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무재해운동의 전개
1) 무재해운동의 정의와 목적
① 무재해운동의 정의 | 작업 중 근로자가 다치는 일이 없는 상태를 “무재해”라 한다. 그러나 엄격한 의미의 무재해란, 근로자가 상해를 입지 않을 뿐만 아니라상해를 입을 수 있는 위험요소가 없는 상태를 말한다. |
② 무재해운동의 목적 | 사업주와 근로자가 다같이 참여하여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자율적인 운동을 촉진함으로써 사업장 내의 모든 잠재적 요인을 사전에 발견, 파악하고 근원적으로 산업재해를 절감하기 위함 |
2) 무재해운동의 3대원칙 : 인간존중을 기본이념으로 한다.
① 무(無)의 원칙 - 무재해, 무질병을 궁극적 목표(이념)으로 함
② 참가의 원칙 - 구성원 전원의 참가를 통한 노력과 협력
③ 선취해결의 원칙 - 잠재적 위험요인의 방지
3) 무재해운동 추진의 세 가지 기둥
① 최고경영자의 자세 - 최고경영자의 “무재해, 무질병”에 대한 확고한 경영자세
② 관리감독자에 의한 안전보건의 추진 - 필요한 지식을 원조하고 생산계통에 따른 관리감독자들이 이를 준수하고 철저하게 안전관리
③ 직장 소집단의 자주활동의 활발화 - 안전보건 자주활동
4) 무재해운동의 실천기법
① 팀, 미팅기법
② 선취기법
③ 문제해결기법
5) 무재해운동의 추진
① 사고나 재해는 100%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 교육
② 나는 절대로 사고를 일으키지 않겠다는 결심을 가지게 한다.
③ 안전에 관한 흥미를 가지게 한다.
④ 안전에 대한 동기유발 요인을 찾아 최대한 적용
⑤ 무재해운동은 라인(line)운동
⑥ 무재해운동의 지속적 운영
⑦ 과학적인 정확성을 가지고 운동 추진
6) 무재해운동의 3요소
① 경영자의 안전경영자세를 확립한다.
② 안전운동은 라인화에 정착되도록 추진한다.
③ 직장의 자주적인 안전활동의 활성화가 되도록 노력한다.
7) 무재해운동의 효과
① 표준화 - 불량률을 낮추고 상품의 질 향상
② 안전확보 - 작업환경의 불안요소제거로 재해예방
③ 원가절감 - 재해예방으로 인적, 물적손실을 감소시키고 작업능률 및 생산성 향상
④ 판매촉진 - 회사 및 제품의 신뢰도 제고
⑤ 만족 - 노사간의 신뢰, 불량품 제거, 작업의욕 고취
II. 무재해운동의 이론
1) 위험예지훈련
① 사실을 파악한다(현상파악) - 잠재위험요인의 파악
② 요인을 찾아낸다(본질추구) - 위험요인의 중요도 파악
③ 대책을 세운다(대책수립) - 위험의 해결대책 수립
④ 행동계획을 정한다(목표달성) - 해결대책의 중점실시항목 설정, 실행
2) 추진방식
① 반복 훈련한다 - 반복훈련으로 완료시간 단축
② 대상을 말한다 - 위험예지 대상의 범위를 좁힌다
③ 사전에 준비한다 - 예습
④ 제2라운드까지가 중요하다 - 본질추구만으로 위험예지 목적의 70% 달성
⑤ 인원수를 적게 한다 - 전원참여 원칙
⑥ 자신의 작업으로 한다 - 직접적인 작업내용
⑦ 단시간에 실시하는 활용기법을 훈련한다 - 여러 가지 기법(TBM 역할연기훈련, 삼각 위험예지훈련, One Point 위험예지훈련, 단시간미팅 등)
3) 추진기법
① TBM(Tool Box Meeting) 위험예지훈련 - 즉시즉응법이라고도 하며, 현장에서 행하 는 안전미팅으로서 사고의 직접 원인(불안전한 상태 및 불안전한 행동)중에서 주로 불안전한 행동을 근절시키기위한 5-6인의 소집단 미팅방법
② 삼각 위험예지훈련 - 적은 인원수로 나누어 기호와 메모로 팀의 합의 형성을 기하려는 방법
③ One Point 위험예지훈련 - 2,3,4 라운드를 하나의 포인트로 요약하여 실시
④ TBM 역할연기훈련 - 작업전 미팅시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작업구성원간의 역할연기를 함으로써 체험학습 부여
무재해 운동은 산업재해에 대한 인식 수준이 낮던 산업화 시기에 재해의 위험성을 널리 알리고 재해 예방을 위한 경각심을 일깨웠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무재해 운동이 어느새 ‘목표’가 되면서 이를 위해 산재를 은폐하는 부작용이 생겼다.
그리하여 2018년 고용부는 목표지향형 산재 예방활동인 무재해운동 대신 산재를 예방하기 위한 과정에 집중하는 새로운 지표를 개발했다. △사업주의 안전보건역량 △사업장 위험성 평가 △안전보건체계의 원활한 운영 △안전한 기계·기구의 사용 등을 평가하는 최근의 방식이 적용 중이다.
'건축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안전에서의 집단관리와 리더쉽 (0) | 2024.08.16 |
---|---|
산업심리 중 인간행동성향 이론들 (0) | 2024.08.16 |
재해발생비율에 대한 안전이론 (0) | 2024.08.15 |
재해방지의 4원칙 및 사고 예방대책 5단계 (0) | 2024.08.15 |
재해발생의 기본요인, 간접 및 직접원인 (0) | 2024.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