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V(Photovoltaic) 정의
① 특별한 유지관리, 공해 및 재료의 부식 없이 간단하게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② 금속과 반도체의 접촉면 또는 반도체에 빛을 비추면 발생하는 광전효과를 이용한 발전이다.
장점 및 단점
- 에너지원인 태양광의 수명이 반영구적
- 환경을 오염시키는 배기가스나 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음
- 무소음의 청정 에너지원
- 발전하는 곳에서 소비하므로 송전시설 불필요
- 다양한 규모의 발전설비 설치 가능
- 큰 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큰 설치면적이 필요
- 기상조건에 따라 태양전지의 발전량 차이 발생
- 추가적인 축전지 설비 필요
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 정의
① BIPV란 태양광 발전(PV;PhotoVoltaic)의 모듈을 건축물의 외부(옥상, 벽) 마감재로 대체하는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BIPV;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을 말한다.
② 태양광 발전을 통합적으로 건물에 적용하여 자체 내 전력수요를 충당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 건물의 외피 자재를 대체하여 부가적으로 태양광시스템 설치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는 이중효과가 가능하다.
태양광 발전(PV;PhotoVoltaic)의 특징
1) 장점
① 에너지원인 태양광의 수명이 반영구적이다.
② 화석연료와 같이 환경을 오염시키는 배기가스나 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는다.
③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는 깨끗한 에너지원이다.
④ 소비하고자 하는 장소에 바로 설치되므로 송전이 필요 없다.
⑤ 다양한 규모의 발전 설비를 설치할 수 있다.
2) 단점
① 큰 전력을 얻기 위해서는 큰 설치면적(10m²당 3kW 전력 생산)이 필요하다.
② 기상조건에 따라 태양전지의 출력이 변한다.
③ 인접 건물 및 주변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초고층 건물에서의 BIPV 활용방안
- 충분한 설치면적 확보 가능
- 건물의 외피인 커튼월에 적용가능
- 건물 자체의 채광문제 해결
- 시공의 용이성 확보
- 전기 에너지 소비량의 분담성이 높음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재발생시 콘크리트 건물은 얼마만큼 견딜 수 있을까? (0) | 2024.07.21 |
---|---|
재건축과 재개발의 차이 및 주요 절차상세, 유의점 설명입니다. (0) | 2024.07.21 |
건설사업관리기술인의 안전관리 16개 업무 정리; 공사관리관은 그 이행 여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0) | 2024.07.21 |
건설공사정보시스템(KISCON) 소개 및 하도급통보 시스템 입력 매뉴얼 (0) | 2024.07.21 |
2024년 하반기 표준시장단가 발표 파일입니다. (0) | 2024.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