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글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구성 설계 및 시공기준 적용 가이드라인(2023, 국토교통부·국가건설기준센터)과 Concrete-repair-and-maintenance-illustrated (PH Emmons, 1994)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콘크리트 주요 성능저하 작용
작용 | 발생 메커니즘 | 성능저하 |
염해 (Chloride attack) |
내부 또는 외부 염화물에 의해 철근 부동태피막이 깨지면서 철근 부식을 유발 ![]() |
· 철근 단면적 감소, 내력 감소 · 연성 감소 · 피복 콘크리트 균열, 탈락 |
탄산화 (Carbonation) |
공기중의 이산화탄소가 콘크리트 내부로 침투하여 수산화칼슘과 같은 시멘트 수화물과 결합 Ca(OH)2 + CO2 → CaCO3 + H2O 탄산칼슘과 물이 생성되면서 콘크리트의 pH가 감소 ![]() |
|
동결융해 (Freezing-Thawing) |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동결과 융해 작용을 반복적 으로 받으면서 표층부부터 성능저하가 발생 ![]() |
· 콘크리트 표면 균열 발생 · 표층부 박리(scaling) (특히 제설염(제빙화학제)이 사 용되는 부위에서 표층부 박리가 심하게 나타남) · 골재 탈락(pop-out) |
황산염해 (Sulfate attack) |
황산염이 시멘트 경화체의 수화생성물과 반응하여 팽창성 물질을 생성 ![]() ![]() |
· 반응생성물(ettringite, thaumasite 등)이 팽창을 유발 하여 콘크리트의 균열과 박리 발생 · CH와 CSH 등 수화생성물이 감 소하여 강도 저하 |
알칼리-골재 반응 (Alkaliaggregate reaction) |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수에 용해되어 있는 알칼리 금속 이온(Na+, K+ 등)이 골재 중의 알칼리 반응성 광물과 반응하여 알칼리-실리카겔과 같은 팽창성 물질을 생성 ![]() |
· 내부 팽창압에 의해 콘크리트 균열, 탈락 발생 |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속지붕의 하자방지를 위한 시공법 (단면 도해) (0) | 2024.08.07 |
---|---|
기와지붕 주택 누수 및 단열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완벽 시공 및 수리 가이드 (0) | 2024.08.06 |
사진으로 보는 이동식크레인의 안전작업 (0) | 2024.08.04 |
와이어로프 안전작업 (그림 위주) 종합안내입니다. (0) | 2024.08.04 |
도급인이 지배ㆍ관리하는 장소와 안전ㆍ보건조치 장소 (0) | 2024.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