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내화피복 도면과 내역서 산출 물량 비교 ㅣ 철골공사 실무

by chooniarale 2025. 4. 10.
반응형
출처: NCS학습모듈, " 강구조시공 내화피복",교육부(20??)

 

내화피복 도면과 내역서 산출 물량 비교

 

1) 내역서의 정의 및 구성

       내역서란 산출된 공사 수량에 항목별 단가를 곱하여 산출하는 내역서 및 총괄 내역서로 구분한다. 강구조 시공 중 내역서는 순공사비를 산출하는 내역서에 해당한다.

구분 내용
내역서(순공사비) 각 작업 공종의 수량에 일위 대가에 의하여 산정된 단가를 곱하여 공사비를 추출한 내용이다.

이때 수량은 도면 및 수량 총괄 집계에 의하여 추출된 수량을 적용하고 적용 단가는 단가 산출, 기계 시공 산출, 기초 일위 대가, 단위 일위 대가 등이 적용된다.
총괄내역서 기 산출된 내역서(재료비+직접 노무비+직접 경비)에 간접 노무비, 제 보험료, 안전 관리비, 환경 보전비, 기타 경비를 더하여 공사 원가를 산출하고 일반 관리비, 이윤을 더하여 총공사 원가를, 총공사 원가에 부가세, 지급 자재비를 합하여 총공사비를 산출한다.

 

2) 수량 산출 진행 시 주의 사항

  • 중복을 방지한다.
  • 세분화하여 산출한다.
  • 층별로, 수평에서 수직 방향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큰 곳에서 작은 곳으로 진행한다.
  • 시공 순서에 따라 산출한다.
  • 도면 표기 및 모호한 사항은 질의를 통하여 확인한다.
  • 수량은 C.G.S 단위를 사용한다.
  • 수량의 단위 및 소수위는 표준 품셈 단위 표준에 준한다.
  • 수량의 계산은 지정 소수위 이하 1위까지 구하며 끝수는 반올림한다.

 

3) 내화 피복의 수량 산출 기준

  • 내화 피복의 수량은 철골 표면에 설계도에 의한 내화 피복을 하여야 할 부분의 정미면적으로 산출한다. 정미 면적이란 면적에서 할증을 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즉 여유 없는 실면적을 뜻한다.
  • 철골이 콘크리트 또는 다른 자재와 접하지 아니하는 부분으로서 노출되는 부분에 대해 서는 방청 페인트를 칠하게 되는데, 그 수량은 설계도면에 의한 방청 페인트를 칠할 부분의 면적, 즉 도장 정미 면적으로 산출한다.
  • 방청 페인트 등 철골에 칠할 소요 면적을 개산적(槪算的)으로 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에 의한 도장 면적 배수를 적용하여 산출할 수 있다.
철골 구조 도장 개산 면적

 

4) 내화 피복 수량 산출

  • 내화 피복은 사용 재료, 피복 두께, 시공 방법이 다양하므로 이를 구분하여 수량을 산출하여야 하며, 특히 내화 피복에 대한 시방사항을 잘 파악한 후 산출한다.
  • 내화 피복의 수량 산출은 내화 시간별, 두께별로 구분하여 실면적을 산출한다.

 

5) 내화 피복 수량 산출 실습 예

구분 내용
설계 개요 확인, 이해  산출 물량 검토에 필요한 도면 및 산출 내역서를 준비한다.

 수량 산출한 건축물의 용도와 개요를 확인하고 공사 목적을 이해한다.
시방서, 구조도면(평면도, 단면도)을 통한 적산 조건 확인, 검토 ● 시방서 (예시)

구조도면(평면도 또는 단면도)과 수량 산출서를 비교로 정확성 확인 평면도 (예시)

  ● 강재 리스트 (예시)



  수량 산출서 (예시)

검토순서  수량 산출서의 내화 피복재를 규격별로 확인한다.

 철골 부재(보, 기둥)별로 구분하여 확인한다.

부재 단면의 둘레 길이에 내화 피복재 시공 시 겹치는 부분의 두께(또는 길이)는 공제 한다.

 부재별로 녹막이 페인트 물량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오차 여부를 간접적으로 확인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