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레미콘공장점검 요령 입니다.

by chooniarale 2024. 7. 26.
반응형

본 글은 소규모 건설공사 품질관리 실무업무 매뉴얼(2024, 익산지방국토관리청)을 참조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I. 법적 근거

  • 「건설기술 진흥법」 제57조(건설자재ㆍ부재의 품질 확보 등)
  • 「건설공사 품질관리 업무지침」 제34조(자재공급원의 정기점검)

 

II. 업무흐름도

레미콘공장점검 업무흐름도
레미콘공장점검 업무흐름도

III. 레미콘 공장 점검요령

공자배치도
공자배치도
생산흐름도
생산흐름도

1) 골재저장설비 점검

  • 최대 출하량 대비 골재 저장량 확인
  • 골재저장설비 배수상태 등 확인: 골재칸막이 적정여부, 배수로 막힘, 역구배, 바닥 강성포장 여부, 살수장치 가동여부 (골재호퍼 내) 등 확인
  • 골재시료채취 및 저장상태 확인 : 입도 및 표면수율 시험을 위한 시료 채취, * 자연사(세척사)와 부순 잔골재를 임의로 혼합하여 보관·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분리 저장 및 사용여부를 반드시 확인(야적장 등)

 

2) 시멘트(혼화재) 및 혼화제 사일로 확인

  • 시멘트(혼화재) 사일로 방습시설 설치 여부
  • 시멘트(혼화재) 투입구 식별표시 설치 여부, 풍화 방지 장치 설치 유무
  • 혼화제 희석을 위한 교반기 설치 및 가동 유무
  • 사일로 내 시멘트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계 설치 및 가동 유무

 

3) 골재 등 운반장치 확인

  • 잔골재, 굵은골재 운반용 벨트 컨베이어 등의 파손 여부
  • 옥외 설치된 운반장치에 대해 우수로부터 보호 여부 :  벨트 컨베이어 덮개 등이 파손되어 우수가 혼입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전체 벨트 컨베이어 설치구간에 대한 확인 시행

 

4) 회수수 및 폐레미콘 처리시설 확인

  • 회수수 저장탱크 주변 이물질 투입 가능 여부
  • 회수수 설비 정상작동 여부, 특히, 교반기의 작동 여부 : 회수수 고형분율 조정을 위하여 교반기를 미작동하는 경우가 많으며, 교반기는 항시 작동이 아닌 주기적으로 작동하여야 함
  • 회수수 사용 여부 및 생산기록지 기록 여부 :  회수수 사용 시 사용자(시공사 또는 발주처)의 승인을 받아야 하나,
    승인 없이 사용하고 있는 곳이 많으므로 현장배합표와 슈퍼프린트 확인

 

5) 믹서 등 기계장치 확인

  • 교반날개 끝부분과 믹서내벽과의 간격(기준: 20mm이하) : 간격 확인을 위하여는 생산공정 정지하고 믹서내부 청소 후 확인 (믹서 확인 불가한 경우 설비 점검‧관리대장 기록으로 확인)
  • 시멘트, 물, 골재, 혼화재료 계량장치 교정필증 부착 여부

 

6) 옥외 시험 및 검사

  • 믹서 트럭 잔수 유무 확인 :  레미콘 상차 전 임의의 차량을 선정하여 잔수 유무 확인

 

7) 운전실 점검

  • 운전실내 비치된 현장배합표 및 생산기록지 확인 : 표면수율 보정현황(일 2회 이상 또는 150㎥ 마다) 확인 후, 해당 현장 배합표 및 자동생산기록지(슈퍼프린트)를 확보
  • 운전실 운영상황 확인 : 계량조의 믹서 배출 후 영점관리 여부, 각 재료별 계량오차 범위*내 작동여부, 혼합 시간 준수여부 확인
구분 시멘트 골재 혼화재 혼화제
허용오차 -1% ~ +2% -2% ~ +1% ±3% ±2% ±3%

 

8) 시험실 점검

  • 시험기구 교정관리 현황(교정 필증 부착여부 및 유효기간) : 시험실내 배치되어 있는 시험기구의 교정 필증 부착여부를 확인하여 유효기간 내에 있는지 함께 확인
  • 각종 시험기구의 설치 및 작동상태 확인 :  마모시험기 철구무게①, 체가름시험기 고정상태, 양생수조 온도②
    등의 적정여부 확인
  • ① KS F 2508
구의 수 10개 11개 12개
구의 전질량 4160±25g 4580±25g 5000±25g
  • ② KS F 2403 : 양생수조 온도: 20±2℃

 

9) 공장 자체시험 확인

  • 자체시험 : 공장 내 시험 기구를 이용하여 시료채취 후 KS 규정에 따라 시험 실시여부 확인
    * (시험항목) 골재(염화물함유량, 입도, 표면수율), 레미콘(슬럼프, 공기량, 염화물) 등
【 항목별 시험방법 및 기준 】

① (골재 염화물함유량) 공장에서 채취된 잔골재에 대하여 염화물함유량 확인
* (시험방법) 골재 중의 염화물 함유량 시험방법(KS F 2515)
** 골재 중의 염화물함유량 기준 : 0.04%이하(2회 이상 실시하여 평균값 적용)

② (골재 입도) 공장에서 채취된 굵은골재, 잔골재에 대하여 각각 입도를 시험하여 합격여부를 확인하고, 잔골재 중 세척사와 부순 잔골재를 혼합사용 하는 경우에는 합성입도로 합격 여부 판단
* (시험방법) 굵은 골재 및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방법(KS F 2502)

③ (골재 표면수율) 공장에서 채취된 잔골재에 대하여 각각 표면수율을 시험하고 측정된 표면수율이 생산 기록지에 반영되어 있는지 확인
* (시험방법) 잔골재의 표면수 시험방법(KS F 2509)
** 공장시설 점검 시 운전실에서 당일 생산기록지를 확보하여, 표면수율 시험값을 반영하여 생산하였는지 확인

④ (레미콘) 공장생산 레미콘을 임의로 선정하여 규격 확인 후 시료를 채취하여 시험 실시
* (시험방법)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KS F 2402), 압력법에 의한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공기량 시험방법(KS F 2421)(골재수정계수(0.2) 차감 적용), 레디믹스트콘크리트(KS F 4009) 9.6 염화물 함유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