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축기술

프루프롤링 시험 안내

by chooniarale 2024. 8. 25.
반응형

프루프롤링 시험

 

1) 시험목적


노상, 동상방지층, 보조기층, 입도조정기층의 포장 각층면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시험법으로 우선 5톤이상의 복륜하중(타이어 접지압 5.5kg/㎠이상)으로 통과하여 변형이 발생되는 부위가 있는지 확인하고, 그 변형량을 확인하기 위해 벤켈만빔에 의한 변형량 시험을 실시한다.

2) 시험기구

① 벤켈만빔
② 매설용 철봉(직경 16mm, 길이 50cm, 50× 30× 2mm의 철편중앙에 용접)
③ 타이어로라 또는 트럭

 

3) 시험방법

내용 사진
 측정개소에서 1.5m 앞의 위치에 트럭의 뒷바퀴를 정지시키고 뒷바퀴의 2바퀴 사이에 닿지 않도록 벤킬만빔의 암을 꽂아 그 끝을 측정 위치에 놓는다. Main beam을 수평하게 설치하고
이 때의 다이알게이지의 눈금을 읽어 기록한다.
 트럭의 뒷바퀴가 암에 닿지 않도록 트럭을 천천히 전진시킨다 (5Km/hr) 
 트럭의 뒷바퀴가 측정개소를 지날때(최대변형량)의 다이얼 게이지의 눈금을 읽는다.
 트럭의 뒷바퀴가 측정개소 1.5m 지난 위치에 정지할 때(영구 변형량)의 다이얼게이지의 눈금을 읽는다.

 

4) 결과

변형량은 다이얼게이지의 읽는 값에서 다음과 같이 구한다.

▪ 최대변형량 = (측정개소 통과시의 읽음 - 최초의 읽음)× 시험기의 배율
▪ 영구변형량 = (측정개소에서 1.5m통과시읽음 - 최초의 읽음)× 시험기의 배율
▪ 탄성변형량 = 최대변형량 - 영구변형량

 

5) 주의사항

  • 노상면 위의 변형량을 측정할 때에는 측정개소에 트럭의 주행방향과 직각으로 매설용철봉의 중앙에 붙어있는 철편이 차바퀴에 닿지 않도록 노상면에서 약5mm 아래에 철봉을 매설한다. 이때 굴착은 될 수 있는 한 적게 하고 철봉과 굴착한 틈에는 모래를 채워 그 위를 트럭바퀴로 2~3회 밟아 철봉을 밀착시킨다.
  • 변형량 측정은 연속 2회의 측정치가 거의 같을 때까지 행한다.
  • 2회의 평균값을 취한다.
  • 측정위치의 노면이 너무 건조할 경우 살수를 하여 함수비를 조정하여 프루프롤링을 하되, 강우로 인해 함수비가 높은 상태에서는 프루프롤링을 해서는 안된다.
참 고

① 포장 각층의 시험할 트럭의 윤하중은 시방서에 명시되어 있으나 특별히 명시되어있지 않을 때에는 다음의 윤하중을 사용한다.
▪ 노상, 기층 : 4~5톤 (공기압 5.5kg/㎠)
▪ 표층 : 5~8톤 (공기압 6.5kg/㎠) 2)

허용치
▪ 노상 : 5mm 이하
▪ 기층 : 3mm 이하
반응형