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출처: NCS학습모듈, " 강구조시공 공사준비",교육부(20??), p.14~20
철골공사 특성 및 안전성 검토 실무
1) 강구조공사 특성의 이해
강구조는 건물의 주요 구조부인 기둥, 보, 계단, 지붕, 바닥 등의 골조에 형강 및 강관을 사용하여 리벳 접합, 볼트 접합 등의 접합 방식으로 조립하거나, 단일 형강으로 구성한 구조물이다. 공사 특성은 구조형식 및 접합 방법에 따라 달라지며 설계도서에서 파악된다.
2) 철골구조(강구조) 접합부의 형식
- 각각의 부재를 공장 제작 후 현장에서 조립하는 조립식 구조로서 구조 형식은 강접합, 핀접합, 반강접합이 있다.
- 구조 접합부 형식에 의한 공사 특성 비교
접합 형식 | 강접합(fix, rigid) | 핀접합(pin) | 반강접합(semi rigid) |
접합부 공사 특성 | ●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부재의 끝단이 회전하지 않도록 된 접합 ● 접합부가 충분히 강함. (고정도 90~100%) |
●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부재의 끝단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된 접합 ● 접합부가 유연함. (고정도 0~20%) |
●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일정량의 모멘트 저항능력을 가진 접합 ● 접합부가 어느 정도 강함. (고정도 20~90%) |
접합부의 부재력 | ● 축방향력(n) ● 전단력(v) ● 모멘트(m) |
● 축방향력(n) ● 전단력(v) |
● 축방향력(n) ● 전단력(v) ● 모멘트(m)일부 |
접합 부분 | ● 플랜지 & 웨브 | ● 웨브 | ● 플랜지 & 웨브 |
접합 예시 | ![]() |
![]() |
![]() |
3) 접합재의 종류
- 공사의 특성은 다음 표의 접합 종류 및 특성에 따라 파악할 수 있으며, 접합 방법 및 시공에 따른 유의 사항을 확인한다.
3) 구조물의 안전성 검토 전반
구분 | 내용 |
구조 계산의 검토 | ● 강구조물의 건축적 용도와 그에 따른 하중, 구조 하중, 시공 하중 등을 고려하여 재료, 자재, 공법 등을 역학적으로 검증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확인하는 도서이며, 강구조 시공 준비를 위한 모든 설계도서의 기준이 된다. |
구조계산서의 검토 | ● 구조 계산서는 구조 계산서의 작성 지침에 따라 작성된 순서와 항목 및 내용을 구성한 것인지 검토 할 수 있으며, 설계도서 등과 부합되는지 검토해야 한다. |
![]() |
4) 설계도서 검토에 따른 구조물 안전성 검토하기
구분 | 내용 | |
주요 부재 검토하기 | ● anchor bolt | ▷ anchor bolt는 column의 정착 부분과 부분 정착 부분으로부터 생성된 휨 모멘트와 column base에서의 인장과 전단의 모든 조건에 저항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
● column 베이스 플레이트 | ▷ 두께가 50mm 이하인 “압연 내력 강판”은 만족할 만한 접착 내력이 얻어지면 밀링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압연 내력 강판이 아닌 column bearing surface는 밀링을 하였는지 검토한다. | |
● column | ▷ column의 size는 축 하중을 받는 압축 부재의 최대 강도로써 구해져야하며, ▷ 이 때 웨브와 플랜지의 size가 소성 단면 계수 z값을 만족하더라도 nominal size가 h200x200 이상 유지되어야 하며, ▷ 외장재의 offset와 일치되었는지 검토한다. |
|
● girder와 보 부재 | ▷ 부재의 depth와 두께는 factored loading에 의해 생성된 전단을 만족하고, ▷ 소성절점이 형성되는 하중 적용 지점에는 wed stiffener를 접합하였는지 검토한다. |
|
● lateral bracing (수직 가새) |
▷횡 변형과 비틀림 변형이 저항할 수 있도록 부재들은 bracing이 있어야 한다. ▷ end moment ratio의 부분이 역곡에서 bent될 때는 양의 값이고 단곡에서 구부러질 때는 음의 값인지 검토한다. |
|
상세도 검토하기 | ● 건축, 구조, 상세도가 일치해야 한다. | |
● 접합부 상세와 마감 부분이 간섭이 없어야 한다. | ||
