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하도급 계약 분쟁 발생요소 사전파악 ㅣ 하도급 실무

by chooniarale 2025. 4. 27.
반응형
출처: NCS학습모듈, " 하도급관리", 교육부(2016)

 

하도급 계약 분쟁 발생요소 사전파악

 

1) 개요

        하도급 계약 분쟁발생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서 하도급 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및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등을 진행단계별로 다음과 같은 주요 사항을 면밀히 검토하여야 한다. 관련 법규에 저촉되는 부분은 향후 하도급 거래와 관련하여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하도급 계약 분쟁
하도급 계약 분쟁

 

구분 내용
계약단계 계약서류의 서면교부 및 보존, 각종 보증서류 교환, 하도급 대금결정 관련 서류의 보존, 하도급 계약 체결의 발주처 신고 및 KISCON 입력 여부 등에 위법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한다.
공사 이행단계 선급금 지급 및 보증서 징구, 건설공사 목적물의 적법한 검사 실시 및 목적물 수령, 하도급 계약공기 내 공사진행 여부 등에 위법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한다.
건설대금 지급단계 하도급 대금의 적법한 지불, 하도급 대금 직불여부의 검토내용, 하도급 대금의 조정, 하도급 대금 조정 시 적정단가 적용 여부 등에 위법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한다.
공사완료단계 하자보증서 징구 여부, 정산금 합의내용 및 준공금의 적기지급 등에 위법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한다.
하도급 계약 시 점검 목록

 

2) 하도급인 및 발주자 보호 관련 제도

구분 내용
하도급인 보호 관련 제도 하도급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하도급인의 의견청취, 설계변경 등에 따른 하도급 대금의 조정, 검사 및 인도, 불공정행위의 금지 등에 관련된 내용을 법으로 정하고 있다.
  하도급인 보호에 관한 법규
 
발주자의 권리 보호 관련 제도 발주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발주자에게 하도급인 변경요구 및 하도급인 시공능력 등의 심사권, 도급 계약의 해지권 등에 관련된 내용을 법으로 규정하고 있다.
  발주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법규
 
하도급인 등의 지위 하도급인 등의 지위는 다음과 같이 법률상으로 보장하고 있다.
  하도급인의 지위에 관한 법규
 
위반 시의 제재 하도급에 관련된 법규를 위반하면 다음과 같은 행정처분 및 벌금을 부과한다.
  하도급 관련 법규 위반 시 조치사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