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주택수선시 오배수 공사 관련입니다.

by chooniarale 2024. 6. 14.
반응형

오배수공사 일반사항

실제로 농가주택 신설이나 기존 노후 주택의 수선등에 오배수 공사는 단독정화조를 설치할 경우도 있고 광범위하달까? 나름 어려운 공사 중에 하나이다. 그래서 이에 대한 사항들을 사전에 잘 파악하고 공사를 하여야 한다. 

 

오배수 공사의 구분

일반적으로 배수계통은 오수,배수, 우수 등으로 구분되며,

양변기, 소변기에서 배출하는 것은 오수,

싱크배수, 세탁배수, 세면기배수, 화장실과 세탁실의 바닥 배수 등은 배수,

 빗물은 우수로 분류된다. 우수는 오배수와 별도 분리 및 연결시공 하여야 한다.

 

배관 등의 적용기준

구분 적용기준 비고
오배수배관 욕실(화장실) 신설 등 신규 설치시 적용, 기존배관의 교체는 불가피한 경우 적용  
배수트랩 악취방지를 위해 위생기구 배수구 부근 및 욕실 바닥 등에 설치 
위생기구용(P트랩, S트랩) 및 바닥용(벨트랩)
 

배관사진
배관사진

시공 유의사항

1) 오배수 배관

  • 위생기구와 배수관은 누수 또는 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긴밀하게 접속
  • 세대용 배관의 구배는 1/50이상의 하향구배로 시공하여 역구배 되지 않도록 주의
  • 배수관이 합류하는 경우 반드시 45도 이내의 예각, 수평에 가까운 구배로 합류
  • 배수관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매립시공을 원칙, 노출부위는 동결 및 동파 방지를 위하여 보온재 설치 등 조치
  •  

배수관 사진

  • 세면기의 배수관 연결은 P, S트랩을 사용하고 벽 마감에서 5mm 이상 돌출되게 시공하고, 악취 및 벌레 침입 방지를 위해 패킹을 삽입
  • 바닥배수는 바닥트랩(벨트랩)을 사용하고, 거름망을 분해 · 조립하여도 냄새차단 기능에 이상이 없도록 시공에 주의

세변기 트랩
세변기 트랩

2) 오배수 배관 수선사례(사진)

오배수관 수선사례

 

2) 단독정화조 설치공사

  • 화장실 신설 등 단독정화조는 설치 필요시 적용
  • 정화조 설치는 해당 지자체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고 관련법령에 따라 설치 신고 및 준공검사 시행(관련법령 : 하도수법 제34조, 37조)
  • 예외 : 미등기 · 무허가 등 토지소유자가 상이한 경우, 토지소유주 동의서 확보 후 시공가능
  • 설치장소 : 사람보행에 지장이 없고, 자연구배가 가능한 평탄한 장소,  유출 · 유입구가 너무 멀지 않고, 환기구 설치 시 주변에 방해가 되지 않는 장소, 정화조 설치 후 주변건물에 영향 주지 않는 장소
    · 지중매설물이나 상하수도 배관 등이 없는 장소
  • 단독정화조 구조
  •  

단독정화조 구조
단독정화조 구조

  • 터파기는 가능한 여유 있게 하고, 콘크리트기초 위에 모래나 석분으로 다짐
  • 잔골재로 1/3 이상 되메운 후 담수 시작하여 정화조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되메우기 완료 후 물 채움
  • 되메우기 시 정화조 본체의 이동이 있는 경우 재설치 후 되메우기 시행
  • 되메우기 완료 후 1일 이상 누수여부 및 AIR배관 누기 및 폭기 여부 확인
  • 맨홀설치 및 상부마감, 확기부 등 노출부위는 주변지형에 어울리게 마감
  • 환기구에는 해충의 유입 및 번식을 방지하기 위해 방충망을 설치
  •  

시공과정
시공과정

 

3) 단독정화조 시공순서

단독정화조 시공순서
단독정화조 시공순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