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글은 안전보건 실무길잡이 중 "안전보건 실무정보 "(2023, 고용노동부·산업안전보건공단) 자료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I. 이동식 크레인 정의 및 종류
1) 정의
원동기를 내장하고 있는 것으로 불특정 장소에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크레인으로 동력을 사용하여 중량물을 매달아 상ㆍ하ㆍ좌ㆍ우로 운반하는 설비로서 건설기계관리법을 적용받는 기중기 또는 자동차 관리법 제3조에 따른 화물ㆍ특수자동차의 작업부에 탑재하여 화물 운반 등에 사용하는 기계 또는 기계장치를 말한다.
2) 종류
II. 이동식 크레인 안전점검
1) 이동식 크레인 주요 재해 발생 원인 Top5
2) 이동식 크레인 안전점검 사항
- 안전장치 부착 및 작동 여부 : 권과방지장치, 과부하방지장치, 훅 해지장치, 아웃트리거 등
- 이동식 크레인 용도 외 사용 여부 : 임의 구조 변경 사용 금지, 불법 탑승설비 부착 금지
- 운전자 자격 유무 및 안전교육 실시 여부
- 운전자 시야 확보, 아웃트리거 정상 설치 여부
- 유도자 및 신호수 배치 여부
- 줄걸이 작업 안전조치 이행 여부 : 와이어로프, 슬링, 샤클, 턴버클 체결 등
- 구조부 외관 상태 확인 여부 : 붐, 유압장치, 턴테이블의 균열, 볼트 체결, 용접부 등
- 넘어짐에 대한 임계하중 및 작업 범위도 안전성 검토
- 이동식 크레인 제원, 운행 경로, 작업 범위 등 작업계획 및 대책 수립 여부
3) 이동식 크레인 양중능력(예시)
4) 이동식 크레인 작업게획(예시)
반응형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와지붕 주택 누수 및 단열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완벽 시공 및 수리 가이드 (0) | 2024.08.06 |
---|---|
콘크리트 주요 내구성능 저하 작용 요약표 입니다. (0) | 2024.08.05 |
와이어로프 안전작업 (그림 위주) 종합안내입니다. (0) | 2024.08.04 |
도급인이 지배ㆍ관리하는 장소와 안전ㆍ보건조치 장소 (0) | 2024.08.04 |
화물자동차, 덤프트럭 작업 안전관리 (0) | 2024.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