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 글은 한국건설기술원(2019).소규모 건축물 품질확보 방안. 자료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경사형 지붕형태에서 금속지붕으로 마감을 할경우 우수 및 습기의 유입으로
- 철근콘크리트 구조체 내부 철근 부식
- 금속지붕 부식
- 단열재 탈락 및 기능 상실
- 금속지붕 하부 단열재 손상
등의 주요 하자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기와지붕의 투습방수층 시공과 같이 델타멤브레인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I. 금속지붕-내단열의 경우
1) 하자 발생의 원인
-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실내측에 투습저항계수가 높은 유기질이붙고, 실외측 또한 투습저항계수가 높은 방
수층이 적용되어, 골조내 잔존 수분 건조가거의 불가능함 - 내단열 적용으로 겨울철 골조의 온도가 항상 낮음
2) 해결 방안
- 골조 위에 ‘통기층(세로각상 설치) - 합판 - 투습방수지 - 10mm델타멤브레인 - 금속지붕 마감’ 순으로 구
성 - 콘크리트의 잔존 수분을 통기층을 통해 건조 시키고 투습방수지로 방수 역할을 하도록 구성
II. 금속지붕-외단열의 경우
1) 하자 발생의 원인
금속지붕과 하부의 방수시트가 밀착될 경우, 지속적으로 수분이 고이면서 금속지붕의 빠른 부식이 발생
2) 해결 방안
- 금속지붕과 방수시트사이 10mm 델타멤브레인 설치
III. 금속 철판 가공
1) 하자 발생의 원인
- 절단면의 처리 불량으로 절단면이 외기에 노출되어 부식 발생
2) 해결 방안
- 외기에 금속철판의 절단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꺾어 접어 구부러진 부분이 노출되도록 마감
IV. 금속지붕-벽체 일체 마감
1) 결로하자 발생의 원인
- 금속지붕은 일사에 노출 시 후면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므로 통기층을 두고 용마루에 통기구를 설치
- 공기가 통기층을 통해 상부로 빠져나갈 때, 지붕과 벽체 접합부를 덮어 꺾이는 부분인 둔각곡면에서 수분이
응집되어 금속지붕 부식을 촉진시키고 과도한 습기가 유입될 경우는 결로 발생
2) 결로하자 해결 방안
- 가능하면 지붕과 벽체가 한 재료로 연결되는 마감은 지양
- 벽체와 지붕을 일체화하여 같은 구성이 되는 것은 건축물리학적으로 불리
3) 바닥 근접부위 오염 문제 및 원인
- 금속지붕과 바닥이 만나는 부분의 바닥 오염
- 금속지붕과 바닥이 만나는 부분의 벽체 부식
- 바닥에서 지속적으로 증발되는 습기와 바닥면에 부딪혀 튀는 빗물 등 금속 부식에 치명적인 습기에 지속적
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높음
- 기본적으로 금속마감을 바닥으로부터 최소300mm 이상 이격하고, 금속판재 거멀접기 시공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지붕 우레탄 방수의 문제점, 하자 및 해결방안(단면도해) 안내입니다. (0) | 2024.08.07 |
---|---|
경사지붕 스타코 마감의 경우 안내 (0) | 2024.08.07 |
기와지붕 주택 누수 및 단열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완벽 시공 및 수리 가이드 (0) | 2024.08.06 |
콘크리트 주요 내구성능 저하 작용 요약표 입니다. (0) | 2024.08.05 |
사진으로 보는 이동식크레인의 안전작업 (0) | 2024.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