● 접합방법에 대한 구조 계산이 확인되어야 한다. | ||
● 설비, 전기의 개구부가 고려되어야 한다 | ||
● 부속 철물의 위치가 접합부 등과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
5) 시공 계획을 통하여 구조물 안전성 검토하기
시공 계획서는 현장 운영 방안과 공장 제작에서 운반 계획, 현장 설치, 시공, 품질, 안전, 환경관리 등 해당 공종의 공사 방침을 결정하고 계획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시공 계획서의 세부 내용이 작성되었는지 검토하여 구조물의 안전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① 공장작업
공 종 | 작업 방법 | 시공 관리 기준 |
shop dwg | ● basic dwg을 기준으로 시방서 등을 참조하여 실제 가공(제작)에 필요한 dimension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감독관의 승인 후 다음 작업에 반영한다. | ● 부재 간 이음 위치의 적합 여부 및 간섭 사항 발생 여부 check ● 접합(용접,bolting)기호. ● 운반 및 erection 상의 문제점 |
자재 발주 및 입고 |
● basic dwg을 기준으로 제작 중 이음개소 및 loss가 최소화 되도록 c.p를 작성하되 완성품의 운반을 고려하여 발주한다. | ● 규격품 : mill sheet 확인 ● 외관검사 : 평탄도 등. ● 관련규격 : KS, JIS, ASTM 등 |
제 작 (1, 2차 가공) |
● shop dwg을 기준으로 현장 설치 순서를 감안하여 우선 순위에 따라 제작한다. (현도-절단-천공-조립-용접-사상) |
● 제작 우선 순위 준수여부 ● 제품검사 : 치수 및 변형 여부 검사 ● 용접 검사 : 비파괴 검사(ut,rt,mt) |
페인트 | ● 건축물의 위치 및 용도에 따라 시방이 다름 ▷내륙지방의 일반 건축물 : 광명단+조합 페인트 ▷ 해안 또는 페인트 설비 : 중방식도장 내화 구조 기준(건축법 제40조) 적용 여부 확인 환경 기준에 적합한 장소에서 도장 작업 실시 |
● 표면 처리(사용 재료에 따라 다름) ▷ 광명단 : power tool & sa 1.0 ▷ 중방식도장 : sa 2.0 & sa 2.5 ● 사용 재료 및 도막 두께 검사 ● 무도장 부위 도장여부 검사 |
② 현장작업
공 종 | 작업 방법 | 시공 관리 기준 |
Erection | ● 설치할 부재의 중량 및 현장의 장비진입로 등을 고려하여 설치 장비의 제원을 결정한다. ● 설치 순서는 수직재와 수평재를 병행 작업하여 안전한 구조를 형성하며 진행한다. |
● 작업 전 설치 시공 계획서 작성 ● 장비 제원 및 진입로 확인 ● 작업자의 수직 통로 확보 ● 부재의 불일치 여부 check |
Plumbing | ● 설치 작업이 완료된 구간에 대하여 column의 바로 세우기(건물의 기울기) 및 각 span의 거리를 조정한다. | ● 건물의 기울기:h/500 또는 25mm이하 ● 층높이 : ±3mm 이하 ● span : ±3mm 이하 |
Bolting & Welding |
● plumbing 검사에 합격한 구간에 한하여 도면이 정한 기준(bolting &welding)에 따라 접합부 시공을 실시한다. |
● bolt torque test 실시 (t.s bolt사용 시 검사가 필요 없음) ● 용접 작업 전 w.p.s 작성 |
Grouting | ● 무수축제를 사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 하부가 완전히 충진되도록 시공한다. ● grouting level은 베이스 플레이트 두께의 1/3정도까지 무수축제가 덮이는 것이 좋다. |
● 베이스 플레이트하부 청소 상태 확인 ● 형틀 시공 상태 (모서리에 면목 사용) ● Base 하부 충진 상태 확인 ● 시공 후 보양 철저(직사광선 차단) |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골공사의 시공 VE 수행 ㅣ 철골공사 실무 (0) | 2025.03.11 |
---|---|
철골공사 설계도서, 시방서 및 공사방법 검토 방법 ㅣ 철골공사 실무 (0) | 2025.03.11 |
철골공사 설계도 및 내역서 검토사항 ㅣ 철골공사 실무 (1) | 2025.03.09 |
철골공사 설계도서의 이해 ㅣ 철골공사 시공 실무 (0) | 2025.03.09 |
철골 구조물 공사의 사전 작업 계획 ㅣ 철골공사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