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우천시 콘크리트 타설과 관련한 정보 입니다.

by chooniarale 2024. 7. 9.
반응형

국토교통부는 강우, 강설 시 콘크리트 타설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되 부득이 타설 할 경우 필요한 조치를 사전, 사후로 구체화하고, 이에 대한 책임기술자(감리)의 검토·승인을 의무화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표준시방서 개정안을 발표하였다. 그 결과는 아직은 용역시행 중으로 내년쯤 명확한 기준이 나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천 시 콘크리트 타설은 위험이 있지만 상황 파악과 사전 준비를 통해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피해 발생 시 적절한 복구 방법을 활용하여 콘크리트 품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우천 시 콘크리트 타설의 특성과 잠재적 피해

우천 시 콘크리트 타설은 다음과 같은 위험이 있습니다:

  • 콘크리트 표면의 과도한 블리딩 현상
  • 콘크리트 강도와 내구성 저하
  • 콘크리트 표면 손상 : 외국의 사례에서는 물시멘트비의 증가보다는 콘크리트 표면 손상의 경우에 더욱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그래서, 표면이 빗방울로 인하여 곰보가 생긴 경우 표면을 갈아내고 보수를 잘하는 방향으로 대책을 세웁니다. 

우천 시 콘크리트 타설 관리 방안

  • 상황별 보호 대책 수립: 비닐 시트나 습윤 마대 덮기 등 콘크리트 표면 보호
  • 콘크리트 온도 관리
  • 필요한 자재 및 장비 사전 준비

우천 피해 콘크리트 복구 방법

  • 표면 그라인딩으로 손상된 부분 제거
  • 시멘트와 석분 혼합 슬러리로 보수

 

비오는 날 콘크리트 타설 시 주의사항

타설 전중후 확인사항

타설 전 확인사항

  • 일기예보를 확인하여 비가 올 확률이 높은 경우 타설을 자제해야 합니다.
  • 비가 올 경우 콘크리트 품질 저하, 표면 손상, 균열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타설 중 관리사항

  • 비가 오는 동안에는 콘크리트 타설을 중단하고, 비가 그친 후에 타설을 재개해야 합니다.
  • 비가 올 경우 콘크리트 표면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비닐 보양 운반 차량의 호퍼에 덮개 씌움
  • 단위수량등 배합비 조절 
  • 시간당 5㎜이상 : 타설중지, 이어치기 부위 협의

타설 후 관리사항

  • 강우 시 타설 부위에 대해 현장과 동일한 조건으로 양생된 공시체(견본)로 압축강도 시험을 해야 합니다.
  • 별도로 콘크리트 시험·검사 실적도 관리하도록 해야 합니다.  

 

비 오는 날(우천 시) 콘크리트 타설 기준

타설허용 강우량의 현재까지의 기준:

  • 명확한 법적인 기준이라기 보다 여러 전문 시방서나 상식선에서의 현재까지의 기준은 5mm/시간 오로 조사됩니다.
  • 비가 적은 양(5mm 이하)으로 내리는 경우에는 타설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비가 많이 오는 경우(5mm 초과)에는 타설을 자제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