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철골 구조물 마감 필요 여부 검토하기 ㅣ 철골공사 실무

by chooniarale 2025. 4. 9.
반응형
출처: NCS학습모듈, " 강구조시공 내화피복",교육부(20??)

 

철골 구조물 마감 필요 여부 검토하기

 

1) 철골 구조물의 용도 이해

구분 내용
철골 구조물의 용도 철골은 강구조 건축물,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 건축물, 강공작물 등 경제성을 고려한 구조 주체로서 대규모의 초고층 건축물로부터 소규모의 저층 사무소나 창고까지 광범위하게 여러 용도에 걸쳐 사용되고 있다.

구조물의 용도에 적합한 자재 및 공법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구조체가 철골 구조로 설계되었을 때 여러 가지 용도와 기능을 고려하여 벽체와 천정에 철골 구조 부재 외에 별도의 마감이 필요한 지 검토가 필요하다.
용도에 따른 구조의 특징 철근 콘크리트조,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 구조: 주택, 병원 등으로 사람이 조용하게 거주할 수 있는 건축물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순철골 구조: 기타 공공 시설 건축에 사용되고 있다.
철골재의 종류별 주요 용도 경량 철골(박판으로 판 두께 4.0㎜ 미만의 경량 구형강·각형 강관, 바닥 연면적 당 철골사용량: 20~70㎏/㎡): 주택, 소규모 공장 및 창고에 사용된다.

보통 철골(판두께 4.0㎜ 이상인 철골재, 바닥 연면적 당 철골 사용량: 60~100㎏/㎡): 보통 빌딩, 공장, 점포에 사용된다.

중량 철골(바닥 연면적 당 철골 사용량: 120~240㎏/㎡, 발전소 등의 공작물 대공간 건축물일 때는 190~600㎏/㎡): 초고층 건축, 강당, 대형스팬(long span)구조에 사용된다.

 

2) 철골 구조물 부재 마감의 필요성 검토

  • 철골구조물 부재에 별도의 마감이 필요한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검토한다.
  • 구조물의 벽부에는 철골 기둥, 천정에는 철골 보를 기준으로 한다.
  • 구조물 공간의 기능 중 핵심적인 요소를 도출하여 검토한다.
  • 동일 건축물 내에서도 공간의 기능에 따라 마감 필요성이 세분화 될 수 있으나 가장 중요한 기능 위주로 검토한다.
  • 아래 용도 건축물의 철골 기둥을 포함한 벽과 철골 보를 포함한 천정 검토 시 철골 기둥이나 보에 별도의 마감이 필요한 경우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 별도의 마감 필요 시 O로 표기한다.
           ▷ 별도의 마감을 하거나,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로 표기한다.
           ▷ 별도의 마감이 불필요한 경우 X로 표기한다.

철골 기둥 및 보의 마감 필요성 검토 체크리스트(전체 요약 사례)

 

3) 해당 프로젝트 구조물의 용도와 기능적 특성 파악

       아래 순서에 따라 개요 및 계획 조건, 구조물의 용도와 기능적 특성을 파악한다.

구분 내용
설계 개요서 프로젝트명, 발주자, 설계자, 감리자, 공사 개요, 기타 공사의 종류, 구조, 층수, 굴착 깊이, 최고 높이(건축법에 의한 건축물의 높이), 연면적, 위치 등 기본적인 개요를 확인한다.
구조물 계획 조건의 분석 구조물의 여러 가지 조건들을 명확히 확인 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건물의 용도
       구조물 또는 건물의 용도와 목적을 파악한다. (사무소, 은행, 호텔, 백화점, 쇼핑센터, 체육관, 극장, 연회장, 회의장, 학교, 교회, 문화공간, 병원, 터미널, 공항, 주차장, 공장, 창고, 기타 산업 시설 등 용도가 무엇인지 파악한다.)

 사용자의 요구
       건축주나 사용자의 요구 또는 소요 공간의 기능 발휘를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마감은 무엇인지 파악한다.

 규모 및 예산
       필요 시 요구되는 규모와 예산을 개략적으로 파악한다.

 대지의 조건
       대지의 조건은 공사 수행에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교통 관계, 공공 시설의 유무, 공사용 자재 운반의 용이성, 기후 등의 자연적 조건, 전기, 상하수도, 법규 상황, 공해 상태 등을 파악한다.
  설계 개요서 (예시)
 
  평면도 (예시)
 

 

4) 철골 부재 내화 피복이 가능한 공법 검토

  • 아래 표의 철골 부재에 외부 마감의 필요성 검토 결과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공법을 비교하여 확인한다.
  • 확인 결과, 기둥은 습식 공법 및 도장 공법이 가능하며 보는 습식 공법 중 뿜칠 공법 및 도장 공법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철골 부재에 마감의 필요성 검토 양식(예시)

 

철골 부재 내화 피복 가능 공법 검토

 

5) 구조물의 용도에 적합한 공법 선정

  • 위 표에서 확인된 공법은 해당 구조물의 용도로 활용하는 공간의 기능적인 검토를 고려한 결과이다.
  • 구조물의 용도에 적합한 공법을 선정하기 위하여 경제성, 시공성, 내구성 등을 비교 검토하여 적합한 공법을 선정한다.
  • 각 내화 피복 공법의 경제성과 시공성 등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를 통해 뿜칠 공법, 프리패브 공법, 붙임 공법이 전반적으로 우수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구조물의 특수한 용도가 있을 경우, 공법 선정에 적합한 비교표를 만들어 세밀한 선정 과정을 거쳐 공법을 선정하여야 한다.
경제성, 시공성, 내구성 등을 고려한 공법 비교표 주: ◎우수 □보통 △불량

 

6) 구조물 용도에 적합한 공법에 따른 사용 자재 선정

       경제성, 시공성, 내구성 등을 비교하여 구조물의 용도에 적합한 공법을 선정한 후 사용 가능한 자재의 조달 조건, 시황, 현장의 작업 조건, 운반 및 양중을 고려하여 적합한 자재를 선정한다. 자재가 결정된 경우, 시공 여건이 맞지 않을 때는 설계 변경을 통하여 자재를 변경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