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슬래브 도면과 철근배근 이해 및 철근 조립 후 점검 방법

by chooniarale 2024. 8. 14.
반응형

I. 슬래브 도면의 이해

  • 슬래브의 전체 바닥이 스팬마다 슬래브 부호가 틀린 경우 짧은 쪽을 주근 방향으로 배근하고 스팬이 반대 방향이 되면 주근도 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이점에 유의한다. 특히 슬래브에 단차가 있는 경우 주의를 요한다.

 

 

  • 개구부의 평면도와 단면도를 잘 비교하여 배근을 검토하고 어떤 철근이 들어가는지 보의 크기를 별도 일람표와 함께보면 상세하게 알 수 있다. (평면을 자르면 입단면, 입면을 자르면 평단면)

 

  • 1S1 (1은 1층, S는 Slab이며, 뒤의 1은 1번 이라는 의미임), 점선은 하부근, 실선은 상부근임

 

II. 슬래브 조립 후 점검

현장에서 슬래브의 철근배근은 나름 점검하기가 어렵다. 그 이유는 복잡하기도 하지만 평면으로 내려다 보면서 도면을 해석하고 검측을 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상하 근의 구분이 어려움) 그래도, 철골조의 검측과 설계도면 보다는 철근콘크리트가 매우 쉬운 편이다. 다음은 슬래브 배근 점검시 체크해 보아야 할 사항이다.

  • 항상 슬래브가 시공 완료되면 다음층 기둥을 주심도에 의하여 확인하고 기둥 위치 체크
  • 보의 피복두께가 몰려 있는지? 여부
  • 슬래브의 밴더가 기울어 진 곳이 있는지 체크
  • 슬래브의 고임재 및 간격재는 사람들이 다녀도 처지지 않은지? 콘크리트 타설 준비 차원
  • 슬래브의 철근이음은 적절한지 여부

 

  • 개구부의 보강은 잘 되었는지 여부
  • 다음 층의 계단 이음길이는 충분하게 확보하였는지 여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