으로 적용 여부 검토
 강구조 제작 규정에 부합되지 않는 보강 재의 부착 유무에 대하여 검토



공장 제작 접합부의 적합성을 검토

작업이 불가한 용접 접합부분의 표기, 부적절한 용접방법 적용의 검토
 부적절한 고력 볼트 접합 (용접 접합으로 변경 검토)



 조립 작업 시의 접합부의 적합성을 검토

 고력 볼트 체결과정에서 접합부 적합성 검토(체결 기기 사용 가능 여부)
볼트 접합, 용접 접합 중 적합한 작업 여부의 검토



 사용 소모재의 적합성을 확인

부재 및 작업환경에 따른 용접재의 (고강, 연강용 구분) 검토



 페인트의 적용 유무를 확인

페인트를 할 경우 : 페인트의 종류, 횟수 및 도장 두께, 도장을 위한 철 표면 처리 정도 확인(내화 피복 재 뿜칠 시공 부위의 페인트 시공 적정성 검토)
페인트를 하지 않을 경우 : 볼트 접합부 청소 (mill scale 제거 여부 확인), 내화 피복재 부착을 위한 부재 면 처리 확인 (mill scale , 들뜬 녹 제거여부 확인)

 

2) 설계도면에서 부재의 규격과 접합 방식 파악

파악항목 내용
부재의 규격 각각의 부재는 형상별로 규격이 상이하며, 표현하는 방식도 다르다. 다음 표로  강구조 부재중 H보 부재의 내용을 알 수 있다.
부재의 접합 방식 접합이란 응력 해석에 의해 부재들을 연결하여 하중을 지지할 구조체를 조립하는 것이다.

구조적인 관점에서 접합은 브라켓 접합, 핀 접합, 모멘트 접합이 있으며, 접합 방법은 다음 표에 따라서 볼트 접합, 리벳 접합, 고력 볼트 접합, 용접 접합 등이 있다.

 

3) 설계도서에서 수량 파악하기

     설계도서의 검토에 따라 각 부분들이 검토되면, 설계도서의 내용과 공사 내역서의 규격 및 수량이 일치하는지 파악하여 공사 내역 사항 중 불일치, 오류, 누락 사항이 없는지 확인한다.

구분 파악내용


보통 
강구조재
강구조재의 경우 각 층별로 기둥, 벽체, 보, 바닥, 지붕틀의 순서로 하여 수량 산출되었는지, 또 주요 부재와 부속재로 나누어 계산되었는지 검토한다.
수량산출 다음 표에 따라 종류별 및 단면 치수별로 구분하여 총 연장을 산출하고 중량으로 계산하였는지 검토한다.
강재의 중량 산출 중량 산출을 확인할 때는 생산자의 카탈로그(catalogue) 또는 KS제품인 경우는 KS D3502에 의한 강재 제원 표에 의하여 산정 되었는지 검토한다.
강재 발생재의 처리 경우 소요 강재량과 도면 정미량과의 차이에서 생기는 스크랩(scrap)은 그 스크랩 발생량의 70%를 시중의 도매 가격으로 환산하고, 그 대금이 설계 시에 사전에 공제되었는지 검토한다.


용접과
절단
아크 용접 작업 공장 용접과 현장 용접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는지 검토한다.
용접 길이 계산 개선(groove) 형태별로 구분 및 산출하여 설계도서에 의한 정미 수량을 계산하였는지
검토한다.

 

4) 내역서 확인하기

구분 내용
준비 설계도서 및 관련 자료를 입수한다.

 적산 조건 확인 : 설계도면 인수 시 골조, 마감, 내역 등을 확인한다.

 수량 산출 및 단가 조사 내용을 확인한다.

 수량 산출 집계 내용을 확인한다.
내역서 작성 과정 확인 및 검토  적산의 근거는 설계 도서(설계도면, 시방서, 구조 계산서)에 있으므로, 설계도면, 시방서나 구조계산서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파악하고 산출하였는지 확인한다.

설계도면이 불분명하거나 틀린 부분의 발견 시 임의로 처리하지 않고 설계사무소나 의뢰처, 공동 작업자들에게 알려서 확인을 한 후에 진행하였는지 확인한다.

수정 사항 등이 확인된 경우에는 협의한 사람의 회사, 직책, 성명, 날짜 등을 기록하였는지 수정 목록을 확인한다.

 골조 부분은 주된 물량으로 중요하며, 전체 공사비에서 그 비율을 확인한다.

 마감에서는 물량의 크기보다는 아이템의 누락이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내역서 검토 
유의 사항
품명(공종 포함) 등에 대하여 내역서와 비교하여 검토한다.
강구조 자재 규격의 확인
재질 및 크기, 형상을 표기하였는지 검토

강구조 가공 조립
규격 란에 roll 또는 built-up 및 강재 총 사용량을 표기하였는지 검토

강구조 세우기
규격 란에 강재 사용량/㎡, 강재 총 사용량 등을 표기하였는지 검토

앵커 볼트
산출 내역서에 자재를 별도 계상했으면 설치 일위대가에서는 동 자재를 제외하고 작성하였는지 검토

데크 플레이트
규격란에 소재 및 표면 처리상태, 제품 규격을 기재하고 설치에 대한 부대 비용을 포함여부를 표기하였는지 검토

 강구조 내화피복 또는 내화 페인트 등
규격 란에 내화시간, 세부규격(용도, 재료, 두께, 공법)을 표기하였는지 검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