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태양광 발전(PV, Photovoltaic)과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설명자료 입니다.

by chooniarale 2024. 7. 21.
반응형

PV(Photovoltaic) 정의

① 특별한 유지관리, 공해 및 재료의 부식 없이 간단하게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② 금속과 반도체의 접촉면 또는 반도체에 빛을 비추면 발생하는 광전효과를 이용한 발전이다.

프로세스
프로세스
계통도
계통도

 

장점 및 단점

  • 에너지원인 태양광의 수명이 반영구적
  • 환경을 오염시키는 배기가스나 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음
  • 무소음의 청정 에너지원
  • 발전하는 곳에서 소비하므로 송전시설 불필요
  • 다양한 규모의 발전설비 설치 가능
  • 큰 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큰 설치면적이 필요
  • 기상조건에 따라 태양전지의 발전량 차이 발생
  • 추가적인 축전지 설비 필요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정의

① BIPV란 태양광 발전(PV;PhotoVoltaic)의 모듈을 건축물의 외부(옥상, 벽) 마감재로 대체하는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을 말한다.
② 태양광 발전을 통합적으로 건물에 적용하여 자체 내 전력수요를 충당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 건물의 외피 자재를 대체하여 부가적으로 태양광시스템 설치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는 이중효과가 가능하다.

<EVA Film;Ethylene Vinyl-Acetate Film>
<EVA Film;Ethylene Vinyl-Acetate Film>

 

태양광 발전(PV;PhotoVoltaic)의 특징

1) 장점
       ① 에너지원인 태양광의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② 화석연료와 같이 환경을 오염시키는 배기가스나 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는다.
       ③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깨끗한 에너지원이다.
       ④ 소비하고자 하는 장소에 바로 설치되므로 송전이 필요 없다.
       ⑤ 다양한 규모의 발전 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
2) 단점
      ① 큰 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큰 설치면적(10m²당 3kW 전력 생산)이 필요하다.
      ② 기상조건에 따라 태양전지의 출력이 변한다.
      ③ 인접 건물 및 주변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초고층 건물에서의 BIPV 활용방안

  • 충분한 설치면적 확보 가능
  • 건물의 외피인 커튼월에 적용가능
  • 건물 자체의 채광문제 해결
  • 시공의 용이성 확보
  • 전기 에너지 소비량의 분담성이 높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